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설신어보 3

세설신어보 3

왕세정 (지은이), 김진옥, 김태훈, 남성우 (옮긴이)
전통문화연구회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1,450원
27,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설신어보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설신어보 3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5794292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1-04-30

책 소개

명대의 문인인 왕세정이 유의경이 편찬한 '세설신어'와 하양준이 편찬한 '하씨어림' 중에서 각각 일부분을 뽑아내어 합쳐서 만든 것이다. 본서의 근간이 되는 '세설신어'는 실존했던 명사들의 언행과 일화를 모아 주제별로 실어놓은 서적이다.

목차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凡 例

世說新語補 卷十
16. 상예 하 賞譽 下 / 11
17. 품조 상 品藻 上 / 47

世說新語補 卷十一
18. 품조 하 品藻 下 / 76
19. 규잠 상 規箴 上 / 121

世說新語補 卷十二
20. 규잠 하 規箴 下 / 144
21. 첩오 捷悟 / 171
22. 숙혜 夙惠 / 189

世說新語補 卷十三
23. 호상 豪爽 / 227
24. 용지 容止 / 250
25. 자신 自新 / 281
26. 기선 企羨 / 289

[附 錄]
1. ≪世說新語補3≫ 參考書目 / 311
1. ≪世說新語補3≫ 圖版目錄 / 316
2. ≪世說新語補≫ 總目次 / 318
3. ≪世說新語補≫ 解題 / 318

저자소개

왕세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가 원미(元美), 호가 봉주(鳳州)·엄주산인이며 태창[太倉: 지금의 장쑤성(江蘇省)에 속함] 사람이다. 명나라 가정 26년(1547)에 진사가 되었으며, 남경 형부주사(刑部主事)와 산동부사(山東副使)를 지냈다. 왕세정은 당시 정권을 전횡하던 엄숭(嚴嵩) 부자를 탄핵한 양계성(楊繼盛)을 변호했는데, 그 일로 엄숭이 그의 부친을 죽이고 그를 파직시켰다. 나중에 엄숭이 세력을 잃자 왕세정은 다시 기용되어 형부상서(刑部尙書)까지 올랐다.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후칠자(後七子)’의 영수가 되었으며, 이반룡이 죽은 뒤로는 20년간 문단을 이끌었다. 저작으로는 ≪세설신어보≫ 외에 ≪엄주산인사부고≫ 174권, ≪속고(續稿)≫ 207권, ≪독서후(讀書後)≫ 8권과 ≪고불고록≫, ≪완위여편(宛委餘編)≫, ≪염이편(艶異編)≫, ≪봉주필기(鳳洲筆記)≫, ≪엄주고선≫, ≪전당시설(全唐詩說)≫, ≪엄산당별집≫, ≪가정이래수보전(嘉靖以來首輔傳)≫, ≪화원≫, ≪서원(書苑)≫, ≪엄주산수제발≫, ≪이물휘원(異物彙苑)≫, ≪휘원상주(彙苑詳註)≫, ≪사승고오(史乘考誤)≫, ≪척독청재(尺牘淸裁)≫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진옥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9년 출생 高麗大學校 文學博士(고전번역) 民族文化推進會 國譯硏修院 상임연구부 졸업 한국고전번역원 책임연구원 論著 및 譯書 論著 <≪世說新語≫에 대한 일고찰>, <조선 후기 官署志에 대한 고찰> 등 譯註書 ≪의금부의 청헌, 금오헌록≫ 등 共譯 ≪일성록≫, ≪정조실록≫ 등
펼치기
남성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9년 출생 高麗大學校 한문학과 졸업 民族文化推進會(현 韓國古典飜譯院) 전문위원 民族文化推進會(현 韓國古典飜譯院) 부설 敎育硏修院 상임연구원(현 전문과정) 졸업 韓國古典飜譯院 표점교감팀 연구원 釜山大學校 점필재연구소 연구원 檀國大學校 동양학연구원 연구원 高麗大學校 한자한문연구소 연구원(現) 論著 및 譯書 譯書 ≪黃山遺藁≫, ≪桑韓唱和塤?集≫, ≪栢後遺集≫, ≪沔陽雜錄≫ 등 共譯 ≪金鼎奎日記≫, ≪使行錄≫, ≪石谷散稿≫, ≪承政院日記≫, ≪續陰晴史≫, ≪朝鮮王朝御冊≫ 등
펼치기
김태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1년 출생 高麗大學校 문과대학 한문학과 학사 高麗大學校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석사 수료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現) 譯書 共譯 ≪승정원일기≫, ≪신역 조선왕조실록≫
펼치기

책속에서

22-18 孫齊由(孫潛)와 孫齊莊(孫放) 두 사람이 어렸을 때 庾公(庾亮)에게 갔는데, 유공이 제유에게 물었다.
“字가 무엇이냐?”
제유가 대답하였다.
“자는 제유입니다.”
유공이 말하였다.
“누구와 같이 되고 싶은 것이냐?”
제유가 대답하였다.
“許由와 같이 되고 싶습니다.”
齊莊에게 자가 무엇인지 묻자, 제장이 대답하였다.
“자는 齊莊입니다.”
유공이 말하였다.

孔子
“누구와 같이 되고 싶은 것이냐?”
제장이 대답하였다.
“莊周와 같이 되고 싶습니다.”
유공이 말하였다.
“어찌 仲尼(孔子)를 본받지 않고 莊周를 본받으려 하느냐?”
제장이 대답하였다.
“성인께서는 나면서부터 <만물의 이치를> 아시는 분이기 때문에 같아지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유공이 아이들의 대답에 크게 기뻐하였다.

孫齊由?齊莊二人이 小時詣庾公한대 公問齊由何字오하니 答曰 字齊由라 公曰 欲何齊邪(야)오하니 曰 齊許由①라 齊莊何字오하니 答曰 字齊莊이라 公曰 欲何齊오하니 曰齊莊周라 公曰 何不慕仲尼하고 而慕莊周오하니 對曰 聖人은 生知라 故難企慕라하니 庾公이 大喜小兒對라
①≪晉百官名≫에 말하였다. “孫潛은 字가 齊由이고, 太原 사람이다.”
≪中興書≫에 말하였다. “손잠은 孫盛의 큰아들이다. 豫章太守 殷仲堪이 王國?를 토벌하러 내려갔을 때, 손잠은 당시 郡에 있다가 억지로 咨議參軍에 임명되었으나 극력 사양하고 취임하지 않다가 결국 근심으로 인해 죽었다.”
晉百官名曰 “孫潛, 字齊由, 太原人.” 中興書曰 “潛, 盛長子也. 豫章太守殷仲堪, 下討王國?, 潛時在郡, 逼爲咨議參軍, 固辭不就, 遂以憂卒.”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