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3467830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5-03-10
책 소개
목차
발행인의 글
AI 시대, 전환점을 마주하며 _ 이형세
머리말
교육의 본질을 지키는 미래교육의 방향성이란 _ 김수환
Part 1.
AI 중심 에듀테크 기술 현재 지형과 AI 교육 키워드: 맞춤형 교육을 위한 AI 교육의 현재 과제
_ 박기현 (테크빌교육(주) 에듀테크부문 대표)
1. AI 디지털교과서와 맞춤형 교육
2. AI 중심, 2025 에듀테크 현재 지형
3.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기대와 우려의 의미: 교사와 학부모 관점에서
4. 2025 디지털 교육, 10대 키워드
Part 2.
한국디지털 교육 트렌드 3대 주제, 10대 키워드
[주제 1]
교육을 어디에 도달시킬 것인가: 교육 디지털화의 지향점
#2022 개정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속 AI 윤리와 바람직한 AI 시민성 교육
_ 변순용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1. AI 시민성 교육의 필요
2. AI 윤리와 2022 개정 교육과정: 도덕과를 중심으로
3. AI 리터러시와 AI 역량: 기술 역량 그리고 윤리 역량
4. AI 윤리 기반, AI 시민성 교육 내용 제안
#개인별 맞춤형 교육
맞춤형 교육의 이상과 현실, 새로운 가능성: 학습분석과 AI
_ 도재우 (공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1. 맞춤형 교육이라는 오래된 이상
2. 학습분석, 결정적 전환점의 등장: 3대 핵심 요소와 네 가지 유형
3. 우리 공교육에서의 학습분석 활용 현황과 과제
4. AI 기술이 여는 맞춤형 교육의 새로운 지평
5. 디지털 기술 활용 맞춤형 교육의 사례들
6. 맞춤형 교육과 교사의 역할
#데이터 리터러시
데이터 리터러시, 교사와 학습자를 잇는 새로운 교육의 언어: 데이터로 읽고 설계하는 학습자 중심 수업
_ 신승기 (서울교육대학교 정보교육과 교수)
1. 교사의 소양으로 자리 잡은 데이터 리터러시
2. 데이터 리터러시로 함양되는 디지털 소양 학습자와 교사 관점에서
3. 데이터 기반 학급 경영과 맞춤형 학습 설계: 세 가지 사례
4. 데이터 너머, 데이터 시각화와 컴퓨팅 사고력의 교육적 가치
5. 제언: 데이터 기반 학교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3D 모델
[주제 2]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디지털 교육의 내용과 방법
#인공지능 교육 내용
AI 시대,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_ 김수환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교수)
1. 지금 세계 AI 교육의 3대 주제
2. AI 교육 내용에 관한 국제적 논의 5가지 빅 아이디어
3. 빅 아이디어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AI 교육 내용
4. 확장된 컴퓨팅 사고력: 문제 해결력 교육과 Al
5. 창의 컴퓨팅: 창의성 교육과 AI
6. AI 시대의 핵심 지식과 교육과정의 지향
#SW.AI 교육
데이터와 코드로 진화하는 학교 현장의 실제
_ 송석리 (서울고등학교 교사)
1. 문제 해결 능력 함양의 도구
2. 전 과목 데이터 분석 · 활용 융합교육의 진화: 오렌지3
3. 수학·과학 프로젝트 수업의 진화: 비주얼 파이썬
4. 교사의 디지털 기반 문제 해결 능력이 학교를 변화시킨다
#AI 디지털교과서
AI 디지털교과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_ 정영식 (전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1. AI 디지털교과서의 이해
2. AI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3. AI 디지털교과서의 교수 모델
#고교학점제
강화, 확장, 중심화된 정보 교육: 고교학점제와 새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_ 정웅열 (백신중학교 교사, 한국정보교사연합회 회장)
1. 강화된 정보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력
2. 확장된 정보 교육: 초중고 정보 교육과정의 연계성
3. 고교학점제를 위한 정보교육: 고등학교 정보 교과목 체계와 고려사항
4. 중심화된 정보 교육: 깊이 있는 학습을 이끄는 핵심 교과
[주제 3]
어떤 학교에서 가르칠 것인가: 에듀테크 기반 교육 환경
#생성형 인공지능
생성형 AI. 교육 현장 동향과 2025 전망: LLM부터 AI 에이전트까지
_ 김용성 (충남대학교 기술교육과 교수)
1. 2025년 AI 기술 주요 전망: 가트너 10대 기술 트렌드
2. AI의 교육 분야 적용에 있어 2024년의 의미
3. 2025년 교육 분야 AI 적용, 5대 전망
4. 학교 현장의 우려 다섯 가지와 대응 과제
#학교 환경 구축
지금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환경 구축: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
_ 조기성 (계성초등학교 교사)
1. 교육 디지털 전환의 사회적 조건: 학교 현장과 학부모 인식
2. 디지털 교실 구축을 위한 물리적 환경 조건 네 가지
3. 디지털 전환을 위한 수업 환경 체크리스트
#새로운 교사상 학교상
보통의 디지털 교육을 온전하게 실현하는 교사와 학교
_ 이은상 (서울특별시교육청 장학사)
1. 디지털 전환 시대, 확장되고 깊어진 2025
2. 새롭지만 온전한 '보통'의 디지털 교육과 교사상: E.D.U.
3. 교사상 실현을 위한 몇 가지 제안
Part 3.
해외 에듀테크 동양과 한국 디지털 교육 시사점
: 세계 속 우리 교육의 오늘과 내일 * BettShow 2025 현직자 리뷰
교사의 자율성과 이를 위한 지원 체제를 중심으로
_ 이주성 (성신초등학교 교사)
1. BettShow 2025 스케치
2. BettShow 2025. 주요 감상 3가지
3. [인사이트 1] 한국 초등 교육에의 시사점
4. [인사이트 2] 초등 현장 적용 아이디어
면밀한 관찰, 즉각적 피드백의 새로운 가능성
_ 김재현 (신목중학교 교사)
1. BettShow 2025 스케치
2. BettShow 2025. 주요 감상 3가지
3. [인사이트 1] 한국 중등 교육에의 시사점
4. [인사이트 2] 중등 현장 적용 아이디어
장애 학생의 자립 역량을 크게 높여줄 AI와 VR 기술
_ 이현규 (장기초등학교 특수교사)
1. BettShow 2025 스케치
2. BettShow 2025. 주요 감상 3가지
3. 특수교육의 AI 및 디지털 교육 기술 활용 방안
4. [인사이트 1] 한국특수교육에의 시사점
5. [인사이트 2] 특수교육 현장 적용 아이디어
AI 고도화에 따른 미래교육과 에듀테크 방향성 변화
_ 이창훈 (테크빌교육(주)에듀커머스부문 대표, 즐거운학교(주) 대표이사)
1. BettShow 2025 스케치
2. [인사이트 1] 글로벌 에듀테크 동향: AI 고도화
3. [인사이트 2] 글로벌 에듀테크 마켓 동향: 통합과 연결
4. [인사이트 3] 새로운 역할 기대: 교사, 에듀테크 기업, 공공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