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설신어보 4

세설신어보 4

왕세정 (지은이), 김진옥, 김태훈, 남성우 (옮긴이)
전통문화연구회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1,500원
28,500원 >
30,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3,00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설신어보 4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설신어보 4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57945016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2-05-31

책 소개

위진남북조 시대에 유송의 유의경이 후한 말부터 동진 말까지 실존했던 명사들의 언행과 일화를 모아 주제별로 실어놓은 서적이다. 이 책에 실린 인물들이 실제 생존했던 사람들이고 당시의 명사들이었기 때문에 이후 문인들의 애독서가 되었다.

목차

≪世說新語補 4≫ 目 次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凡 例

世說新語補 14卷
27. 망자에 대한 슬픔 傷逝 / 11
28. 은거한 사람들 棲逸 / 48

世說新語補 15卷
29. 훌륭한 여인들 賢媛 / 89
30. 신묘한 예지력 術解 / 141

世說新語補 16卷
31. 뛰어난 기예 巧藝 / 168
32. 총예받은 사람들 寵禮 / 182
33. 거침없는 처신(上) 任誕 上 / 212

世說新語補 17卷
34. 거침없는 처신(下) 任誕 下 / 241
35. 거리낌 없는 오만함 簡傲 / 264
36. 재치 넘치는 농담(上) 排調 上 / 297

[附 錄]
1. ≪世說新語補4≫ 參考書目 / 319
2. ≪世說新語補4≫ 參考圖版 目錄 / 324
3. ≪世說新語補≫ 總目次 / 326
4. ≪世說新語補≫ 解題 / 326

저자소개

왕세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가 원미(元美), 호가 봉주(鳳州)·엄주산인이며 태창[太倉: 지금의 장쑤성(江蘇省)에 속함] 사람이다. 명나라 가정 26년(1547)에 진사가 되었으며, 남경 형부주사(刑部主事)와 산동부사(山東副使)를 지냈다. 왕세정은 당시 정권을 전횡하던 엄숭(嚴嵩) 부자를 탄핵한 양계성(楊繼盛)을 변호했는데, 그 일로 엄숭이 그의 부친을 죽이고 그를 파직시켰다. 나중에 엄숭이 세력을 잃자 왕세정은 다시 기용되어 형부상서(刑部尙書)까지 올랐다.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후칠자(後七子)’의 영수가 되었으며, 이반룡이 죽은 뒤로는 20년간 문단을 이끌었다. 저작으로는 ≪세설신어보≫ 외에 ≪엄주산인사부고≫ 174권, ≪속고(續稿)≫ 207권, ≪독서후(讀書後)≫ 8권과 ≪고불고록≫, ≪완위여편(宛委餘編)≫, ≪염이편(艶異編)≫, ≪봉주필기(鳳洲筆記)≫, ≪엄주고선≫, ≪전당시설(全唐詩說)≫, ≪엄산당별집≫, ≪가정이래수보전(嘉靖以來首輔傳)≫, ≪화원≫, ≪서원(書苑)≫, ≪엄주산수제발≫, ≪이물휘원(異物彙苑)≫, ≪휘원상주(彙苑詳註)≫, ≪사승고오(史乘考誤)≫, ≪척독청재(尺牘淸裁)≫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진옥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9년 출생 高麗大學校 文學博士(고전번역) 民族文化推進會 國譯硏修院 상임연구부 졸업 한국고전번역원 책임연구원 論著 및 譯書 論著 <≪世說新語≫에 대한 일고찰>, <조선 후기 官署志에 대한 고찰> 등 譯註書 ≪의금부의 청헌, 금오헌록≫ 등 共譯 ≪일성록≫, ≪정조실록≫ 등
펼치기
남성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9년 출생 高麗大學校 한문학과 졸업 民族文化推進會(현 韓國古典飜譯院) 전문위원 民族文化推進會(현 韓國古典飜譯院) 부설 敎育硏修院 상임연구원(현 전문과정) 졸업 韓國古典飜譯院 표점교감팀 연구원 釜山大學校 점필재연구소 연구원 檀國大學校 동양학연구원 연구원 高麗大學校 한자한문연구소 연구원(現) 論著 및 譯書 譯書 ≪黃山遺藁≫, ≪桑韓唱和塤?集≫, ≪栢後遺集≫, ≪沔陽雜錄≫ 등 共譯 ≪金鼎奎日記≫, ≪使行錄≫, ≪石谷散稿≫, ≪承政院日記≫, ≪續陰晴史≫, ≪朝鮮王朝御冊≫ 등
펼치기
김태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1년 출생 高麗大學校 문과대학 한문학과 학사 高麗大學校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석사 수료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現) 譯書 共譯 ≪승정원일기≫, ≪신역 조선왕조실록≫
펼치기

책속에서

친구에 대한 사무치는 그리움

27-16 지도림(支道林)은 법건이 세상을 떠난 뒤에 정신도 쇠약해지고 풍채도 점차 시들해졌으니, 한번은 사람들에게 말하였다.
“옛날에 장석(匠石)은 영(郢)땅 사람이 <죽자> 도끼질을 그만두었고 백아(伯牙)는 종자기(鍾子期)가 <죽자> <거문고 연주를> 그만두었다네. <법건에 대한> 나의 마음을 미루어 밖으로 <그들의 일을> 헤아려보니 <그들의 마음은> 진실로 거짓이 아니오. 명계가 세상을 떠난 뒤로는 말을 해도 품평해줄 사람이 없어 마음속이 꽉 막혀 있으니 나는 장차 죽을 것이오.”
1년 뒤에 지도림은 결국 세상을 떠났다.
支道林은 喪法虔之後에 精神霣喪하고 風味轉墜라 常謂人曰 昔匠石은 廢斤於郢人하고 牙生은 輟弦於鍾子하니 推己外求컨대 良不虛也라 冥契旣逝에 發言莫賞하여 中心蘊結하니 余其亡矣라하다 卻後一年에 支遂殞이라
- 〈27. 망자에 대한 슬픔 傷逝〉 中에서 -


부침(浮沈)의 어원

33-34 은홍교(殷洪喬)가 예장태수(豫章太守)가 되어 부임해갈 때 수도의 사람들이 그 편에 100 여 통의 편지를 부탁하였는데, 석두(石頭)에 도착한 뒤에 그 편지들을 모두 물에 던지며 빌었다.
“가라앉을 것은 가라앉고 떠오를 것은 떠오르라. 은홍교는 우체부가 될 수 없다.”
殷洪喬作豫章郡臨去에 都下人이 因附百許函書한대 既至石頭하여 悉擲水中하고 因祝曰 沈者自沈하고 浮者自浮하라 殷洪喬不能作致書郵라하다
- 〈33. 거침없는 처신 (상) 任誕 上〉 中에서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