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학부모와 공교육

학부모와 공교육

(학부모 담론의 시작)

김기수, 강대중, 김봉제, 김장중, 오재길 (엮은이)
교육과학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450원
14,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학부모와 공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학부모와 공교육 (학부모 담론의 시작)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25413280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9-02-18

책 소개

한국학부모학회 총서 1권. 한국의 교육을 들여다보면 몇 가지 이상한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을 한국교육의 모순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목차

◆ 머리말 _ 3
◆ 일러두기 _ 11

제1부 교육주체로서 학부모
제1장 학부모의 교육주체성_오재길… ………………………21
1. 왜 학부모를 교육의 주체로 세워야 할까? _ 21
2. 학부모 교육주체성의 개념은 무엇일까? _ 22
3. 학부모의 학교 참여 모습은 어떠할까? _ 24
4. 학부모는 교육의 주체로 대우받고 있을까? _ 26
5. 학부모 관련 법적 근거는 어떠할까? _ 29
6. 학부모를 교육의 주체로 세우는 방안은 무엇일까? _ 31
제2장 학부모의 교육권_강인수…………………………………37
1. 공교육체제에서의 교육당사자의 교육권의 개념과 구조 _ 37
2. 현행 법제에서의 교육권의 규정 _ 42
3. 외국의 학부모 교육권의 법제와 학교교육참여제도 _ 44
4. 헌법재판소의 학부모 등 교육당사자 간의 교육권 구조에 대한 판례 _ 47

제2부 학부모 다시 보기
제3장 한국 학부모의 유형_이수광… …………………………57
1. 학부모의 니치(Niche) _ 57
2. 학부모 유형 _ 59
3. 학부모의 리더십의 중요성 _ 67
제4장 학교와 학원: 중산층 어머니가 본 한국교육_황성희… …………………………………73
1. 학부모의 교육인식은 교육현실에 대한 반응 _ 73
2. 학교: “특별히 기대하지 않아요.” _ 74
3. 사교육: “일상화된 현실이에요.” _ 81
4. 학교교육과 사교육 사이, 학부모의 대안과 선택 _ 84
5. 학부모의 교육인식과 교육적 시사점 _ 87
제5장 여성잡지에 투영된 어머니·학부모_김현정… ………91
1. 현모양처라는 학부모상 _ 91
2. 여성잡지의 학부모 기사 _ 94
3. 정권에 따른 학부모상의 인식 변화 _ 100
4. 자식농사 잘 지은 학부모 프로슈머 _ 101
5. 2000년대 학부모의 현주소 _ 103
6. 학부모의 손에 잡히는 학부모 연구 _ 104
제6장 초등학교 학부모 되기: 서울 거주 중산층 엄마들의 경험_강문정, 강대중…………107
1. 한국 사회의 학부모 _ 107
2. 학부모가 되기 위한 학습 _ 108
3. 초등학교 학부모는 무엇을 어떻게 학습하는가 _ 110
4. 초등학교 학부모 되기의 특성은 무엇인가 _ 118
제7장 교육주체로서 나의 ‘학부모-되기’_서덕희… ……125
1. 들어가는 이야기 _ 125
2. 학부모가 교육의 질을 결정한다? _ 129
3. 학부모운동의 변천 과정 _ 130
4. 학부모 되기: 체제에 식민화된 생활세계의 교육적 원리와 가치 복원의 주체-되기 _ 137
5. 나오는 이야기 _ 139
제8장 학부모 교육열 다시 보기_이종각……………………145
1. 한국교육 새롭게 읽고 보기 _ 145
2. 학부모와 교육열 새롭게 보기 _ 149
3. 학부모정책의 진화는 필수 _ 156

제3부 학부모의 교육참여
제9장 외국의 학부모 교육참여_박성희, 정선아, 이가형………163
1. 독일의 학부모 활동 _ 163
2. 독일의 학교와 학부모의 상생적 활동 _ 166
3. 뉴질랜드 플레이센터(Playcenter)와 네덜란드 보잉크(BOink) _ 170
4. 정리 _ 175
제10장 한국의 학부모 교육참여_김승보……………………179
1. 학교 참여인가 교육 참여인가? _ 179
2. 학부모 학교 참여의 쟁점과 정책 과제 _ 183
제11장 학부모의 교육참여 활성화 방안_김봉제, 강소연………195
1. 학부모 교육참여의 필요성 _ 195
2. 학부모 교육참여의 현실 _ 197
3. 학부모의 육아 및 교육참여를 위한 외국의 제도 운영 사례 _ 199
4. 우리나라 교육참여 휴가제 운영을 위한 논의 _ 201
5. 학부모 교육참여 지원방법 _ 204

제4부 학부모의 권한 신장
제12장 학부모 관련 입법활동과 개선 방안_김장중………217
1. 들어가는 말 _ 217
2. 국회의 입법활동과 교육위원회 보기 _ 219
3. 학부모 관련 법안의 발의와 처리 실태 _ 222
4. 학부모 관련 법안의 입법 사례 분석 _ 227
5. 나가는 말 _ 230
제13장 학부모의 날 제정_이종각, 황성희………………………237
1. 기념일로서 ‘학부모 날’의 필요성, 의미, 의의 _ 238
2. ‘학부모의 날’ 행사의 기능과 효과 _ 245
3. 교육민주화를 위한 미래과제 _ 251
제14장 학부모 교육 개선 방안_김기수………………………257
1. 학부모가 교육의 주체로 당당하게 서려면 _ 257
2. 학부모 교육 실태 _ 261
3. 학부모의 교육주체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틀 구상 _ 263
4. 학부모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과제 _ 269
제15장 학부모 연구의 필요성_이종각… ……………………271
1. 학부모의 지적 무장 해제 상황, 이래도 괜찮은가? _ 274
2. 학부모에게도 담론적(이론적) 지위가 필요하다 _ 277
3. 교육주체별 교육연구와 담론의 불균형은 얼마나 심각한가? _ 280
4. 교육민주화 담론의 소멸과 미완성 교육민주화 _ 281
5. 학부모 담론의 편파성과 구조적 비판불가능성 _ 283
6. 비판불가구조로부터의 탈출과 교육시민으로의 성숙이 과제다 _ 284

◆ 찾아보기 _ 289
◆ 한국학부모학회 창립선언문 _ 292

저자소개

강대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평생교육 석사, 미 조지아대학교에서 성인교육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한국평생교육학회 학술위원장이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원장(2021~2023),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분과위원장(2021~2023), 한국학부모학회 회장(2020~2024), 법무부 교정정책자문단 위원(2013~2022), 교육인적자원부 부총리정책보좌관(2006~2008)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총장의 뉴 리더십: 평생교육체제 기반 대학 경영』(교육과학사, 2024),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2판)』(교육과학사, 2024), 『미래사회와 평생교육』(교육과학사, 2022), 『질적 연구: 전통별 접근』(학지사, 2022), 『대한민국 학부모』(학이시습, 2022), 『교육사회학(6판)』(교육과학사, 2022), 『Powering a Learning Society During an Age of Disruption』(Springer, 2021),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지식공작소,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오재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안성교육지원청 교육과장이다. 교육학 박사로 주 연구 분야는 학부모, 학교자치, 학교문화, 혁신교육 정책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원격수업상황에서의 학생자치 활성화 방안 연구”(2021), “학생의 시민주체화 방안 연구”(2017), “부탄 행복교육의 비밀은 뭘까?”(2017), “학부모 교육주체성 강화 방안 연구”(2016), “교육지원청 혁신 방안 연구”(2015)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공저, 2021), 『학부모와 공교육』(공저, 2019), 『교육전문직의 모든 것』(공저, 2018), 『교사,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공저, 2015) 등이 있다.
펼치기
김장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육과사회연구소 소장이다. 경북대학교 행정학과와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공부했으며,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에서 NGO와 공공정책 전공으로 행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학부모, 교육자치, 교육과 사회 정책이 만나는 부분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특히 지위·역할·권리 등을 포함하는 학부모의 정체성 문제와 부모-자녀 관계, 학문으로서 학부모학 및 학부모와 관련한 입법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학부모와 관련된 법령의 실태와 학부모의 법적 지위 분석”(2021), “왜 학부모는 교육주체로서 힘을 발휘하지 못하나?”(2017), “학부모학 기반 형성을 위한 학문적 정체성 찾기”(2016) 등이 있다. 저서로는 『학부모와 공교육』(공저, 2019), 『가장 귀한 선물』(2018), 『딸과 아들을 위한 매시지(每詩智)』(2016)가 있다.
펼치기
김기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교육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다. 교육철학 및 교육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교육혁신위원회 전문위원(상근),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으로 일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교육정책, 미래교육, 교원교육, 학부모 역할 등이다. 주요 연구로는 “단위학교의 ‘생태민주주의 리빙랩’ 전환 전략과 지원 방안”(공저, 2021), “공교육 강화를 위한 학부모 역할 연구”(공저, 2021), “중등학교 체제 개편 연구”(공저, 2020), “학부모의 공교육 신뢰 제고 방안”(공저, 2020) 등이 있다. 저서로는 『1980년대생, 학부모가 되다』(공저, 2021), 『학부모와 공교육』(공저,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김봉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 조교수다.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에서 초등학교 교사로 17여 년간 근무했다. 학교교육 변화를 위한 교사와 학부모의 소통, 교육시민으로서 공동체의식 형성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교사의 성격특성과 학부모 학교참여 관심수준이 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공저, 2018), “학부모 학교참여 만족도의 영향요인 분석”(2017)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학부모와 공교육』(공저, 2019)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