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3460763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0-02-28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출간에 부치는 글_ 핀란드는 왜 교육을 혁신했을까
저자의 글_21세기 역량중심교육과 현상기반학습
역자의 글_핀란드 교육에 대한 대담
도입글_“왜 변화해야 하는가?”
1장 핀란드는 어떤 나라인가?
핀란드의 역사 | 핀란드어와 문해력 | 핀란드 교육의 핵심 세 가지
2장 교육심리학과 현상기반학습
인간의 기억에 대한 이해 | 상호작용으로서의 학습 | 학습에서 정서와 동기의 역할 | 학습자 참여를 높이는 방법 | 21세기 역량에 대한 핀란드식 방향
3장 미래핵심역량: 사고력과 학습력
탐구기반학습 | 학습하는 방법 배우기 | 학습공동체
4장 미래핵심역량: 문화적 역량, 상호작용과 자기표현
새로운 문화와의 만남 | 정서적 역량 | 문화적 참여
5장 미래핵심역량: 자기조절과 자기관리
일상생활 관리 |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자기관리 | 일상생활의 안전과 보안
6장 미래핵심역량: 다중문해력
커뮤니케이션 | 멀티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 맥락 이해 역량
7장 미래핵심역량: ICT 역량
디지털화는 학습에 효과적인가? | ICT를 활용한 탐구기반학습 | 프로그램 활용과 프로그래밍 | 디지털 기술 사용에 따른 책임과 안전 | 디지털 세계의 사회적 상호작용
8장 미래핵심역량: 직무수행 역량과 기업가 정신
직무수행을 위한 준비 | 일터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 실제적인 직무수행
9장 미래핵심역량: 참여와 사회적 행동력
주변 환경에 영향 끼치기 | 사회의 구조와 규칙 | 미래 건설하기
10장 현상기반학습
학문의 논리를 넘어 현상의 논리로 | 학문을 연계하는 지혜와 창의력 | 현상기반학습의 철학적 배경 | 현상기반학습의 교육학적 모형 | 현상기반 프로젝트 수업 | 현상기반 프로젝트 평가 | 현상기반학습의 현실적 과제
11장 미래를 위한 비전
유아교육의 중요성 | 핀란드 교육의 과제 | 핀란드 교사 교육 개혁 | STEM의 혁신과 창의성 | 새로운 시작들 | 대학입학시험의 디지털화 | 핀란드 학교 개혁에 대한 속설 |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
12장 현상기반학습의 수업 적용 사례
쓰레기 제로 프로젝트 | 촉촉한 가습기 만들기 | 소셜 미디어 낯설게 보기 | 업사이클링 아이디어 만들기 | 안전 삼각대 발명하기 | 지속가능한 지구 만들기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핀란드의 뛰어난 PISA 결과와 이를 보고 우리를 찾아오는 수백 명의 사람들은 오히려 해가 됐다. 왜냐면 자기만족에 빠져 더 이상 교육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 시스템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을 때, 많은 교육자들이 “멀쩡한 것을 왜 고쳐야 하나?”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노키아가 지금 어떻게 됐는지를 기억해야 한다. 그들은 경고신호를 읽지 못했고 모바일폰 사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 노키아가 완전히 새로운 사업전략을 도입했다면 지금쯤 전 세계 네트워크망 구축에 있어서 큰 성공을 거뒀을 것이다. 여기서 배울 수 있는 교훈은 계속해서 발전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퇴보한다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어떻게든 변화에 성공한다면 당신은 발전할 수 있다.
작은 나라, 핀란드는 자일리톨이나 문자메시지와 같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발명품을 개발했다. 일카 타이팔레(Ilkka Taipale)가 저술한 《핀란드의 100가지 사회적 혁신들(100 Social Innovations from Finland)》에는 사우나, 단원제 의회, 출산 팩, 무상급식과 같은 다양한 발명품들이 소개됐다. 이 모든 것은 실용성을 추구한 결과다. 춥고 어둡고 제한된 자연자원으로 살아남기 위해서 핀란드는 끊임없이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야 했고 혁신적이어야 했다.
탐구기반학습의 가장 중요한 장점은 학생의 역할이 바뀐다는 것이다. 그 결과 학습의 주도권을 학생에게 돌려준다. 학생은 스스로 협력적인 방식으로 학습 과정을 이끌어나갈 질문들을 제기한다. 그들은 자신이 사용할 접근방식과 도구를 스스로 결정하고 팀 내 역할을 정한다. 또한 학습과정이 어떤 결과물을 만들어낼지, 그리고 피드백에 따라 결과물을 어떻게 수정할지도 스스로 결정한다. 즉 탐구기반학습의 핵심 철학은 학생의 역할을 지식 소비자에서 지식 창조자로 바꾸는 것이다. 초기 단계에서 학생은 교사의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점진적으로 탐구 과정을 어떻게 조절할지 스스로 배워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