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아교육을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유아교육을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이성흠, 김영숙, 신재한, 장기덕, 김영희, 라재주, 허소영 (지은이)
교육과학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아교육을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아교육을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유아교육학
· ISBN : 9788925415727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1-01-27

책 소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강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재다.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의사소통, 교수설계 그리고 매체활용'의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새로운 논리전개와 제4차 산업혁명과 테크놀로지 발달 등과 같은 새로운 내용을 교육과 연계하여 추가.보완하여 작성되었다.

목차

머리말 ··················································································································ⅲ

시작 장 · 교육(학)과 교직과정의 이해 1
제1절 인간 성장을 위한 교육과 교직과정 ···································································3
1. 인간의 성장과 교육 / 3
2.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과 교직과정 / 7
제2절 교육과정으로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10
1. 교육과정과 교수 · 학습의 과정 / 10
2. 교직과정으로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13

제 Ⅰ 부 · 학교학습과 수업의 이론적 기초 17
제1장 효과적인 수업과 의사소통 19
제1절 교육과 상호작용을 통한 의사소통 ··································································20
1. 인간과 교육적 의사소통 / 20
2.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 21
제2절 ‘좋은 수업’을 위한 의사소통의 기초 ·······························································23
1. 설명 / 23 2. 질문 / 26
제3절 의사소통 촉진을 위한 수업계획과 매체 ···························································28
1. 수업계획의 필요성과 과정 / 28
2. 의사소통의 촉진과 수업매체 / 31

제2장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접근을 위한 이론 37
제1절 수업심리학: 교수 · 학습이론 ··········································································38
1. 행동주의 교수 · 학습이론 / 38
2. 인지주의 교수 · 학습이론 / 39
3. 구성주의 이론과 교수 · 학습 / 41
제2절 의사소통 이론 ······························································································45
1. 벌로의 SMCR 모형 / 46
2. 쉐논과 쉬람의 통신과정 모형 / 46
3. 로저스와 킨케이드 의미수렴 모형 / 47
제3절 혁신의 보급과 변화관리 이론 ········································································48

제3장 교수 · 학습의 기본성격과 ‘좋은 수업’ 53
제1절 학교학습과 교수 · 학습의 기초 ······································································54
1. 학교학습과 교수 · 학습 / 54
2. 교수 · 학습과정과 교수사태 / 56
제2절 ‘좋은 수업’의 개념과 특징 ·············································································59
1. ‘좋은 수업’의 개념 / 59 2. ‘좋은 수업’의 특징 / 60
제3절 교사의 역할과 수업전문성 ············································································62
1. 교사의 역할 / 62
2. 교사의 수업전문성 / 63

제 Ⅱ 부 · 효과적인 교수 ? 학습을 위한 교육방법 71
제4장 교육방법의 이해 73
제1절 교육방법의 의미와 변천과정 ··········································································74
1. 교육방법의 개념 / 74
2. 교육방법의 변천과정 / 75
제2절 교육방법의 분류와 유형 ················································································77
1. 교육방법 탐구의 패러다임 / 77
2. 교육방법의 분류 / 78
제3절 교육방법의 선정과 활용 ················································································82
1. 교육방법 선정 기준 및 고려사항 / 82
2. 의사소통 유형과 교육방법의 활용 / 83

제5장 교사중심 전통적 수업 89
제1절 전통적 교육방법의 개념과 특징 ·····································································90
1. 교수자주도의 전통적 교육방법의 개념 / 90
2. 교사중심 수업의 특징 / 91
제2절 교사중심 교육방법 ························································································91
1. 직접교수 / 91
2. 개념획득 / 95
제3절 교사주도 수업의 한계와 전망 ········································································99
1. 교사주도 수업의 한계 / 99
2. 학습자중심 수업으로 전환 / 100

제6장 학습자중심 자기주도학습 101
제1절 구성주의적 수업과 자기주도학습 ··································································102
1. 구성주의적 수업 / 102
2. 자기주도학습 / 103
제2절 문제중심학습, 협동학습 및 거꾸로학습 ·························································106
1. 문제중심학습 / 106
2. 협동학습 / 110
3. 거꾸로학습 / 114
제3절 학습자중심 교육방법의 한계와 전망 ······························································120
1. 학습자중심 수업의 한계 / 120
2. 미래사회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방법으로 변화 / 120

제 Ⅲ 부 ·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접근을 위한 이론 123
제7장 교육공학의 이해 125
제1절 교육공학의 발전과정 ···················································································126
1. 시각교육 / 127
2. 시청각교육 / 128
3. 시청각통신 / 130
4. 교육(수)공학 / 130
제2절 교육공학의 개념 ·························································································131
1. 교육공학의 개념과 관점 변화 / 131
2. 교육공학의 정의 / 135
제3절 교육공학의 탐구영역 ···················································································137
1. 설계 영역 / 138
2. 개발 영역 / 139
3. 활용 영역 / 139
4. 관리 영역 / 140
5. 평가 영역 / 141

제8장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수설계 145
제1절 교수설계의 개념과 기본 원리 ·······································································146
1. 교수설계의 개념 / 146
2. 교수설계의 기본원리 / 147
제2절 교수설계 이론 ····························································································149
1. 교수설계 이론 / 149
제3절 교수설계의 일반적 단계와 모형 ····································································157
1. 교수설계의 단계 / 157
2. 교수설계의 모형 / 158

제9장 전달수단으로서 수업매체 165
제1절 수업매체의 개념과 기능 ··············································································166
1. 수업매체의 개념 / 166
2. 수업매체의 기능과 효과 / 167
제2절 수업매체의 역할과 분류 ··············································································168
1. 수업매체의 역할 / 168
2. 수업매체의 분류 / 170
제3절 수업매체의 선정과 활용 ··············································································174
1. 매체의 선정기준 / 174
2. 효과적 매체 선정과 활용을 위한 ASSURE 모형 / 176

제 Ⅳ 부 · 유아교육에서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실천 179
제10장 완전학습을 위한 교수설계와 수업지도안 작성 181
제1절 완전학습과 수업의 개별화 ···········································································182
1. 완전학습과 학습자 특성 분석 / 182
2. 수업의 개별화 / 185
제2절 교육과정의 해석과 교수 ? 학습의 과정 ·························································187
1. 교육과정의 해석과 수업의 준비 / 187
2. 교수 · 학습의 과정 / 188
제3절 체계적인 수업을 위한 교수 · 학습과정안 ·······················································190
1. 교수 · 학습과정안 / 190
2. 교수 · 학습과정안의 형식과 내용 / 191
제4절 유아교육에서 교수설계 ················································································195
1. 유아교육과 교수설계 / 195
2. 유아교육에서 교수설계의 실제 / 196

제11장 교과와 연계된 인성교육 실천 199
제1절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방법 ···········································································200
1. 인성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 200
2. 인성교육의 방법 / 201
제2절 교과와 연계된 인성교육 ··············································································203
1. 교과교육에서 인성교육 / 203
2. 교과교육과 연계된 인성교육 / 205
제3절 교과 연계 인성교육의 융합 원리와 실천 ························································209
1. 교과 연계 인성교육의 융합 원리 / 209
2. 융합형 인성교육의 실천 / 211
제4절 유아교육에서 인성교육 ················································································214
1. 유아교육과 인성교육 / 214
2. 유아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실제 / 215

제12장 수업매체 설계원리와 디지털기술의 진화 217
제1절 교수 ? 학습매체의 설계 ? 제작 원리 ······························································218
1. 교수메시지 설계 개념 / 218
2. 메시지 설계의 기본원리 / 219
제2절 학습 테크놀로지의 활용 ··············································································223
1. e-학습, m-학습과 u-학습 / 223
2. 소셜 미디어의 교육적 활용 / 227
제3절 디지털 학습매체의 활용과 수업혁신 ······························································230
1. 디지털 학습매체의 활용 / 230
2. 수업내실화와 수업혁신 / 231
제4절 유아교육에서 매체활용 ················································································233
1. 유아교육과 매체활용 / 233
2. 유아교육에서 매체활용의 실제 / 234

마무리 장 ·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미래 237
제1절 사회변화와 제4차 산업혁명 ·········································································239
1. 사회변화와 교육변화의 방향 / 239
2. 제4차 산업혁명과 핵심역량 / 241
제2절 위험사회의 도래와 테크놀로지 활용 ······························································244
1. 제4차 산업혁명과 위험사회 / 244
2. 위험사회와 학교교육에서 테크놀로지 활용 / 246
제3절 디지털 학습공간의 확장과 학교교육의 미래 ················································· 248
1. 디지털 학습공간의 확장 / 248
2. 학습공간의 확장과 교사역할의 변화 / 250

참고문헌 ············································································································255
찾아보기 ············································································································267

저자소개

김영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육학박사(교육심리전공) 구미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저서: 상담의 이해, 새교육심리학, 새교육학개론, 새롭게 보는 교육심리학, 허수아비 사랑, 인간발달과 교육, 쉽게 배우는 아동상담 논문: 전래놀이동요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일상생활의 대화에서 나타난 아동의 물리지식 발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분노 감소에 미치는 효과 일상생활의 대화에서 나타난 한국 아동의 인과적 설명: 물리, 생물, 심리지식을 중심으로 외 다수
펼치기
이성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나라골) 출신으로 영해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국민대학교에서 법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Indiana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수체제공학 전공으로 철학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전자계산운영실 책임기술기사, Indiana대학교 교육훈련센터(Education & Training Resources) 객원연구원(Research Associate),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전문연구원, 중앙공무원교육원(현재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사이버교육팀장, 경기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저(역)서로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의사소통, 교수설계 그리고 매체활용》(제4판)(공저, 교육과학사, 2017), 《인성교육과 교사교육: 도덕적 교육 활동의 실천전략》(공동 역서, 교육과학사, 2018) 등의 10여 편이 국내외에서 출판되었으며, 학술논문으로는 ‘양성평등 교육프로그램 유형이 대학생 성평등 의식향상에 미치는 효과〈교육학연구, 2010〉’, ‘Dimension and design criteria for developing training reaction evalu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2002〉’ 등 60여 편의 논문이 국내외 전문학술지에 기고·출판되었다.
펼치기
신재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교수 경북대학교 교육학 박사 교육부 연구사 인성교육연구원 원장 국가 공인 브레인트레이너 자격검정센터 센터장 한국청소년상담학회 융합상담 분과 슈퍼바이저 한국상담학회 노인상담 분과 슈퍼바이저 인공지능 시대 미래 핵심 역량 향상을 위한 진로교육의 이해와 실제, 자유학기제의 이론과 실제, 미래창의융합인재가 되기 위한 행복 성장교실, 신경과학 기반 상담의 이론과 실제 등 미래사회 필요한 진로 및 직업역량, 진로․직업교육 및 상담 저서 집필
펼치기
장기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대학원 졸업 교육상담전공(교육학박사) 영진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현: 김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교육혁신원 성과분석센터장 저서: 초보 엄마, 아빠를 위한 100점 육아공부, 아동상담, 교육심리, 유아생활지도, 최신교육학의 이해, 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의 이해,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관리
펼치기
김영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외국어대학교 보육복지상담학과 교수
펼치기
라재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교육대학교 안동부설초등학교 교장
펼치기
허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경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겸임교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