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하룻밤에 읽는 경제학

하룻밤에 읽는 경제학

(개정판)

마르크 몽투세, 도미니크 샹블레 (지은이), 강주헌 (옮긴이), 손민중 (감수)
랜덤하우스코리아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하룻밤에 읽는 경제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하룻밤에 읽는 경제학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88925541365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1-10-17

책 소개

프랑스 고등학교 교사인 저자들이 학생들에게 경제학의 기초 지식을 전하기 위해 고등학생 눈높이에 맞춰 저술한 책이다. 딱딱하고 골치 아픈 경제이론들을 평이한 문체로 풀어썼으며, 일상생활과 밀접한 경제현상과 전문용어를 친절하게 설명해 경제학을 전공하는 대학 초년생들이나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더라도 경제학 관련 지식이 필요한 학생들, 경제학 개념을 집대성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일반인까지 폭넓게 읽을 수 있다.

목차

서문

1장 생산과 분배
01 생산의 평가
02 생산요소의 결합에서 생산함수로
03 투자의 요인들
04 투자의 형태
05 부가가치의 분배
06 고용과 자원의 균형
07 본원소득
08 가처분소득
09 소비
10 저축

2장 기업과 시장
11 공급과 수요
12 시장의 균형
13 기업의 형태
14 기술적 집중과 경제적 집중
15 재무집중
16 중소기업
17 다국적 기업
18 공기업
19 민영화
20 기업의 운영권

3장 성장과 발전
21 성장에서 발전으로
22 산업혁명의 요인들
23 19세기의 경제와 사회 변화
24 성장의 요인들
25 눈부시게 성장한 영광의 30년
26 자본주의와 자유주의
27 야경국가에서 복지국가의 위기까지
28 새로운 형태의 발전 가능성을 찾아서: 사회주의
29 저개발과 난개발
30 개발 전략

4장 위기와 경기변동
31 위기의 유형
32 경기순환
33 1930년대의 위기
34 20세기 말에 닥친 위기의 원인
35 20세기 말의 위기가 오기까지
36 인플레이션의 원인
37 1970년대 이후의 인플레이션과 디스인플레이션
38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 그리고 고용
39 위기를 맞은 국가들
40 전환기의 경제

5장 노동: 고용과 실업
41 테일러시스템과 포드시스템
42 포드식 작업관리법의 위기
43 포스트 테일러시스템
44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45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불안정
46 임금의 결정
47 노동조합의 위기
48 실업의 계산법
49 실업의 특징과 진행과정
50 실업의 분석

6장 화폐와 금융
51 화폐의 경제적인 기능
52 화폐의 흐름과 실물경제의 상호관계
53 화폐의 형태
54 통화의 발행
55 은행
56 중앙은행의 역할
57 금융시장
58 금융시장과 금융상품의 다각화
59 기업의 자금조달
60 부채경제와 금융경제

7장 국제통화제도
61 국제통화제도의 역할
62 브레턴우즈협정 이전의 국제통화제도
63 브레턴우즈체제의 위기
64 변동환율제
65 달러 가치의 상승과 하락
66 국제수지
67 환율의 결정요인
68 개발도상국의 재정위기
69 유럽통화동맹
70 금융의 세계화

8장 국제무역
71 제2차 세계대전까지의 국제무역
7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경제의 국제화
73 보호주의와 자유주의 간의 논쟁
74 국제무역과 경제성장
75 GATT에서 WTO까지
76 노동의 국제분업
77 외부로부터의 제약
78 경쟁력의 결정요인
79 유럽공동체의 결성
80 경제의 세계화

9장 경제정책
81 경기정책과 구조적 정책
82 경기정책의 방향
83 유럽 경기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84 유럽 구조적 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85 통화정책
86 재정정책
87 소득정책과 물가정책
88 환율정책
89 고용정책
90 사회정책

10장 경제이론들
91 경제이론의 서막
92 고전경제학파
93 신고전학파
94 마르크스 경제학
95 존 메이너드 케인스
96 케인스의 분석
97 신자유주의
98 비정통이론
99 새고전경제학
100 신케인스 경제학

옮긴이의 말
감수자의 말
찾아보기

저자소개

마르크 몽투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학을 전공, 리옹에 있는 폴클로델고등학교에서 경제와 무역을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반드시 읽어야 할 인문·사회과학서 100선』(공저), 『사회학이란 무엇인가』(공저), 『경제학 사전』(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도미니크 샹블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학을 전공, 랑부이에에 있는 루이바스캉고등학교에서 경제와 사회를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반드시 읽어야 할 인문·사회 과학서 100선』(공저), 『현대 경제학의 이해』(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강주헌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프랑스 브장송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한국외국어대학교와 건국대학교 등에서 언어학을 강의했으며, 2003년 ‘올해의 출판인 특별상’을 수상했습니다. 옮긴 책으로 『권력에 맞선 이성』, 『촘스키, 세상의 권력을 말하다』, 『촘스키처럼 생각하는 법』 등 노엄 촘스키의 저서들과 『문명의 붕괴』, 『어제까지의 세계』, 『총, 균, 쇠』 등 100여 권이 있습니다. 노암 촘스키의 생성 문법으로 석사 논문과 박사 논문을 썼고, 프랑스 언어학자 모리스 그로스의 분포 문법으로부터도 많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두 이론은 상충되는 면이 있지만, 그로스의 분포 문법론과 촘스키의 생성 문법론을 결합해 보려는 시도로 문법 에세이 형식의 『원서, 읽(힌)다』 및 다양한 장르의 원문에 대한 번역방법론을 다룬 『원문에 가까운 번역문을 만드는 법』을 집필했습니다.
펼치기
손민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노동경제학 및 경제성장론을 연구했다. 현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환경부, 연세대학교 연구처, 국회도서관 의뢰 연구과제 참여연구원으로 연구 활동을 시작했다. 주요 저서로 《SERI 전망》(공저), 《새한국형 경제운용시스템을 찾아서》(공저), 《한국경제 20년 재조명》(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 《모든 것의 가격》 《100년 후》 《2020 세계경제의 라이벌》《미래를 읽는 기술》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엥겔의 법칙’은 독일의 통계학자 E. 엥겔(Ernst Engel, 1821~1896)의 이름을 딴 법칙이다. 엥겔의 법칙에서는 예산지수라는 개념을 사용할 수 있다. 예산지수는 소비에 할당된 예산에서 어떤 상품 혹은 어떤 계통의 상품들을 구입하는 데 지출된 소비의 몫이다(가계지수들의 총계는 1이다). 엥겔의 법칙에 따르면 소득이 높아지면 식료품과 같은 기초생활품의 예산지수는 낮아지는 반면 레저, 건강 등 덜 시급한 재화들에 지출되는 예산지수는 높아진다. 경제위기가 닥친 초기에 가계소득은 완만하면서도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였다. 따라서 소비구조도 그 변화에 따랐다. 사회계층의 소비 변화와 엥겔의 법칙을 살펴보자. 소비구조는 사회계층의 생활수준에 따라 다르다. 예컨대 1차 필수품의 지출이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중산계급이나 상류계급에 비해 하층계급에서 높다. 하층민의 가계는 빡빡한 예산 때문에 1차 필수품에 지출하는 총액은 미미하지만, 총 소비 예산에서 1차 필수품의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무척 높다. 반면 덜 필수적인 재화의 소비에 지출하는 예산계수는 중산계급이나 상류계급에 비해 낮다.


자본주의체제에서는 시장이 경제를 조절하지만, 사회주의체제에서는 정부가 경제를 규제한다. 따라서 자원들은 경제와 사회의 필요성에 따라서 독재적 방식으로, 즉 정부가 결정한 우선순위에 따라서 분배된다. 자본주의체제에서는 가격이 자유롭게 결정되기 때문에 생산이 수요에 민감하게 부응하지만(수요가 증가해서 가격이 올라가면 기업은 자연스레 생산을 늘린다), 사회주의체제에서는 정부가 설정한 필요성에 따라 가격이 강제적으로 결정된다. 전체적인 방향을 결정하는 정부 혹은 당(黨)이 질과 양을 세밀하게 결정하면서 기업들에게 생산을 할당한다. 따라서 기업은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정부의 계획을 달성하기 위해 생산한다. 모두의 이익을 보장하는 사회를 건설하겠다는 의지, 즉 사회주의적 경쟁심은 일반적으로 급속히 무뎌진다. 따라서 노동자와 기업의 생산성을 고취시키기 위해서, 생산에 필요한 재화를 낭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할당량만 채우면 된다는 생각 때문에 품질을 무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물질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인 인센티브 정책을 시도한다. 특별수당과 훈장의 포상 등이 대표적인 예다.


모든 상품과 마찬가지로 노동도 시장에서 교환된다. 따라서 노동의 가격, 즉 임금도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결정된다. 노동의 공급은 임금의 증가함수인 반면, 노동의 수요는 임금의 감소함수다. 공급과 수요의 변화는 임금 수준의 등락을 야기한다. 그래도 임금은 탄력적이어야 하며, 가격결정원리를 지켜야 한다. 미시경제학에 따르면 순수완전경쟁이 보장될 때 기업은 시장법칙에 의해 결정된 임금 수준을 받아들인다. 이때 기업은 가격순응자가 된다. 그 후 기업은 고용 수준을 결정한다. 노동의 한계생산성은 추가로 더해지는 임금과 같기 때문이다. 노동의 한계생산성은 마지막으로 투입된 노동의 한 단위가 생산한 양이다. 복지국가를 지향하며 정부가 경제에 간섭하고 경제성장을 구가하던 시기에 임금은 경직성(→ 45.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불안정)을 띠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