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장 교사가 함께 집필한 디지털교육

현장 교사가 함께 집필한 디지털교육

김현진, 이영주, 김현영, 김성종, 류기혁, 이동국, 이은상 (지은이)
교육과학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840원
27,160원 >
27,720원 -1% 0원
카드할인 10%
2,772원
24,948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장 교사가 함께 집필한 디지털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장 교사가 함께 집필한 디지털교육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공학/수업설계
· ISBN : 9788925419749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4-08-30

책 소개

디지털ㆍAI 기술을 교육에 접목하고자 하는 예비교사와 일선교사의 교육 및 연수를 위해 집필되었다. 하지만 디지털ㆍAI 기술을 교육에 도입하고 디지털ㆍAI 역량을 함양시키고자 하는 모든 교육기관의 교수자와 학습자가 활용해도 손색이 없다.

목차

머리말 ·············································································3

제1장 디지털ㆍAI 교육역량의 이해 ···············································13
<기초지식>
1.1 디지털 전환 시대 기술과 사회의 변화 ···································14
1.2 디지털 전환 시대의 교육 ··················································16
1.3 디지털ㆍAI 기술과 교육: 활용교육 VS. 융합교육 ·······················21
1.4 디지털 전환 관점에서의 디지털ㆍAI 역량 ································23
1.5 디지털 전환 시대 학생의 디지털ㆍAI 교육역량 ··························31
1.6 디지털 전환 시대 교사와 예비교사의 디지털ㆍAI 역량 ·················33
<실습과 성찰>
1. (대)학생 디지털ㆍAI 역량: 나의 일상 돌아보기 ···························40
2. 교사의 디지털ㆍAI 교육역량: 개발 목표 세우기 ··························41

제2장 디지털ㆍAI 교육을 위한 기술과 조건 ····································47
<기초지식>
2.1 디지털ㆍAI 교육을 위한 주요 기술 ·······································48
2.2 디지털ㆍAI 교육을 위한 조건 ·············································59
<실습과 성찰>
1. 디지털ㆍAI 기술이 변화시킬 학교교육의 모습을 상상하기 ···············72
2. 학교의 디지털ㆍAI 계획 수립하기 ··········································73

제3장 디지털ㆍAI 교육을 위한 윤리 ··············································77
<기초지식>
3.1 디지털ㆍAI 기술의 활용과 효과 ···········································78
3.2 디지털ㆍAI 기술 활용의 부정적 영향 ····································81
3.3 디지털ㆍAI 윤리 원칙과 기준 ·············································86
3.4 디지털교육 규범 ····························································96
<실습과 성찰>
1. 학습자로서 디지털ㆍAI 활용 윤리 성찰하기 ·······························99
2. 교육자로서 디지털ㆍAI 윤리 원칙 세우기 ································101

제4장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에듀테크 활용교육 ······························109
<기초지식>
4.1 디지털 전환 시대의 에듀테크 활용교육 ·································110
4.2 디지털 학습환경에서 상호작용의 중요성과 상호작용 유형 ············113
4.3 교수-학습 목적에 따른 상호작용 촉진 에듀테크 유형: ① 창작지원 도구, ② 평가지원 도구, ③ 온라인수업지원 플랫폼 ·····115
<활용 및 실습>
1.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에듀테크 활용 및 수업자료 개발 실습 ··········133

제5장 메타버스 활용교육 ··························································137
<기초지식>
5.1 메타버스의 개념 ··························································138
5.2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146
5.3 메타버스의 교육적 효과 ··················································149
5.4 메타버스 활용교육의 안전/윤리적 이슈 ·································151
5.5 메타버스 활용교육을 위한 정책 ·········································156
<실습과 성찰>
1. 메타버스 체험 해보기 ······················································160
2. 메타버스 활용교육 들여다보기 ············································169

제6장 AI 활용 맞춤형 교육 ·······················································173
<기초지식>
6.1 AI 활용 맞춤형 교육의 개념 ·············································174
6.2 맞춤형 교육을 위한 AI 유형 ·············································179
6.3 맞춤형 교육을 위한 AI 알고리즘 ········································184
6.4 맞춤형 교육을 위한 공공 AI 서비스 사례 ······························190
6.5 AI 활용 맞춤형 교육의 윤리적 이슈 ····································198
6.6 AI 활용 맞춤형 교육의 정책 ·············································200
<실습과 성찰>
1. 맞춤형 교육을 위한 AI 체험해보기 ·······································204
2. AI 활용 맞춤형 교육 들여다보기 ·········································208

제7장 생성형 AI 활용교육 ·························································211
<기초지식>
7.1 생성형 AI의 정의 ·························································212
7.2 생성형 AI의 작동 원리 ···················································217
7.3 프롬프트(prompt) ·························································222
7.4 생성형 AI의 유형 및 교육적 활용 ·······································225
7.5 생성형 AI와 윤리 ·························································248
<실습과 성찰>
1. 생성형 AI의 수업 활용 ····················································252
2. 생성형 AI 활용 수업 구상하기 ············································268

제8장 디지털ㆍAI 활용 수업설계 ·················································275
<기초지식>
8.1 디지털ㆍAI 기술 활용 수업설계를 위한 TPACK 프레임워크 ··········276
8.2 교육목표와 교수ㆍ학습 요소에 따른 디지털ㆍAI 기술의 활용 ·········279
8.3 디지털ㆍAI 기술 활용 수업설계를 위한 ASSURE 모형 ················286
8.4 디지털ㆍAI 기술을 활용한 수업설계 사례 ······························289
8.5 디지털ㆍAI 수업을 위한 수업설계 원리 ·································292
<실습과 성찰>
1. 디지털ㆍAI 활용 수업설계 ·················································296

제9장 AIㆍ데이터 융합교육 1 ···················································303
<기초지식>
9.1 AIㆍ데이터 융합교육의 필요성 ···········································304
9.2 AIㆍ데이터 첫걸음: 데이터 이해 ·········································310
<실습과 성찰>
1. 정형 데이터와 예측 모델링 실습 ·········································325
2. 정형 데이터와 예측 모델링 윤리 ·········································342

제10장 AIㆍ데이터 융합교육 2 ····················································349
<기초지식>
10.1 비정형 데이터와 분류 모델링 실습 ····································350
10.2 비정형 데이터와 분류 모델링 윤리 ····································368
<실습과 성찰>
1. AIㆍ데이터 융합교육 아이디어 탐색 ······································372
2. AIㆍ데이터 융합교육 아이디어 성찰 ······································382

제11장 디지털ㆍAI 기술의 융합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 1 ················385
<기초지식>
11.1 창의적 문제해결 ·························································386
11.2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론으로서의 디자인씽킹 ·························389
11.3 디지털ㆍAI 기술의 융합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의 가치 ··············393
11.4 피지컬 컴퓨팅의 기초 ···················································396
<실습과 성찰>
1. micro:bit 제어 ·····························································400

제12장 디지털ㆍAI 기술의 융합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 2 ················415
<기초지식>
12.1 피지컬 컴퓨팅의 다양한 입출력 장치 이해 ····························416
12.2 센서를 활용한 데이터 로깅 ·············································425
12.3 피지컬 컴퓨팅의 교육 방법 ·············································429
<실습과 성찰>
1. 디지털ㆍAI 기술 융합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 아이디어 도출 ·········433
2. 디지털ㆍAI 기술 융합교육의 교육적 가치 ································443

찾아보기 ········································································447

저자소개

김현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에서 학부와 석사, 조지아대학(Univ. of Georgia)에서 교육공학(Instructional Technology)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모토로라, 포스코경영연구소, 사이버카이스트 등에서 인적 자원 개발 업무와 이러닝 개발을 했고,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는 교육 정보화 정책 연구를 수행했다. “미래 학교 설립 운영 모델 개발 연구”(2017), “AI 시대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운영 지원 방안 연구”(2019), “에듀테크 기반 맞춤형 평가 활성화 방안 연구”(2022), “AI·디지털 기반 교수·학습 및 평가 체계 개발 연구”(2023) 등 AI 및 에듀테크 관련 국가 정책 과제와 교육부 자문위원 등을 수행했으며, 현재 국가교육교육위원회 교육과정전문위원이다. 연구 관심 분야는 학교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의 교육 설계, 특히 AI 및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자 중심 수업 설계, 역량 교육 설계 및 설계 연구, 교사 교육, 학습 과정 및 상호작용 분석과 질적 연구이며 관련하여 다수의 논문을 출판했다.
펼치기
이은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교육청 장학사. 고려대학교에서 학부,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석사, 박사 과정을 거쳤으며 교육공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공지능 활용 교육(공저), 디지털 교육 트렌드 리포트 2024(공저), 핀란드교육에서 미래교육의 답을 찾다(공역), 협력적 수업 설계, 세상을 바꾸는 수업: 체인지 메이커교육, 교사 평가에 질문하다(공저) 등 다수의 도서를 집필하였다. 연구 관심 분야는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 환경 설계,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설계, 교사 간 협력적 수업 설계 등이다.
펼치기
이동국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북 대금고등학교 교사. 한국교원대학교에서 학부, 석사, 박사 과정을 거쳤으며 교육공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공지능 활용 교육(공저), 디지털 교육 트렌드 리포트 2024(공저), 핀란드교육에서 미래교육의 답을 찾다(공역), 교과 융합 프로젝트 수업과 학습공동체 이야기(공저) 등 다수의 도서를 집필하였다. 연구 관심 분야는 학생 참여형 수업 설계,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 환경 설계, 교사 전문성 개발, 교사 학습공동체 등이다.
펼치기
이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교육공학 전공) 서울교육대학교 졸업 후 서울시 공립학교 초등교사로 근무하였고, 미국 위스콘신대학교(Univ. of Wisconsin-Madison)에서 교육심리, 학습과학(Learning Science) 전공으로 이학석사를 취득하였으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공학전공 박사 수료, 미국 버지니아 주립대학교(Univ. of Virginia)에서 교육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학부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이러닝 교육론’ ‘이러닝 설계’ 교과목을 10년째 강의하고 있다. 이러닝, 원격교육 관련 연구로 대화형 이러닝 콘텐츠 개발, 수동적 이러닝 학습자 지원을 위한 대리적 상호작용 설계 전략 개발, K-MOOC 학습 경험 탐색 및 잠재 학습자 요구 분석, 블로그를 활용한 동료 피드백 효과, 온라인 학습 성공 및 중도 탈락 요인 분석과 온라인 교사 연수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개발연구원(KDI),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온라인평생교육원, 한국질병관리청, 행정안전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 등 국가정책연구기관 및 공공기관 이러닝 콘텐츠 개발 사업 평가 및 자문 위원 활동을 수행하였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장으로 교원양성대학 원격교육 역량강화 사업에 참여하여 미래교육센터 구축과 예비교원 원격교육 지원 콘텐츠 개발, 학습공동체 지원, 원격교육 멘토링 기획·운영을 하였다.
펼치기
김성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 오산 광성초등학교 교사. 전주교육대학교에서 학부,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석사, 박사 과정을 거쳤으며 교육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공지능 활용 교육(공저), 스크래치 미디어아트(공저), 스크래치 인터랙티브 아트(공저) 등의 도서를 집필하였다. 현재 한국교원대학교에서 미래교육, AIㆍ디지털 교육 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연구 관심 분야는 생성형 AI, 수업설계 연구, 교육공학 이론의 실천 방안 등이다.
펼치기
김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강사다. 영남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과 국사학을 전공,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교육공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된 관심 분야는 모바일 학습 환경 설계, 학습자 경험, 질적 연구, 디지털 문화기술지, 디지털 리터러시 등이다. 주요 연구로 “디지털스토리텔링 한국어 교육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토리 생성과정에 나타난 상황학습 탐색”(2018), “메타종합접근을 통한 초·중등학교 모바일러닝 설계 전략 탐색”(2019), “Z세대의 모바일 학습 일상에 관한 디지털 문화기술지”(2023) 등이 있으며, 그 외 “민주시민육성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2019)에 참여했다. 이러닝 및 교육 콘텐츠 개발 분야와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의 객원연구원 활동과 함께 미래 교육과 수업, 학습과 테크놀로지, 교육 방법 및 교육 공학 등을 강의하며, 『디지털 교육』(공저, 2024) 교재를 집필,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 대상 수업 설계와 디지털 리터러시 및 모바일 기반 학습 환경 설계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펼치기
류기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특별자치도 호반초등학교 교사. 춘천교육대학교에서 학부,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석사, 박사 과정을 거쳤으며 교육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을 겸하고 있으며, 한국교원대학교와 춘천교육대학교에서 미래교육, 에듀테크 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연구 관심 분야는 디자인 사고, 교사 교육, 수업설계, 수업 컨설팅 등이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