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번암집 11

번암집 11

채제공 (지은이), 박미경, 정문채 (옮긴이)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20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번암집 1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번암집 11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88928408658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조선 후기의 문신 채제공의 시문집이다. 채제공은 이황, 정구, 허목, 이익을 이은 청남의 영수로서, 노소론 당쟁의 와중에서 탕평을 표방한 영조와 정조의 신임을 받았다. 특히 사도세자의 보호에 앞장선 것이 인정되어 정조로부터 특별한 대우를 받았다.

목차

일러두기∙4

번암집 제41권

시장諡狀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세자사 한산부원군 노저 이공 시장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世子師漢山府院君鷺渚李公諡狀∙13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세자사 영평부원군 송천 최공 시장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世子師寧平府院君松泉崔公諡狀∙22
보국숭록대부 행 판중추부사 겸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지경연춘추관사 세자좌빈객 치사봉조하 근옹 이공 시장 輔國崇祿大夫行判中樞府事兼吏曹判書判義禁府事知經筵春秋館事世子左賓客致仕奉朝賀芹翁李公諡狀∙32
증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세자이사 오위도총부도총관 조공 시장 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世子貳師五衛都摠府都摠管趙公諡狀∙50
자헌대부 형조 판서 이공 시장 資憲大夫刑曹判書李公諡狀∙56
자헌대부 공조 판서 윤공 시장 資憲大夫工曹判書尹公諡狀∙66
자헌대부 의정부우참찬 겸 지춘추관의금부사 오위도총부도총관 눌암 김공 시장 資憲大夫議政府右參贊兼知春秋館義禁府事五衛都摠府都摠管訥菴金公諡狀∙73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행 숭록대부 의정부 좌찬성 소릉 이공 시장 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行崇祿大夫議政府左贊成少陵李公諡狀∙81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행 자헌대부 의정부우참찬 겸 지경연사 이공 시장 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行資憲大夫議政府右參贊兼知經筵事李公諡狀∙91

번암집 제42권

시장諡狀
자헌대부 호조 판서 권공 시장 資憲大夫戶曹判書權公諡狀∙103
자헌대부 행 사헌부 대사헌 청대 권공 시장 資憲大夫行司憲府大司憲淸臺權公諡狀∙122
증 좌찬성 행 정헌대부 공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도총관 이공 시장 贈左贊成行正憲大夫工曹判書兼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都摠管李公諡狀∙136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행 자헌대부 이조판서 겸 지경연의금부춘추관사 세자좌빈객 송와 이공 시장 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行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經筵義禁府春秋館事世子左賓客松窩李公諡狀∙149
증 자헌대부 이조 판서 행 가선대부 사헌부대사헌 겸 홍문관제학 동지춘추관사 약산 오공 시장 贈資憲大夫吏曹判書行嘉善大夫司憲府大司憲兼弘文館提學同知春秋館事藥山吳公諡狀∙158

번암집 제43권

시장諡狀
증 자헌대부 이조 판서 광안군 행 통훈대부 홍문관 교리 탄수 이공 시장 贈資憲大夫吏曹判書廣安君行通訓大夫弘文館校理灘叟李公諡狀∙195
증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 공신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세자이사 지경연춘추관성균관사 내성군 행 가선대부 행 승정원 좌승지 정공 시장 贈效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世子貳師知經筵春秋館成均館事萊城君行嘉善大夫行承政院左承旨鄭公諡狀∙205
증 자헌대부 이조 판서 행 통훈대부 집현전 교리 구공 시장 贈資憲大夫吏曹判書行通訓大夫集賢殿校理具公諡狀∙214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겸 지경연의금부사 홍문관대제학 예문관대제학 지춘추관성균관사 오위도총부도총관 행 통정대부 성균관 대사성 지제교 추연 우공 시장 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經筵義禁府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春秋館成均館事五衛都摠府都摠管行通政大夫成均館大司成知製敎秋淵禹公諡狀∙220
증 의정부 좌찬성 행 함경북도 병마수군절도사 김공 시장 贈議政府左贊成行咸鏡北道兵馬水軍節度使金公諡狀∙229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행 숭록대부 행 공조판서 겸 판의금부사 오위도총부도총관 지훈련원사 유공 시장 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行崇祿大夫行工曹判書兼判義禁府事五衛都摠府都摠管知訓鍊院事柳公諡狀∙238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우의정 겸 영경연사 감춘추관사 한공 시장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右議政兼領經筵事監春秋館事韓公諡狀∙270
증 자헌대부 병조 판서 행 수충갈성양무 공신 가의대부 평안도 병마절도사 전양군 이공 시장 贈資憲大夫兵曹判書行輸忠竭誠揚武功臣嘉義大夫平安道兵馬節度使全陽君李公諡狀∙278

번암집 제44권

신도비神道碑
가선대부 평안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 순찰사 평양부윤 관향사 연릉군 이공 신도비명 嘉善大夫平安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廵察使平壤府尹管餉使延陵君李公神道碑銘∙293
증 순충보조 공신 자헌대부 예조 판서 행 통정대부 수 강원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 순찰사 인재 최공 신도비명 贈純忠補祚功臣資憲大夫禮曹判書行通政大夫守江原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廵察使訒齋崔公神道碑銘∙310
증 자헌대부 이조 판서 행 통정대부 승정원우부승지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나은 이공 신도비명 贈資憲大夫吏曹判書行通政大夫承政院右副承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懶隱李公神道碑銘∙324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좌의정 겸 영경연사 감춘추관사 세자부 증 원성부원군 충정공 두암 김공 신도비명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事監春秋館事世子傅贈原城府院君忠靖公斗巖金公神道碑銘∙342
증 자헌대부 이조 판서 행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송암 김공 신도비명 贈資憲大夫吏曹判書行慶尙右道兵馬節度使松庵金公神道碑銘∙356
가선대부 강원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 순찰사 김공 신도비명 嘉善大夫江原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廵察使金公神道碑銘∙368
가선대부 사헌부대사헌 겸 세자좌부빈객 대봉 양공 신도비명 嘉善大夫司憲府大司憲兼世子左副賓客大峯楊公神道碑銘∙379

번암집 제45권

신도비神道碑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세자사 권공 신도비명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世子師權公神道碑銘∙399
증 자헌대부 이조 판서 행 가선대부 예조참판 겸 동지춘추관사 오위도총부부총관 온계 이공 신도비명 贈資憲大夫吏曹判書行嘉善大夫禮曹參判兼同知春秋館事五衛都摠府副摠管溫溪李公神道碑銘∙421
가선대부 행 성균관 대사성 진선군 강공 신도비명 嘉善大夫行成均館大司成晉善君姜公神道碑銘∙435
증 자헌대부 이조 판서 행 통정대부 사간원 대사간 동계 권공 신도비명 贈資憲大夫吏曹判書行通政大夫司諫院大司諫東溪權公神道碑銘∙447
자헌대부 이조판서 겸 지경연의금부춘추관사 월성군 경절공 손공 신도비명 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經筵義禁府春秋館事月城君景節公孫公神道碑銘∙460
증 자헌대부 병조 판서 행 수충갈성양무 공신 가의대부 평안도 병마절도사 전양군 이공 신도비명 贈資憲大夫兵曹判書行輸忠竭誠揚武功臣嘉義大夫平安道兵馬節度使全陽君李公神道碑銘∙471

저자소개

채제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1720년(숙종46)~1799년(정조23).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자는 백규(伯規), 호는 번암(樊巖)․번옹(樊翁)이며,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1743년 문과 정시에 급제하여 승문원 권지부정자에 임명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748년 11월 영조의 특명으로 시행한 한림소시(翰林召試)에서 수석을 차지하여 예문관 사관이 되었고, 이후 대사간, 한성 판윤, 병조 판서, 예조 판서, 호조 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780년 역적 홍국영과의 친분, 사도세자에 대한 신원 주장으로 공격을 받자 사직하고, 명덕산(明德山)과 노량(鷺梁) 등지에서 은거하였다. 1788년 우의정이 되었으며 2년 후 좌의정으로 승진하면서 3년간 혼자 정승을 맡아 국정을 운영하였다. 영조가 사도세자의 죽음을 후회하여 기록한 〈금등(金縢)〉을 정조와 함께 보관할 유일한 신하로 채택될 만큼 두 국왕의 깊은 신임을 받았으며, 정조의 탕평책을 추진한 핵심적인 인물이었다. 사후인 1801년 황사영 백서사건(黃嗣永帛書事件)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가 1823년 영남만인소로 신원되었다. 문장은 소차(疏箚)에 능했고, 시풍은 위로는 이민구(李敏求)․허목(許穆), 아래로는 정약용(丁若鏞)으로 이어진다고 한다. 문집으로 《번암집》이 있다.
펼치기
정문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4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 연수과정을 졸업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실 번역위원이다.
펼치기
박미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5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대학원에서 〈《동파서전(東坡書傳)》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국학진흥원 번역연수과정을 졸업하였고, 한국국학진흥원 및 한국고전번역원에서 번역을 하고 있다. 번역서로 《창계집》, 《유연당집》(이상 공역), 《무송헌집》, 《성재집》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