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전통의 변주와 연대

전통의 변주와 연대

(분단 코리언의 생활세계)

천경효, 김왕배, 권혁희, 이수정, 김종군, 전영선, 김명희, 리화, 정진아, 양계민 (지은이)
한국문화사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000원 -0% 0원
780원
25,220원 >
26,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600원
23,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800원 -10% 1040원 17,680원 >

책 이미지

전통의 변주와 연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통의 변주와 연대 (분단 코리언의 생활세계)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8896817400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6-09-20

책 소개

남북의 주민, 코리언 디아스포라를 ‘분단 코리언’으로 명명하고 이들의 생활세계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필자들이 주목한 것은 분단에 규정되는 존재로서의 ‘분단 코리언’이라기보다는 포스트 통일을 전망하는 과정에서 ‘분단 코리언’이 보여주는 행위양식이다.

목차

발간사
서문

제1부 만들어진 전통
만들어진 전통: 분단 코리언의 정치적 가족주의 _ 김명희
북한의 단오를 통해 본 전통명절의 변화와 창출 _ 권혁희
조선족의 친족관계와 친족이념: 가족의 일상생활·이동·의례를 통한 고찰 _ 리화
디아스포라의 민족주의: 미주 한인 후예들의 정체성 형성을 중심으로 _ 김왕배
코리언의 혼례 전통 계승과 현대적 변용 _ 김종군

제2부 분단 코리언의 연대와 공존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문화 비교 연구 _ 정진아
북한출신주민과의 지역사회 내 접촉수준에 따른 남한출신주민의 태도 차이: 인천 논현동 거주자를 중심으로 _ 이수정·양계민
단일민족과 다문화주의 사이에서 북한 바라보기: 고정된 역사 속에서의 타자화 현상을 중심으로 _ 천경효
남북 생활문화공동체 형성 방안 _ 전영선

참고문헌
찾아보기
논문 출처
저자 소개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총서 목록

저자소개

천경효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학부와 대학원에서 인류학을 전공하고 “국립 박물관에서의 민족주의 담론과 포스트콜로니얼리티”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로 재직하였다. 연구 관심분야는 포스트콜로니얼 연구, 박물관에서의 재현, 기념행위와 공공기억, 동아시아에서의 민족주의 등이다.
펼치기
김왕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박사후과정의 일환으로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의 객원연구원을 지냈다. 이어 시카고 대학교 사회학과의 조교수(전임초빙)로 재직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대안사회를 위한 호혜경제, 지구법학, 감정사회학이다. 지은 책으로 <산업사회의 노동과 계급의 재생산: 일상생활 세계의 불평등에 대한 성찰>(2001), <도시, 공간, 생활세계: 계급과 국가 권력의 텍스트 해석>(2018, 개정판), <감정과 사회: 감정의 렌즈를 통해 본 한국사회>(2019, 2020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의 단독 저서와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2016, 공저), <향수 속의 한국 사회>(2017, 공저) 등 다수의 공저가 있다. 엮은 책으로 <지구법학: 자연의 권리선언과 정치참여>(2023)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국가와 계급 구조>(1985), <자본주의 도시와 근대성>(1995, 공역)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맑스주의 방법론과 총체성」(1997), 「노동중독」(2007), 「자살과 해체사회」(2010), 「‘호혜경제’의 탐색과 전망」(2011), 「언어, 감정, 집합행동」(2017)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감정노동, 정리해고, 사회자본, 인권에 관련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권혁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박사. 『전통의 변주와 연대: 분단 코리언의 생활세계』(공저, 한국문화사, 2016), 「장마당, 여성, 음식: 고난의 행군 이후 여성의 장마당 참여와 ‘인민음식’의 창출」(『통일문제연구』 제34권 1호, 2022), 「Villagers’ agency i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of a Korean village ritual」(『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23(3), 2017) 등
펼치기
이수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인류학전공 부교수이다. (탈)분단 정치/문화/주체, 남북한 사회/문화, 이주와 젠더 등의 이슈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북한출신여성의 ‘다문화’ 인식 및 경험과 그 함의”(2020), “‘탈북자 심리’의 문화정치: 분단정치와 신자유주의적 통치의 절합”(2017) 등이 있으며 『통합 그 이후를 생각하다』(2021), 『분단된 마음잇기: 남북의 접촉시대』(2016), 『인류학 민족지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2012) 등의 책을 함께 썼다.
펼치기
김종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교수 김종군은 국문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교수로 있다. 연구 관심분야는 남북한 문학분야의 통합, 코리언의 민속문화 통합, 역사적 트라우마와 치유 방안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통합서사의 개념과 통합을 위한 문화사적 장치」, 「북한의 현대 이야기문학 창작 원리 연구」, 「탈북민 구술울 통해 본 북한 민속의례의 변화와 계승」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고전문학을 바라보는 북한의 시각』(3권), 『고난의 행군시기 탈북자 이야기』 등이 있다.
펼치기
전영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에서 2001년 문학박사를 취득한 전영선은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에 재직하며 북한 사회문화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 위원, 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위원회 이사, 통일부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민화협 평화통일교육위원장 및 정책위원을 수임하고 있다. 2023년부터 제27대 북한연구학회 회장을 맡을 예정이다. 최근 수행한 주요 연구로는 <북한 아파트의 정치문화사 : 평양 건설과 김정은의 아파트정치(경진출판, 2022)>, <공화국의 립스틱 ; 김정은 시대 뷰티와 화장품(종이와나무, 2021)>, <어서와 북한 영화는 처음이지(늘품플러스,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리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부에서 정치학(연변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화인류학(일본 동북대학교)을 전공했으며 학술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변대학교 사회학과 강사로 재직 중이다. 연구 관심분야는 초국가적 이동과 가족, 조선족의 생활문화 등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초국가적 자녀양육으로 보는 조선족 가족의 문화적 지속성과 변용」(2014), 「조선족 가족의 현재: 노부모 부양을 중심으로」(2015), 「‘효’ 문화를 통해 보는 조선족의 민족정체성」(2015) 등이 있다.
펼치기
정진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현대사 연구자로서, 한국 경제를 정책사상사 연구방법론에 의해 연구해왔다.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이승만 정권의 경제정책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건국대 인문학연구원 및 대학원 통일인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 경제사뿐 아니라 해방 이후 남북의 주민들이 만들어가고자 한 국가, 사회, 개인의 모습에 관심이 많다. 특히 그 속에 살았던 사람들의 생활문화와 병리현상에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로는 『역사학의 시선으로 읽는 한국전쟁』, 『사회주의는 북한사람들을 어떻게 변화시켰나』가 있고, 논문으로는 「이승만 정권의 자립경제론, 그 지향과 현실」, 「장면 정권의 경제정책 구상과 경제개발 5개년계획」, 「남북의 농업협동화 경험과 통일농업의 미래―남의 협업농장과 북의 협동농장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정진아의 다른 책 >
양계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부와 대학원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사회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연구 관심분야는 다문화집단, 북한이탈주민 등 이주배경 집단의 적응과 사회통합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독일통일 후 동독출신자의 지각된 차별감과 통일에 대한 태도(2021)”, “남북통일의 사회적 부담 인식이 통일에 대한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세대별 독일통일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2019)”, “통일이후 독일주민의 이주민에 대한 태도: 삶의 만족도와 스트레스를 중심으로(2017)”, “북한이탈주민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남한주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2016)”, “북한이탈주민이 다문화집단에 대해 느끼는 현실갈등인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차별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2016)”, “북한이탈주민이 국내 다문화집단에 대하여지니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015)”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8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