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 교육 트렌드 리포트 2025

디지털 교육 트렌드 리포트 2025

(AI 디지털교과서부터 생성형 AI, 고교학점제까지! 인공지능 교육 10대 키워드 해설)

박기현, 변순용, 도재우, 신승기, 김수환, 송석리, 정영식, 정웅열, 김용성, 조기성, 이은상, 이주성, 김재현, 이현규, 이창훈 (지은이)
테크빌교육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3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지털 교육 트렌드 리포트 2025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 교육 트렌드 리포트 2025 (AI 디지털교과서부터 생성형 AI, 고교학점제까지! 인공지능 교육 10대 키워드 해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3467830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5-03-10

책 소개

2025년은 AI가 학습분석과 교육행정을 돕고 맞춤형 교육을 현실화하는 새 시대의 첫해다. AI 디지털교과서가 도입되고, 챗GPT 등 생성형 AI가 현장에 자리 잡을 것이며,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된다. 이 변화의 흐름을 가장 깊이 있고 체계적으로 조망하고자, <디지털 교육 트렌드 리포트 2025>는 AI 교육 특집으로 구성하고 2025년 교육혁신을 이끌 10대 주요 트렌드를 총망라했다.

목차

발행인의 글
AI 시대, 전환점을 마주하며 _ 이형세

머리말
교육의 본질을 지키는 미래교육의 방향성이란 _ 김수환

Part 1.
AI 중심 에듀테크 기술 현재 지형과 AI 교육 키워드: 맞춤형 교육을 위한 AI 교육의 현재 과제

_ 박기현 (테크빌교육(주) 에듀테크부문 대표)
1. AI 디지털교과서와 맞춤형 교육
2. AI 중심, 2025 에듀테크 현재 지형
3.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기대와 우려의 의미: 교사와 학부모 관점에서
4. 2025 디지털 교육, 10대 키워드

Part 2.
한국디지털 교육 트렌드 3대 주제, 10대 키워드


[주제 1]
교육을 어디에 도달시킬 것인가: 교육 디지털화의 지향점

#2022 개정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속 AI 윤리와 바람직한 AI 시민성 교육
_ 변순용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1. AI 시민성 교육의 필요
2. AI 윤리와 2022 개정 교육과정: 도덕과를 중심으로
3. AI 리터러시와 AI 역량: 기술 역량 그리고 윤리 역량
4. AI 윤리 기반, AI 시민성 교육 내용 제안

#개인별 맞춤형 교육
맞춤형 교육의 이상과 현실, 새로운 가능성: 학습분석과 AI
_ 도재우 (공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1. 맞춤형 교육이라는 오래된 이상
2. 학습분석, 결정적 전환점의 등장: 3대 핵심 요소와 네 가지 유형
3. 우리 공교육에서의 학습분석 활용 현황과 과제
4. AI 기술이 여는 맞춤형 교육의 새로운 지평
5. 디지털 기술 활용 맞춤형 교육의 사례들
6. 맞춤형 교육과 교사의 역할

#데이터 리터러시
데이터 리터러시, 교사와 학습자를 잇는 새로운 교육의 언어: 데이터로 읽고 설계하는 학습자 중심 수업
_ 신승기 (서울교육대학교 정보교육과 교수)
1. 교사의 소양으로 자리 잡은 데이터 리터러시
2. 데이터 리터러시로 함양되는 디지털 소양 학습자와 교사 관점에서
3. 데이터 기반 학급 경영과 맞춤형 학습 설계: 세 가지 사례
4. 데이터 너머, 데이터 시각화와 컴퓨팅 사고력의 교육적 가치
5. 제언: 데이터 기반 학교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3D 모델

[주제 2]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디지털 교육의 내용과 방법

#인공지능 교육 내용
AI 시대,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_ 김수환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교수)
1. 지금 세계 AI 교육의 3대 주제
2. AI 교육 내용에 관한 국제적 논의 5가지 빅 아이디어
3. 빅 아이디어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AI 교육 내용
4. 확장된 컴퓨팅 사고력: 문제 해결력 교육과 Al
5. 창의 컴퓨팅: 창의성 교육과 AI
6. AI 시대의 핵심 지식과 교육과정의 지향

#SW.AI 교육
데이터와 코드로 진화하는 학교 현장의 실제
_ 송석리 (서울고등학교 교사)
1. 문제 해결 능력 함양의 도구
2. 전 과목 데이터 분석 · 활용 융합교육의 진화: 오렌지3
3. 수학·과학 프로젝트 수업의 진화: 비주얼 파이썬
4. 교사의 디지털 기반 문제 해결 능력이 학교를 변화시킨다

#AI 디지털교과서
AI 디지털교과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_ 정영식 (전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1. AI 디지털교과서의 이해
2. AI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3. AI 디지털교과서의 교수 모델

#고교학점제
강화, 확장, 중심화된 정보 교육: 고교학점제와 새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_ 정웅열 (백신중학교 교사, 한국정보교사연합회 회장)
1. 강화된 정보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력
2. 확장된 정보 교육: 초중고 정보 교육과정의 연계성
3. 고교학점제를 위한 정보교육: 고등학교 정보 교과목 체계와 고려사항
4. 중심화된 정보 교육: 깊이 있는 학습을 이끄는 핵심 교과

[주제 3]
어떤 학교에서 가르칠 것인가: 에듀테크 기반 교육 환경

#생성형 인공지능
생성형 AI. 교육 현장 동향과 2025 전망: LLM부터 AI 에이전트까지
_ 김용성 (충남대학교 기술교육과 교수)
1. 2025년 AI 기술 주요 전망: 가트너 10대 기술 트렌드
2. AI의 교육 분야 적용에 있어 2024년의 의미
3. 2025년 교육 분야 AI 적용, 5대 전망
4. 학교 현장의 우려 다섯 가지와 대응 과제

#학교 환경 구축
지금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환경 구축: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
_ 조기성 (계성초등학교 교사)
1. 교육 디지털 전환의 사회적 조건: 학교 현장과 학부모 인식
2. 디지털 교실 구축을 위한 물리적 환경 조건 네 가지
3. 디지털 전환을 위한 수업 환경 체크리스트

#새로운 교사상 학교상
보통의 디지털 교육을 온전하게 실현하는 교사와 학교
_ 이은상 (서울특별시교육청 장학사)
1. 디지털 전환 시대, 확장되고 깊어진 2025
2. 새롭지만 온전한 '보통'의 디지털 교육과 교사상: E.D.U.
3. 교사상 실현을 위한 몇 가지 제안

Part 3.
해외 에듀테크 동양과 한국 디지털 교육 시사점

: 세계 속 우리 교육의 오늘과 내일 * BettShow 2025 현직자 리뷰

교사의 자율성과 이를 위한 지원 체제를 중심으로
_ 이주성 (성신초등학교 교사)
1. BettShow 2025 스케치
2. BettShow 2025. 주요 감상 3가지
3. [인사이트 1] 한국 초등 교육에의 시사점
4. [인사이트 2] 초등 현장 적용 아이디어

면밀한 관찰, 즉각적 피드백의 새로운 가능성
_ 김재현 (신목중학교 교사)
1. BettShow 2025 스케치
2. BettShow 2025. 주요 감상 3가지
3. [인사이트 1] 한국 중등 교육에의 시사점
4. [인사이트 2] 중등 현장 적용 아이디어

장애 학생의 자립 역량을 크게 높여줄 AI와 VR 기술
_ 이현규 (장기초등학교 특수교사)
1. BettShow 2025 스케치
2. BettShow 2025. 주요 감상 3가지
3. 특수교육의 AI 및 디지털 교육 기술 활용 방안
4. [인사이트 1] 한국특수교육에의 시사점
5. [인사이트 2] 특수교육 현장 적용 아이디어

AI 고도화에 따른 미래교육과 에듀테크 방향성 변화
_ 이창훈 (테크빌교육(주)에듀커머스부문 대표, 즐거운학교(주) 대표이사)
1. BettShow 2025 스케치
2. [인사이트 1] 글로벌 에듀테크 동향: AI 고도화
3. [인사이트 2] 글로벌 에듀테크 마켓 동향: 통합과 연결
4. [인사이트 3] 새로운 역할 기대: 교사, 에듀테크 기업, 공공기관

저자소개

변순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석사, 독일 칼스루헤(Karlsruhe) 대학교 철학박사이며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저서 및 역서로는 『윤리적 인공지능』(2025), 『세계의 시민교육』(공저, 2021), 『인공지능 윤리하다』(2020), 『삶과 철학 이야기』(2019), 『윤리적 AI로봇 프로젝트』(편저, 2019), 『철학·도덕 교육의 교수법』(역서, 2017), 『음식윤리』(공저, 2015), 『로봇윤리란 무엇인가』(공저, 2015), 『삶의 실천윤리적 물음들』(2014), 『로봇윤리』(공역,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신승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의 조지아대학교에서 Computational Thinking을 주제로 교육학박사(Ph.D.)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교대에 부임하기 전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학교의 메리 루 플턴 교육대학에서 ComputerScience Education 전공 교수로 근무하였으며, 미국 칼빈슨 정부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한 바 있다. 관심 주제는 정보교과교육 및 교육과정, 컴퓨팅사고력, 인공지능교육, 게임기반교육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인공지능교육과 데이터과학』(홍릉,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정웅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 백신중학교 정보 교사 ●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박사(수료) ● 한국정보교사연합회 회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부회장 ● SW교육유공교원 대통령상(2016), AI교육유공교원 교육부장관상(2021) ● 2015, 2022 개정 정보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 초, 중,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 16종 집필 ● 코드업과 함께 하는 C 언어 & 문제 해결 및 파이썬 & 문제 해결 집필
펼치기
송석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앞으로 100년 후에도 지금의 공교육 시스템이 유지될까?’라는 질문을 던져 보니 ‘No’라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누군가가 앞으로 100년 안에 새로운 공교육의 방향을 찾아낼 텐데, 저도 그중 한 명이 되고 싶어서 이 모험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 비밀을 푸는 데 디지털은 중요한 키워드라고 생각하며, 특히 데이터와 코드는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현재 서울고등학교에서 정보 교사로 재직 중이며, 2020년부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과 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도 데이터와 AI라는 주제로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융합교육에 관심이 많고, 교육자들이 교과와 학교를 넘어 새로운 경험을 하는 것이 미래의 교육에 큰 자산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있습니다. 코딩하는 선생님들의 커뮤니티인 ‘쪼랩’과 정보 선생님들의 커뮤니티인 ‘함께 자라기’를 운영하고 있으며, 많은 선생님들과 IT 분야 전문가들과의 연결을 통해 미래 교육의 방향을 찾고 싶습니다. 저서로는 《모두의 데이터 분석 with 파이썬》(공저), 《최소한의 데이터 리터러시》(공저)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이은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교육청 장학사. 고려대학교에서 학부,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석사, 박사 과정을 거쳤으며 교육공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공지능 활용 교육(공저), 디지털 교육 트렌드 리포트 2024(공저), 핀란드교육에서 미래교육의 답을 찾다(공역), 협력적 수업 설계, 세상을 바꾸는 수업: 체인지 메이커교육, 교사 평가에 질문하다(공저) 등 다수의 도서를 집필하였다. 연구 관심 분야는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 환경 설계,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설계, 교사 간 협력적 수업 설계 등이다.
펼치기
김수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인교육대학교 학사, 석사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컴퓨터과학교육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22개정교육과정 정보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였고, 미국 Calvin University에서 방문 교수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재 국가교육위원회 전문위원,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부회장, 한국정보과학교육연합회 이사를 역임하고 있다. 컴퓨터 교육, 디지털 교육, AI 교육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으며, 한국컴퓨터교육학회에서 2023년 올해의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이창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테크빌교육(주) 에듀커머스부문 대표, 즐거운학교(주) 대표이사
펼치기
김용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전자공학교육과(공학사) 고려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공학 석사) 고려대학교 컴퓨터공학(공학 박사) 충남대학교 기술교육과 교수(현) 국립중앙도서관 자문위원(현) 한국기술교육학회 이사(현)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전) 고려사이버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과 교수(전)
펼치기
도재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이다. 질적연구학회 편집위원으로 질적자료 수집과 분석에 대한 ‘질적연구 수행에서 디지털 도구 활용방안 탐색’(교육연구), ‘Designing and developing cell phone applications for qualitative research’(Qualitative Inquiry), ‘Narrative inquiry with activity systems’(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Methods) 등의 연구를 수행했다.
펼치기
이주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초등학교 교사
펼치기
김재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목중학교 교사
펼치기
이현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기초등학교 특수교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