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연암의 뜨락을 거닐다

연암의 뜨락을 거닐다

김봉진 (지은이), 양상용 (그림), 김진옥, 김준섭 (감수)
한국고전번역원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000원 -0% 2,500원
500원
12,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연암의 뜨락을 거닐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연암의 뜨락을 거닐다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문학 > 청소년 소설
· ISBN : 9788928404162
· 쪽수 : 230쪽
· 출판일 : 2016-09-19

책 소개

서얼이라는 신분의 굴레와 가난한 삶 때문에 절망하며 지내던 일석이 아버지의 스승이었던 연암 선생을 만나, 그가 들려주는 세상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닫혀 있던 마음의 문을 열고 꿈을 찾아나서는 성장 과정을 액자 소설 형식으로 풀어냈다.

목차

작가의 말

연암 선생을 만나다
1. 선비를 꾸짖은 호랑이 호질 虎叱
2. 양반에 대한 이야기 1 양반전 兩班傳
3. 양반에 대한 이야기 2 허생전 許生傳
4. 정직과 신의를 지킨 거지 광문자전 廣文者傳
5. 오물 속에서도 향기를 발한 사람 예덕선생전 穢德先生傳
6. 벗을 사귀는 도리 마장전 馬駔傳
7. 능력을 인정받지 못한 천재 시인 우상전 虞裳傳
8. 세상 속으로 숨은 신선 김신선전 金神仙傳
9. 세상에 당당했던 늙은이 민옹전 閔翁傳

바람처럼 왔다가 바람처럼 떠나간
연암 선생을 그리며
연암 박지원 선생의 삶과 소설

저자소개

김봉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공학을, 대학원에서 현대소설을 전공하였다. 역사와 문학을 공부하고 문학평론가로 활동하면서, 여러 대학에서 글씨기와 국문학을 가르쳤다. 지은 책으로는 <박태원 소설세계>, <소설 속 풍경 읽기>, <독서지도 방법론과 실제>, <나를 찾는 글쓰기 글짓기>, <볼모가 된 왕들> 등이 있다. ranto@hanmail.net
펼치기
양상용 (그림)    정보 더보기
1963년 전남 화순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에서 동양화를 공부했습니다. 지금은 경기도 파주에 살면서 어린이 책에 그림 그리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물고기를 좋아해서 자주 강이나 둠벙으로 물고기를 관찰하러 다닙니다. 딸과 함께 집 둘레 강과 산, 둠벙 들을 돌아다니며 자연을 관찰한 이야기를 어린이 잡지 <개똥이네 놀이터>에 3년 넘게 연재했습니다. 그림책 《냇물에 뭐가 사나 볼래?》, 《고구마는 맛있어》, 《풀아 풀아 애기똥풀아》, 《무명천 할머니》,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호랑이》, 《사할린 아리랑》, 동화책 《밤티 마을 큰돌이네 집》, 《무서운 학교 무서운 아이들》, 《바람의 아이》, 《만년 샤쓰》, 동시집 《별똥 떨어진 곳》, 《산새알 물새알》, 《일락일락 라일락》, 《작은 행복》 등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펼치기
김진옥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9년 출생 高麗大學校 文學博士(고전번역) 民族文化推進會 國譯硏修院 상임연구부 졸업 한국고전번역원 책임연구원 論著 및 譯書 論著 <≪世說新語≫에 대한 일고찰>, <조선 후기 官署志에 대한 고찰> 등 譯註書 ≪의금부의 청헌, 금오헌록≫ 등 共譯 ≪일성록≫, ≪정조실록≫ 등
펼치기
김준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국어국문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에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네 아비가 저세상으로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도 나는 공무에 치여 문상하러 오질 못했다. 모진 사람 같으니라고. 어린 자식을 남기고 먼저 가 버렸으니, 원. 쯧쯧.”
선생은 나를 보며 아버지를 떠올리는 것 같았다. 그러더니 애써 슬픈 기억을 털어 버리려는 듯 말을 꺼내셨다.
“그래, 어떻게 지냈느냐? 네 모친은 여전하고?”
나는 요사이 하는 일 없이 집에만 틀어박혀 있다고 사실대로 말할 수 없었다. 어머니의 안부를 전하고, 잠시 글공부를 쉬고 있다고 얼버무렸다. 그런 나를 보는 선생의 눈빛은 내 마음을 꿰뚫어 보는 듯 강렬하고 매서웠다. 연암 선생은 내 말을 듣고 한참 동안 아무 말이 없으셨다.
“이 집엔 어쩐 일로 오셨습니까?”
어색한 분위기를 돌리기 위해 내가 먼저 입을 열었다. 선생은 잠시 나를 지긋이 바라보더니 말씀하셨다.
“잠시 쉬기도 할 겸 예전에 살던 집을 한번 둘러보러 왔다. 당분간은 이 집에서 지낼 생각이다.”
말씀이 끝나자 또다시 침묵이 이어졌다. 나는 얼른 자리를 뜨고 싶었다. 지금 나의 처지와 어두운 마음을 들킬 것 같았다. 잠시 눈치를 보다가 인사를 올리고 물러나야겠다고 마음먹었다.
「연암 선생을 만나다」 중에서

“내가 중국에 갔을 때 어떤 집 벽에서 본 글이 있다. 호랑이에 대해서 쓴 내용이었는데, 점심도 배불리 먹었겠다 어디, 내 이야기 좀 들어 보겠느냐?”

자기 것이 아닌 것을 취하고, 남을 못살게 굴며 생명을 뺏는 자를 도적이라 한다더군. 너희들은 밤낮으로 남의 것을 착취하고 돈을 형님으로 모시며 명예를 위해 아내를 죽이는 일도 아무렇지 않게 한다. 심지어 메뚜기에게서 밥을 빼앗고 누에에게서 옷을 빼앗으며, 벌에게서 꿀을 약탈하고 개미 알로 젓을 담그니 인간보다 더 잔인한 존재가 세상에 또 있을까?
하늘의 눈으로 보면 호랑이나 인간이나 모든 존재들은 가치 있는 생명이다. 그런데 인간들은 다른 생명들을 약탈하고 죽여 그들이 가진 것을 빼앗지. 우리 호랑이도 말과 소를 잡아먹기는 하지만 너희만큼은 아니다. 그렇다면 인간이야말로 천하의 가장 큰 도적이 아니겠느냐? 그러면서 인륜의 도리를 논하는 꼴이 참으로 같잖구나.
「선비를 꾸짖은 호랑이 호질」 중에서

“하늘은 백성을 네 종류로 내었다. 그중에 양반인 선비가 가장 귀하다. 양반은 그야말로 이익이 막대하다. 농사나 장사를 하지 않고 옛글과 역사를 대강 익히면 크게는 문과에 급제할 것이요 작게는 진사가 될 것이다. 문과 급제 후 합격 증서인 홍패를 받는데, 두 자 남짓한 이 홍패를 보고 사람들은 온갖 물건들을 갖다 바칠 것이다. 그러니 이게 바로 돈주머니라 할 수 있다. 서른에야 진사가 되어 벼슬에 발을 들여놓아도, 이름난 음관蔭官이 되어 높은 자리에 오를 수 있다. 일산 쓰고 부채 바람 쐬어서 귀가 하얗게 되고, 모든 일을 종에게 시키니 뱃살이 처지게 될 것이다. 방 안에는 기생들을 즐비하게 거느리고, 뜨락에는 곡식을 뿌려 두고 학을 기른다. 시골에 사는 궁한 선비라도 이웃의 소로 내 밭을 먼저 갈게 하고, 일꾼들 시켜 내 논의 김을 매게 해도 감히 거역하는 자가 없을 것이다. 코에 잿물을 붓고 상투 잡아 도리질을 치며, 귀밑머리나 수염을 다 뽑아도 감히 원망할 자가 없을 것이다.”
“그만두십시오. 나더러 도적놈이 되라는 말입니까?”
부자는 군수가 증서를 다 읽기가 무섭게 귀를 막으며 소리쳤다.
그러고는 곧장 관아의 문을 박차고 나가며 다시는 양반이란 말을 입에 올리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양반에 대한 이야기 1 양반전」 중에서

자네가 천한 일을 한다고 무시하는 엄 행수는 나의 인정을 받으려고 애쓰지 않았네. 그런데도 나는 언제나 그를 칭찬하고 싶어 안달이지. 그는 끼니때마다 밥을 든든하게 먹고, 길을 걸을 때는 조심조심 걷고, 졸리면 쿨쿨 편하게 자고, 웃을 때는 시원하게 껄껄 웃는다네. 그러다 가만히 있을 때는 바보처럼 보이기도 하지. 그는 흙으로 벽을 쌓고 짚으로 지붕을 덮은 움막에 조그마한 구멍을 내고 들락거리며 지내지. 들어갈 때는 새우등을 하고 잘 때는 개처럼 웅크리고 잠을 자지만, 아침이면 즐겁게 일어나 삼태기를 메고 마을로 내려와 뒷간을 청소한다네.
구월에 비와 서리가 내리고 시월에 얇은 얼음이 얼면, 뒷간에 말라붙은 사람 똥과 마구간의 말똥, 외양간의 소똥, 홰 밑에 쌓인 닭똥, 개똥, 거위 똥, 돼지 똥 그리고 비둘기 똥, 토끼 똥, 새똥 따위를 보물처럼 여기며 거둬 가지만 그것이 청렴함에 해가 되지 않고, 모든 이익을 혼자 다 갖지만 그것이 의로움에 해가 되지 않는다네. 욕심을 부려 더 많이 얻으려 애써도 어느 누구도 그가 만족할 줄 모른다고 말하지 않지.

나는 똥을 치우는 엄 행수보다는 훨씬 나은 운명을 타고났다. 그런데도 나는 내 운명을 증오했었다. 아무것도 할 수 없고 차별만 받는 삶이 사무치도록 원망스러웠다. 그런데 선생의 이야기를 듣고 나니 이 세상에서 못할 일은 없을 것 같았다. 내 운명이 아무리 나를 얽어매도 도망치지 않을 수 있을 것 같았다. 이미 정해진 운명이지만 나는 내 삶에서 향기를 내뿜을 것이다. 원망과 욕심을 버리고 묵묵히 나만의 길을 찾아갈 것이다.
「오물 속에서도 향기를 발한 사람 예덕선생전」 중에서

그의 말을 들은 민 영감은 대수롭지 않은 표정으로 말했다.
“그 작은 벌레가 무슨 큰 근심이 되겠나? 내가 보기에는 저 종로 거리에 가득 찬 것들이 모두 황충이라네. 하나같이 키는 칠 척인데 머리는 검고 눈은 반짝거리지. 입은 주먹이 들어갈 만큼 큰데 시끌벅적하게 떠들며, 구부정한 모습으로 줄줄이 몰려다니면서 곡식이란 곡식은 죄다 먹어 치운다네. 농사를 해치고 곡식을 짓밟는 데에는 이들 무리보다 더한 것이 없네. 내가 그것들을 잡고자 하였지만 바가지가 작아 잡지 못했네. 큰 바가지가 없는 것이 한스러울 뿐이야.”
좌우에 있던 사람들은 민 영감의 말뜻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정말로 그런 벌레가 있나 싶어 두려워하였다.
이렇게 민 영감은 모든 말에 재치 있게 대꾸하고 해학적으로 받아쳤다. 그러면서도 날카롭게 세상의 잘못을 비판하기도 했다. 민 영감은 나를 찾아온 이듬해에 세상을 떠났다.
「세상에 당당했던 늙은이 민옹전」 중에서

선생은 함자는 지원趾源이고 자는 미중美仲이며, 본관은 반남潘南이다. 일찍이 나의 선친과 교분이 두터웠는데, 선친께서 작고하신 후 통 뵙지 못하다가 선생께서 잠시 한양의 옛집에 들르셨을 적에 다시 뵙게 되었다.
당시 나는 심한 우울증을 앓고 있었다. 방 안에 틀어박힌 채 세상과 벽을 쌓고 내 처지를 비관하는 일에 온 힘을 쏟고 있었다. 그때 우연히 다시 만난 연암 선생은 내게 많은 가르침을 주시며 내가 세상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손을 잡아 이끌어 주셨다.

특히나 잊지 못할 가르침 중 하나는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자신의 뜻을 펼 수 없었지만 끝내 세상을 떠나지 않고 세상 속에 숨어 살며 신선이라 불렸던 김홍기와 해학과 골계로 세상을 조롱하고 풍자하며 당당하게 세상에 맞섰던 민유신의 이야기를 통해, 내가 서자로서 느낀 자괴감을 극복하고 세상을 살아갈 힘을 얻을 수 있게 해 주었다.
「연암 선생을 그리며」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