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26895702
· 쪽수 : 230쪽
· 출판일 : 2019-09-11
목차
들어가는 말
1부 교육소외와 교육복지
제1장 교육소외와 교육복지
1. 교육소외의 의미
2. 교육복지의 의미
제2장 교육소외의 모습
1. 몇몇 사례들
2. 배움으로부터의 소외
3. 관계의 단절
4. 학교 밖 청소년
제3장 교육소외의 원인
1. 사회환경적 요인
2. 학교조직 요인
3. 교육 내재적인 요인
제4장 학교의 형식주의와 교사의 소외
1. 형식주의의 개념과 속성
2. 형식주의의 원인 및 작동구조
3. 형식주의의 기능 및 병폐
2부 교육소외 극복을 위한 학교변화
제5장 교육복지적 교육의 조건
1. 여는 교육
2. 민주주의를 위한 교육
3. 교육의 보편적?다원적?절대적 수월성
제6장 학교변화의 속성
1. 학교변화의 요건
2. 조직변화의 조건과 과정
제7장 변화를 지향하는 학교문화
1. 조직문화로서의 학교문화
2. 학교구성원의 인지모형: 문화모형
3. 변화하는 학교의 문화적 속성
4. 변화지향 학교문화의 형성: 패러다임과 리더십
제8장 학교의 교육복지역량 제고
1. 무엇을 위한 어떤 변화?: Why and What
2.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How
후기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교육소외는 학습자가 유의미한 학습 기회로부터 소외되는 것이다. 이 책은 교육소외가 우리 교육이 안고 있는 가장 핵심적인 문제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쓰였으며,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교육복지의 의미를 살펴보고 교육복지 실천의 중심 기관인 학교의 요건과 혁신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학교교육에 내재되어 있는 교육소외의 발생 원인을 집중적으로 다루었고,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학교 조직문화의 변화 방향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의 교육복지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방법론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심화되고 있는 교육소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 학교교육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 이 책을 통해 대안을 제시한다.
- 들어가는 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