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송자대전 11

송자대전 11

송시열 (지은이), 정문채 (옮긴이)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송자대전 1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송자대전 11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28410941
· 쪽수 : 608쪽
· 출판일 : 2023-12-31

책 소개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문집으로, 우리나라의 개인 문집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의 책이다. 송시열은 조광조, 이이, 김장생, 김집으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의 학통을 계승한 조선 주자학의 대학자이다.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문집으로, 우리나라의 개인 문집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의 책이다. 송시열은 조광조, 이이, 김장생, 김집으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의 학통을 계승한 조선 주자학의 대학자이다. 《송자대전》의 구성은 목록 2권, 원집 215권, 부록 19권, 송서습유(宋書拾遺) 9권, 송서속습유(宋書續拾遺) 3권, 송자대전수차(宋子大全隨箚) 13권으로 도합 261권 130책으로 편차되어 있다.
권수에는 정조가 송시열의 묘소와 송시열을 향사하는 서원 및 사당에 내린 어제비명과 사제문 8편이 연대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권1~4는 시부(詩賦)로 620제(題) 856수가 수록되어 있다. 권5~26은 봉사(封事), 소차(疏箚), 계사(啓辭), 헌의(獻議) 등 임금에게 올리는 주의류(奏議類)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권27~129는 서(書)이다. 5500여 편의 편지가 수록되어 원집 215권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03권(48%)을 차지하고 있다. 권130~136은 잡저(雜著)로 총 89편이다. 경서에 대한 논변을 비롯하여 예설(禮說), 자설(字說), 시사(時事)에 관한 설 등 다양한 주제의 글들이 수록되어 있다. 권137~150은 서(序), 기(記), 발(跋), 명(銘), 잠(箴) 등이다. 권151~153은 축문(祝文), 제문(祭文), 애사(哀辭)이다. 권154~171에는 신도비명(神道碑銘) 97편, 묘정비(廟庭碑)․유허비(遺墟碑) 등 25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172~180에는 묘갈명 108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181에는 효종의 〈영릉지문(寧陵誌文)〉과 현종비 명성왕후(明聖王后)와 숙종비 인경왕후(仁敬王后)의 지문 등 능지 3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182~188에는 묘지 73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189~201에는 묘표 248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202~211은 시장(諡狀)과 행장(行狀)이다. 권212~215는 유사(遺事), 어록(語錄), 전(傳)이다.
부록은 19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은 교서(敎書)와 사제문(賜祭文)이고, 권2~12에는 연보가 수록되어 있다. 권13에는 묘표 1편과 화상찬(畫像贊) 3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14~18은 송시열의 어록이며, 권19는 기술잡록(記述雜錄)으로 제자와 재전제자 23명이 송시열에 대한 기록을 각종 자료에서 뽑아 정리한 것이다.
송서습유(宋書拾遺)는 9권 4책으로 《송자대전》 원집에서 누락된 시문을 수집하여 간행한 것이다. 권1~6에는 시 13편, 서계 3편, 서(書) 448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7~8에는 잡저, 서(序), 발(跋), 축문, 묘지명, 묘표, 유사 등 33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9는 효종․현종․숙종 연간에 경연에 참여하여 강의한 내용을 정리한 〈경연강의(經筵講義)〉이다.
송서속습유(宋書續拾遺)는 3권 2책으로 습유 이후에 저자의 유문과 관계 기록을 다시 수집하여 간행한 것이다. 수록된 저자의 유문은 시 7편과 서(書) 56편, 문익점(文益漸)의 유사(遺事)와 구혜(具譓)의 묘갈명 각 1편이다. 나머지 2권은 부록이다. 권1은 영조에서 고종까지 임금이 내린 사제문이고, 권2는 우암이 정읍에서 사약을 받을 때부터 제자들이 상례를 치르고 장사를 지내기까지의 정황을 상세히 기록한 〈초산일기(楚山日記)〉와 윤봉구(尹鳳九)가 쓴 우암의 묘지가 수록되어 있다.
송자대전수차(宋子大全隨箚)는 13권 6책으로 《송자대전》의 주해서(註解書)이다. 권1~12에는 각 권의 판차별로 난해한 어구, 오탈자, 시사(時事)와 관련한 주석을 달아 놓았으며, 권13 〈목록〉에는 《송자대전》의 편지 수신자 500여 명에 대한 인물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목차

일러두기∙4

송자대전 제50권

서書
이계주에게 보냄 신유년 1월 16일 與李季周 辛酉正月十六日∙19
별지∙20
이계주에게 답함 신유년 2월 23일 答李季周 辛酉二月二十三日∙21
이계주에게 답함 신유년 2월 27일 答李季周 辛酉二月二十七日∙23
이계주에게 보냄 신유년 5월 8일 與李季周 辛酉五月八日∙24
이계주에게 답함 신유년 8월 2일 答李季周 辛酉八月二日∙25
별지∙26
이계주에게 보냄 임술년 1월 16일 與李季周 壬戌正月十六日∙28
이계주에게 답함 임술년 8월 7일 答李季周 壬戌八月七日∙29
별지∙31
이계주에게 답함 임술년 10월 27일 答李季周 壬戌十月二十七日∙34
이계주에게 보냄 與李季周∙36
이계주에게 보냄 與李季周∙45
이계주에게 답함 임술년 11월 4일 答李季周 壬戌十一月四日∙47
별지∙48
이계주에게 보냄 임술년 11월 11일 與李季周 壬戌十一月十一日∙50
이계주에게 보냄 임술년 12월 6일 與李季周 壬戌十二月六日∙51
이계주에게 답함 임술년 12월 15일 答李季周 壬戌十二月十五日∙53
이계주에게 답함 임술년 12월 18일 答李季周 壬戌十二月十八日∙55
별지∙55
이계주에게 보냄 계해년 1월 2일 與李季周 癸亥正月二日∙60
이계주에게 답함 계해년 1월 그믐 答李季周 癸亥正月晦日∙62
이계주에게 답함 계해년 2월 26일 答李季周 癸亥二月二十六日∙63
이계주에게 답함 계해년 3월 11일 答李季周 癸亥三月十一日∙64
이계주에게 보냄 계해년 5월 11일 與李季周 癸亥五月十一日∙66
이계주에게 보냄 계해년 6월 6일 與李季周 癸亥六月六日∙67
이계주에게 답함 계해년 6월 18일 答李季周 癸亥六月十八日∙69
이계주에게 답함 계해년 7월 23일 答李季周 癸亥七月二十三日∙70
이계주에게 답함 계해년 8월 26일 答李季周 癸亥八月二十六日∙72
이계주에게 답함 계해년 10월 6일 答李季周 癸亥十月六日∙74
이계주에게 답함 갑자년 5월 12일 答李季周 甲子五月十二日∙85
이계주에게 답함 을축년 7월 4일 答李季周 乙丑七月四日∙90
이계주에게 답함 을축년 8월 3일 答李季周 乙丑八月三日∙92
이계주에게 보냄 을축년 9월 22일 與李季周 乙丑九月二十二日∙94
이계주에게 보냄 을축년 12월 26일 與李季周 乙丑十二月二十六日∙95
이계주에게 답함 병인년 윤4월 28일 答李季周 丙寅閏四月二十八日∙96
이계주에게 답함 병인년 7월 25일 答李季周 丙寅七月二十五日∙98
별지∙99
이계주에게 보냄 병인년 8월 10일 與李季周 丙寅八月十日∙102
이계주에게 보냄 병인년 9월 8일 與李季周 丙寅九月八日∙104
이계주에게 보냄 병인년 9월 21일 與李季周 丙寅九月二十一日∙105
이계주에게 보냄 병인년 12월 6일 與李季周 丙寅十二月六日∙106
이계주에게 보냄 병인년 12월 22일 與李季周 丙寅十二月二十二日∙110
이계주에게 답함 정묘년 1월 15일 答李季周 丁卯正月十五日∙112
이계주에게 보냄 정묘년 7월 9일 與李季周 丁卯七月九日∙113
이계주에게 보냄 정묘년 9월 7일 與李季周 丁卯九月七日∙114
이계주에게 답함 정묘년 9월 27일 答李季周 丁卯九月二十七日∙116
이계주에게 답함 정묘년 12월 20일 答李季周 丁卯十二月二十日∙118
이계주에게 보냄 무진년 2월 25일 與李季周 戊辰二月二十五日∙120
이계주에게 보냄 무진년 4월 21일 與李季周 戊辰四月二十一日∙124
이계주에게 답함 무진년 答李季周 戊辰∙126
이계주에게 답함 무진년 答李季周 戊辰∙127
이계주에게 답함 무진년 10월 28일 答李季周 戊辰十月二十八日∙129
이계주에게 답함 무진년 12월 答李季周 戊辰十二月∙131
이계주에게 보냄 기사년 2월 與李季周 己巳二月∙132
이계주에게 답함 기사년 2월 17일 答李季周 己巳二月十七日∙134
이계주에게 보냄 기사년 2월 與李季周 己巳二月∙136
이계주에게 보냄 기사년 3월 8일 與李季周 己巳三月八日∙138
이계주에게 보냄 기사년 윤월 與李季周 己巳閏月∙140


송자대전 제51권

서書
김연지 수증 에게 보냄 기축년 9월 13일 與金延之 壽增○己丑九月十三日∙145
김연지에게 보냄 기축년 10월 22일 與金延之 己丑陽月二十二日∙147
김연지에게 보냄 경인년 1월 23일 與金延之 庚寅元月二十三日∙148
김연지에게 보냄 임진년 7월 6일 與金延之 壬辰七月六日∙149
김연지에게 보냄 계묘년 10월 그믐 與金延之 癸卯十月晦日∙151
김연지에게 보냄 병오년 5월 與金延之 丙午五月∙155
김연지에게 답함 경술년 윤2월 16일 答金延之 庚戌閏二月十六日∙156
김연지에게 답함 계축년 9월 25일 答金延之 癸丑九月二十五日∙158
김연지에게 답함 을묘년 윤5월 2일 答金延之 乙卯閏五月二日∙159
김연지에게 답함 을묘년 윤5월 16일 答金延之 乙卯閏五月十六日∙162
김연지에게 보냄 을묘년 6월 12일 與金延之 乙卯六月十二日∙166
김연지에게 답함 을묘년 6월 20일 答金延之 乙卯六月二十日∙168
별지∙168
김연지에게 답함 을묘년 8월 20일 答金延之 乙卯八月二十日∙176
별지∙177
김연지에게 답함 을묘년 12월 28일 答金延之 乙卯十二月二十八日∙180
김연지에게 답함 병진년 1월 1일 答金延之 丙辰正月一日∙185
김연지에게 보냄 병진년 9월 2일 與金延之 丙辰九月二日∙187
별지∙188
김연지에게 답함 병진년 9월 答金延之 丙辰九月∙195
김연지에게 답함 答金延之∙197
김연지에게 답함 정사년 2월 18일 答金延之 丁巳二月十八日∙198
김연지에게 답함 정사년 2월 29일 答金延之 丁巳二月二十九日∙200
별지∙201
김연지에게 답함 정사년 3월 1일 答金延之 丁巳三月一日∙209
김연지에게 답함 정사년 6월 11일 答金延之 丁巳六月十一日∙218
김연지에게 답함 정사년 10월 23일 答金延之 丁巳十月二十三日∙226
별지∙227
김연지에게 보냄 정사년 12월 28일 與金延之 丁巳十二月二十八日∙237
김연지에게 보냄 무오년 1월 29일 與金延之 戊午正月二十九日∙239
김연지에게 보냄 무오년 2월 17일 與金延之 戊午二月十七日∙241
김연지에게 답함 무오년 6월 11일 答金延之 戊午六月十一日∙243
별지∙244
김연지에게 보냄 기미년 1월 與金延之 己未正月∙246
김연지에게 답함 기미년 2월 2일 答金延之 己未二月二日∙248
김연지에게 답함 기미년 3월 3일 答金延之 己未三月三日∙250
별지∙252
김연지에게 보냄 기미년 3월 23일 與金延之 己未三月二十三日∙255
별지∙256
김연지에게 답함 계해년 9월 18일 答金延之 癸亥九月十八日∙258
김연지에게 답함 계해년 10월 6일 答金延之 癸亥十月六日∙260
김연지에게 답함 갑자년 5월 22일 答金延之 甲子五月二十二日∙261
김연지에게 답함 갑자년 9월 29일 答金延之 甲子九月二十九日∙263
별지∙264
김연지에게 답함 을축년 1월 20일 答金延之 乙丑正月二十日∙266
김연지에게 답함 을축년 2월 25일 答金延之 乙丑二月二十五日∙269
별지∙270
김연지에게 답함 을축년 4월 23일 答金延之 乙丑四月二十三日∙274
김연지에게 보냄 을축년 6월 19일 與金延之 乙丑六月十九日∙276
별지∙278
김연지에게 답함 을축년 7월 28일 答金延之 乙丑七月二十八日∙280
김연지에게 답함 을축년 11월 20일 答金延之 乙丑十一月二十日∙282
김연지에게 보냄 을축년 섣달그믐 與金延之 乙丑除日∙284
김연지에게 답함 병인년 1월 11일 答金延之 丙寅正月十一日∙285
김연지에게 답함 병인년 6월 13일 答金延之 丙寅六月十三日∙287
별지∙289
김연지에게 답함 정묘년 10월 23일 答金延之 丁卯十月二十三日∙291
김연지에게 답함 무진년 6월 2일 答金延之 戊辰六月二日∙293


송자대전 제52권

서書
김기지 수흥 에게 보냄 계사년 4월 14일 與金起之 壽興○癸巳四月十四日∙299
김기지에게 답함 갑오년 8월 24일 答金起之 甲午八月二十四日∙302
김기지에게 답함 무술년 9월 11일 答金起之 戊戌九月十一日∙304
김기지에게 답함 경자년 5월 28일 答金起之 庚子五月二十八日∙306
김기지에게 답함 임자년 5월 12일 答金起之 壬子五月十二日∙308
김기지에게 보냄 與金起之∙311
김기지에게 답함 임자년 11월 15일 答金起之 壬子十一月十五日∙314
별지∙315
김기지에게 답함 계축년 1월 29일 答金起之 癸丑正月二十九日∙318
김기지에게 답함 계축년 5월 10일 答金起之 癸丑五月十日∙320
김기지에게 답함 계축년 6월 12일 答金起之 癸丑六月十二日∙322
별지∙323
김기지에게 답함 계축년 7월 20일 答金起之 癸丑七月二十日∙325
별지∙325
김기지에게 답함 계축년 7월 30일 答金起之 癸丑七月三十日∙327
김기지에게 답함 계축년 8월 答金起之 癸丑八月∙328
김기지에게 답함 계축년 8월 5일 答金起之 癸丑八月五日∙330
김기지에게 보냄 계축년 9월 5일 與金起之 癸丑九月五日∙332
김기지에게 답함 계축년 9월 8일 答金起之 癸丑九月八日∙334
김기지에게 답함 계축년 9월 14일 答金起之 癸丑九月十四日∙335
김기지에게 보냄 계축년 9월 20일 與金起之 癸丑九月二十日∙337
김기지에게 보냄 계축년 10월 27일 與金起之 癸丑十月二十七日∙339
김기지에게 답함 갑인년 1월 4일 答金起之 甲寅正月四日∙341
김기지에게 답함 갑인년 1월 25일 答金起之 甲寅正月二十五日∙344
김기지에게 답함 갑인년 2월 10일 答金起之 甲寅二月十日∙345
김기지에게 보냄 갑인년 2월 29일 與金起之 甲寅二月二十九日∙347
김기지에게 보냄 갑인년 3월 8일 與金起之 甲寅三月八日∙350
김기지에게 답함 答金起之∙352
별지∙353
김기지에게 답함 갑인년 3월 17일 答金起之 甲寅三月十七日∙356
별지∙357
김기지에게 답함 갑인년 4월 2일 答金起之 甲寅四月二日∙360
별지∙361
김기지에게 답함 갑인년 5월 20일 答金起之 甲寅五月二十日∙364
김기지에게 보냄 與金起之∙368
김기지에게 보냄 갑인년 6월 14일 與金起之 甲寅六月十四日∙371
김기지에게 답함 갑인년 8월 21일 答金起之 甲寅八月二十一日∙375
별지∙376
김기지에게 보냄 갑인년 10월 17일 與金起之 甲寅十月十七日∙377
김기지에게 답함 을묘년 6월 12일 答金起之 乙卯六月十二日∙378
별지∙378
김기지에게 답함 을묘년 9월 11일 答金起之 乙卯九月十一日∙379
김기지에게 답함 을묘년 12월 28일 答金起之 乙卯十二月二十八日∙381
김기지에게 보냄 병진년 9월 12일 與金起之 丙辰九月十二日∙384
김기지에게 답함 答金起之∙385
김기지에게 답함 정사년 2월 29일 答金起之 丁巳二月小晦∙387
별지∙387
김기지에게 보냄 정사년 6월 11일 與金起之 丁巳六月十一日∙390
김기지에게 답함 정사년 10월 23일 答金起之 丁巳十月二十三日∙391
별지∙391
김기지에게 답함 무오년 1월 29일 答金起之 戊午正月二十九日∙399
별지∙399
김기지에게 보냄 무오년 4월 24일 與金起之 戊午四月二十四日∙405
김기지에게 답함 무오년 6월 12일 答金起之 戊午六月十二日∙406
김기지에게 답함 무오년 11월 16일 答金起之 戊午至月十六日∙408
김기지에게 답함 무오년 12월 20일 答金起之 戊午十二月二十日∙410
별지∙411
김기지에게 답함 무오년 12월 29일 答金起之 戊午十二月二十九日∙416
별지∙417


송자대전 제53권

서書
김기지에게 보냄 기미년 2월 16일 與金起之 己未二月十六日∙435
김기지에게 답함 기미년 2월 答金起之 己未二月∙437
김기지에게 답함 기미년 3월 3일 答金起之 己未三月三日∙439
별지∙440
김기지에게 답함 경신년 7월 29일 答金起之 庚申七月二十九日∙442
김기지에게 답함 경신년 윤8월 19일 答金起之 庚申閏八月十九日∙444
김기지에게 답함 경신년 10월 8일 答金起之 庚申十月八日∙445
김기지에게 답함 答金起之∙447
별지∙448
김기지에게 답함 신유년 4월 20일 答金起之 辛酉四月二十日∙451
김기지에게 답함 신유년 5월 27일 答金起之 辛酉五月二十七日∙453
김기지에게 답함 신유년 6월 20일 答金起之 辛酉六月二十日∙456
김기지에게 답함 임술년 3월 27일 答金起之 壬戌三月二十七日∙457
별지∙458
김기지에게 답함 임술년 5월 1일 答金起之 壬戌五月一日∙461
김기지에게 답함 임술년 7월 17일 答金起之 壬戌七月十七日∙463
김기지에게 답함 임술년 11월 12일 答金起之 壬戌十一月十二日∙465
김기지에게 답함 임술년 12월 13일 答金起之 壬戌十二月十三日∙467
별지∙468
김기지에게 답함 계해년 1월 9일 答金起之 癸亥正月九日∙470
김기지에게 답함 계해년 2월 6일 答金起之 癸亥二月六日∙471
김기지에게 답함 계해년 2월 15일 答金起之 癸亥二月十五日∙472
김기지에게 답함 계해년 한식 答金起之 癸亥冷節∙473
김기지에게 답함 계해년 3월 13일 答金起之 癸亥三月十三日∙475
김기지에게 보냄 與金起之∙477
김기지에게 답함 계해년 4월 9일 答金起之 癸亥四月九日∙480
김기지에게 보냄 계해년 9월 5일 與金起之 癸亥九月五日∙481
김기지에게 답함 계해년 9월 12일 答金起之 癸亥九月十二日∙482
별지∙483
김기지에게 답함 계해년 12월 6일 答金起之 癸亥十二月六日∙486
김기지에게 답함 갑자년 4월 26일 答金起之 甲子四月二十六日∙488
김기지에게 보냄 與金起之∙490
김기지에게 답함 갑자년 5월 8일 答金起之 甲子五月八日∙491
김기지에게 보냄 갑자년 6월 25일 與金起之 甲子六月二十五日∙492
김기지에게 보냄 갑자년 8월 9일 與金起之 甲子八月九日∙496
김기지에게 답함 갑자년 8월 10일 答金起之 甲子八月十日∙497
김기지에게 답함 갑자년 9월 16일 答金起之 甲子九月十六日∙502
김기지에게 보냄 을축년 1월 11일 與金起之 乙丑正月十一日∙504
김기지에게 답함 을축년 1월 20일 答金起之 乙丑正月二十日∙507
김기지에게 답함 을축년 1월 23일 答金起之 乙丑正月二十三日∙509
김기지에게 보냄 을축년 1월 26일 與金起之 乙丑正月二十六日∙513
김기지에게 답함 을축년 2월 5일 答金起之 乙丑二月五日∙515
별지∙515
김기지에게 답함 을축년 4월 27일 答金起之 乙丑四月二十七日∙517
김기지에게 답함 을축년 7월 4일 答金起之 乙丑七月四日∙519
김기지에게 답함 을축년 7월 그믐 答金起之 乙丑七月晦日∙523
김기지에게 보냄 을축년 11월 11일 與金起之 乙丑十一月十一日∙525
김기지에게 답함 을축년 11월 14일 答金起之 乙丑十一月十四日∙527
김기지에게 답함 答金起之∙529
김기지에게 보냄 與金起之∙541
김기지에게 답함 을축년 12월 22일 答金起之 乙丑十二月二十二日∙546
김기지에게 보냄 병인년 3월 21일 與金起之 丙寅三月二十一日∙548
김기지에게 답함 병인년 4월 14일 答金起之 丙寅四月十四日∙551
김기지에게 답함 병인년 6월 4일 答金起之 丙寅六月四日∙556
김기지에게 답함 병인년 6월 22일 答金起之 丙寅六月二十二日∙559
김기지에게 답함 병인년 10월 20일 答金起之 丙寅十月二十日∙561
별지∙562
김기지에게 답함 정묘년 1월 18일 答金起之 丁卯正月十八日∙565
별지∙566
김기지에게 답함 정묘년 2월 3일 答金起之 丁卯二月三日∙568
김기지에게 답함 정묘년 3월 23일 答金起之 丁卯三月二十三日∙570
김기지에게 답함 정묘년 4월 29일 答金起之 丁卯四月二十九日∙572
김기지에게 보냄 정묘년 5월 17일 與金起之 丁卯五月十七日∙574
김기지에게 보냄 정묘년 7월 9일 與金起之 丁卯七月九日∙576
김기지에게 답함 정묘년 8월 7일 答金起之 丁卯八月七日∙579
김기지에게 답함 정묘년 12월 2일 答金起之 丁卯十二月二日∙581
김기지에게 답함 무진년 1월 19일 答金起之 戊辰元月十九日∙585
김기지에게 답함 무진년 2월 12일 答金起之 戊辰二月十二日∙587
김기지에게 답함 무진년 3월 29일 答金起之 戊辰三月二十九日∙588
김기지에게 보냄 무진년 단오일 與金起之 戊辰端陽日∙590
김기지에게 답함 무진년 6월 2일 答金起之 戊辰六月二日∙591
김기지에게 답함 무진년 9월 16일 答金起之 戊辰九月十六日∙593
김기지에게 보냄 무진년 11월 21일 與金起之 戊辰十一月二十一日∙595
별지∙596
김기지에게 보냄 무진년 12월 4일 與金起之 戊辰十二月四日∙599
김기지에게 답함 무진년 12월 14일 答金起之 戊辰十二月十四日∙600
김기지에게 보냄 기사년 1월 3일 與金起之 己巳正月三日∙601
김기지에게 답함 기사년 1월 12일 答金起之 己巳正月十二日∙604

저자소개

송시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607(선조40)~1689(숙종15).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菴)·우재(尤齋)·파옹(巴翁)·화양동주(華陽洞主) 등이며, 시호는 문정(文正), 본관은 은진(恩津)이다. 부친은 송갑조(宋甲祚)이고, 모친은 선산 곽씨(善山郭氏)이다.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과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을 사사하여 기호학파의 종장(宗匠)이자 노론의 영수로 활동하면서 조선 후기 학문과 정치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효종의 즉위 이후 청나라에 대한 복수설치(復讎雪恥)를 역설한 《기축봉사(己丑封事)》를 올려 북벌론을 제시하였고, 학문적으로는 주자성리학을 정통으로 삼아 남인 학자인 윤휴(尹鑴)와 대립하였다. 이후 남인, 소론과 갈등이 깊어지다가 효종의 천릉(遷陵), 왕실 복제를 둘러싼 예송(禮訟)으로 논핵을 받아 삭탈관직되고 덕원(德源), 장기(長鬐), 거제도(巨濟島)에서 유배 생활을 하였다. 1689년 원자 책봉 문제로 제주(濟州)에 유배되었다가 서울로 압송되던 중 정읍(井邑)에서 사사(賜死)되었다. 1756년(영조32) 문묘(文廟)에 배향되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송자대전》,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 《정서분류(程書分類)》, 《주자어류소분(朱子語類小分)》, 《논맹혹문정의통고(論孟或問精義通考)》 등이 있다.
펼치기
정문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4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 연수과정을 졸업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실 번역위원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