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청소년문화론

청소년문화론

(제3판)

조혜영, 김민, 방은령, 길은배, 서우석, 김옥태, 이창호, 장근영, 양계민, 최순종, 김기헌 (지은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엮은이)
교육과학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660원
21,3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청소년문화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청소년문화론 (제3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25418230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4-02-25

책 소개

청소년문화는 여러 나라의 문화가 섞이고 융합돼 발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여 총 13개 장으로 구성하였다. 1장 청소년문화개요, 2장 사회집단과 청소년문화, 3장 학교문화와 청소년, 4장 대중문화와 청소년문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발간사 / 2
∙ 머리말 / 4

CHAPTER 01 청소년 문화개요 11
1. 문화의 개념 ·········································································13
2. 청소년문화 ···········································································25
3. 청소년문화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제언 ····························37

CHAPTER 02 사회집단과 청소년문화 47
1. 가족 ·····················································································49
2. 학교 ·····················································································56
3. 사회ㆍ경제적 배경 ······························································62
4. 청소년 하위집단과 청소년문화 ···········································65

CHAPTER 03 학교문화와 청소년 77
1. 학교교육과 청소년의 삶 ·····················································79
2. 청소년복지와 학교교육 ·······················································81
3. 학교문화 특성에 대한 이해 ················································89
4. 청소년복지 실현을 위한 학교문화의 과제 ······················102

CHAPTER 04 대중문화와 청소년문화 113
1. 청소년학 연구에서 대중문화의 의의와 현황 ···················115
2. 청소년의 대중문화수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 ···················124
3. 청소년의 대중스타 수용에 대한 이해 ·····························133
4. 청소년 대중문화수용의 영향과 과제 ·······························145

CHAPTER 05 청소년의 성문화 155
1. 성과 성문화 ······································································157
2. 청소년기의 성 발달 ··························································157
3. 청소년과 사랑 ···································································162
4. 청소년과 성역할 ·······························································174
5. 사이버공간에서의 성문화 ·················································176
6. 청소년 성범죄와 성보호 ···················································181

CHAPTER 06 청소년과 글로벌문화 195
1. 글로벌문화에 대한 이해 ···················································197
2. 글로벌화와 문화제국주의, 글로벌 문화 ···························201
3. 인터넷과 청소년 글로벌문화 ············································205
4. 한류와 청소년 글로벌문화 ···············································215

CHAPTER 07 청소년과 여가 223
1. 여가 연구의 이해 ·····························································225
2. 청소년 여가 ······································································237
3. 한국 청소년의 여가 ··························································246

CHAPTER 08 청소년과 게임문화 255
1. 들어가며 ············································································257
2. 청소년의 게임하기 ····························································264
3. 청소년과 게임중독 및 예방 ·············································268
4. 나가며 ···············································································274

CHAPTER 09 청소년과 모바일문화 279
1. 휴대전화의 진화와 특성 ···················································281
2. 모바일기기 확산에 따른 문화변화 ···································282
3.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현황 ············································286
4. 스마트폰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290
5. 건전한 모바일문화정착을 위한 과제 ·······························298

CHAPTER 10 청소년과 언어문화 305
1.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 ················································307
2. 욕설과 청소년 언어문화 ···················································311
3. 통신어와 청소년 언어문화 ···············································318
4. 결론 ···················································································324

CHAPTER 11 청소년과 다문화수용성 327
1. 한국사회의 변화 ·······························································329
2. 다문화수용성의 개념 ························································352
3. 청소년기 다문화수용성 ·····················································353
4. 청소년기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한 방안 ······················359
5. 맺음말 ···············································································363

CHAPTER 12 청소년과 소비문화 367
1. 머리말 ···············································································369
2. 소비문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 ··········································370
3. 청소년의 소비문화 연구를 위한 이론과 청소년 소비문화의 특성 ···························380
4. 청소년 소비문화의 전망과 과제 ······································393

CHAPTER 13 청소년문화와 정책 399
1. 청소년정책에 대한 이해 ···················································401
2. 청소년문화정책의 이해와 실태 ········································410
3. 청소년문화정책의 과제 ···················································420

∙ 찾아보기 / 426

저자소개

최순종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 독일 University Bielefeld 사회학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청소년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방은령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서대학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아동심리전공) 문학박사 한국놀이치료학회 이사 및 편집위원장 한국인간발달학회 이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이사
펼치기
길은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정치학과 박사(비교정치 전공) 현 한국체육대학교 스포츠청소년지도학과 교수
펼치기
김옥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 졸업(석사)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 졸업(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저서: 『게임·애니메이션·VR의 이해』 『아동·청소년과 미디어』 『디지털 사회와 커뮤니케이션』 『청소년문화론』 『청소년에게 게임을 허하라』 등
펼치기
김기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본 도호쿠대학교에서 2년 반 동안 지냈고,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연구원 생활을 거쳤다. 현재 국책연구기관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하며, 청년 및 청소년 연구, 진로와 직업 및 교육사회학 연구를 진행 중이다. 저서로는 《청년프레임》, 《직업사회학》(공저), Korean Education in Changing Economic and Demographic Contexts(공저, Springer, 2014), 《韓国の少子高齢化と格差社会: 日韓比較の視座から》(공저, 慶應義塾大学,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양계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부와 대학원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사회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연구 관심분야는 다문화집단, 북한이탈주민 등 이주배경 집단의 적응과 사회통합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독일통일 후 동독출신자의 지각된 차별감과 통일에 대한 태도(2021)”, “남북통일의 사회적 부담 인식이 통일에 대한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세대별 독일통일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2019)”, “통일이후 독일주민의 이주민에 대한 태도: 삶의 만족도와 스트레스를 중심으로(2017)”, “북한이탈주민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남한주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2016)”, “북한이탈주민이 다문화집단에 대해 느끼는 현실갈등인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차별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2016)”, “북한이탈주민이 국내 다문화집단에 대하여지니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015)” 등이 있다.
펼치기
이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 언론학 박사 현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
펼치기
김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교육학과(문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학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박사) 주성대학 청소년문화과 부교수 현재 : 순천향대학교 청소년교육상담학과 교수 논저 : 『인터넷 중독의 이해』,『달콤살벌한 온라인 데이트』(이상 역), 『청소년문화론』, 『청소년학개론』, 『청소년수련활동론』(이상 공저) 외
펼치기
조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세종시에 위치한 청소년 분야 국내 유일의 국책연구기관으로 1989년 설립된 이래 청소년정책의 수립과 추진을 지원하는 연구에 매진해 왔다. 청소년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 학교 밖 청소년.이주배경 청소년.가출 청소년 등 취약 위기 청소년을 지원하는 정책, 청소년 인권정책 등 다양한 연구를 추진 해 왔으며, 최근에는 미디어, 지역 생태, 그리고 미래 사회 변화와 관련된 연구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