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88928409105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4
번암집 제54권
묘지명墓誌銘
통정대부 승정원우승지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석북 신공 묘지명 通政大夫承政院右承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石北申公墓誌銘∙15
지산 김공 묘지명 芝山金公墓誌銘∙25
첨지중추부사 조공 묘지명 僉知中樞府事趙公墓誌銘∙31
처사 서공 묘지명 處士徐公墓誌銘∙37
열녀 숙인 조씨 묘지명 烈女淑人趙氏墓誌銘∙44
열부 강 유인 묘지명 烈婦姜孺人墓誌銘∙49
생질 이유사 묘지명 甥姪李儒師墓誌銘∙54
서자 홍신 예지 庶子弘愼瘞誌∙58
임군 묘명 林君墓銘∙61
묘표墓表
세손익위사 부솔 정군 묘표 世孫翊衛司副率鄭君墓表∙64
증 참판 조공 묘표 贈參判趙公墓表∙68
부총관 이공 묘표 副摠管李公墓表∙71
동지중추부사 성군 묘표 同中樞成君墓表∙77
별제 우군 묘표 別提禹君墓表∙80
증 좌윤 박군 묘표 贈左尹朴君墓表∙84
진군 묘표 秦君墓表∙87
명숙공주 묘표석 음기 明淑公主墓表石陰記∙90
번암집 제55권
유사遺事
선고 부군 유사 先考府君遺事∙97
전傳
충장공 박영서전 忠壯公朴永緖傳∙111
이 절도전 李節度傳∙116
계암 김 선생전 溪巖金先生傳∙119
백 의사전 白義士傳∙123
이 진사전 李進士傳∙127
임 효자전 林孝子傳∙131
청풍 의부전 淸風義婦傳∙132
박 진사전 朴進士傳∙134
이충백전 李忠伯傳∙138
신기금전 辛起金傳∙143
백사량전 白士良傳∙146
애남전 愛男傳∙148
칠분전 七分傳∙150
만덕전 萬德傳∙153
번암집 제56권
발跋
《내원갱재첩》 발문 內院賡載帖跋∙159
《어원갱시첩》 발문 御苑賡詩帖跋∙162
유 문충공 성룡 의 집안에 소장된 황조 여러 장수의 서화첩에 쓴 어제발문 아래에, 교지를 받들어 경건히 발문을 쓰다 御製柳文忠公 成龍 家藏皇朝諸將書牘畫帖跋文後奉敎敬跋∙166
《어정양경수권》 발문 御定兩京手圈跋∙169
김 교수 시현 집안에 소장한 화축의 발문 뒤에 쓰다 書金敎授 時鉉 家藏畫軸跋後∙175
청나라 사신이 선물한 《도시본의》 뒤에 쓰다 題淸使所贈陶詩本義後∙177
《병오사마방목》의 말미에 삼가 쓰다 敬書丙午司馬榜目後∙179
동계 정 선생이 남한산성에서 남긴 서첩 뒤에 삼가 쓰다 敬書桐溪鄭先生南漢遺書帖後∙182
이죽천의 《항해승람도》 뒤에 쓰다 題李竹泉航海勝覽圖後∙184
이계 홍 상서 양호 의 〈연운잡영〉 뒤에 쓰다 書耳溪洪尙書 良浩 燕雲雜詠後∙186
송담 채공의 유사 뒤에 쓰다 書松潭蔡公遺事後∙189
이좌훈의 시고에 쓰다 書李佐薰詩稿∙192
정창해 란이 가진 화첩에 쓰다 題鄭滄海瀾所持畫帖∙194
안씨의 병풍 그림에 붙이는 발문 安氏屛畫跋∙196
번암집 제57권
비碑
양호당 우 선생 유허비 養浩堂禹先生遺墟碑∙201
송 장군 묘비명 宋將軍廟碑銘∙203
완평부원군 이 상국 원익 의 생사당 유허비 完平府院君李相國 元翼 生祠遺墟碑∙209
곽 장군 의령 유허비명 郭將軍宜寧遺墟碑銘∙213
도산 시사단 비명 陶山試士壇碑銘∙219
대암 최공 유허비명 臺巖崔公遺墟碑銘∙223
육신 사적 비명 六愼事蹟碑銘∙228
해월대사 부도 비명 海月大師浮屠碑銘∙234
봉암대사 비명 鳳巖大師碑銘∙237
문곡대사 비명 文谷大師碑銘∙241
상월대사 비명 霜月大師碑銘∙244
여대사 정유 부도 비명 女大師定有浮屠碑銘∙251
설파대사 비명 雪坡大師碑銘∙255
번암집 제58권
명銘
벼루 명 硯銘∙264
붓 명 筆銘∙265
먹 명 墨銘∙266
책상 명 冊丌銘∙267
서가 명 冊架銘∙268
필통 명 筆筒銘∙269
평상 명 平牀銘∙270
죽장 명 竹杖銘∙271
옻칠한 부채 명 漆扇銘∙272
횃대 명 椸銘∙273
연적 명 硯滴銘∙274
옻칠한 베개 명 漆枕銘∙275
파리채 명 蠅拂銘∙276
침소의 병풍 명 寢屛銘∙277
침소의 휘장 명 寢帳銘∙278
잔 명 杯銘∙279
바둑판 명 博局銘∙280
촛대 명 燭臺銘∙281
자리와 베개 명 席枕銘∙282
빗자루 명 帚銘∙283
필갑 명 筆匣銘∙284
경갑 명 鏡匣銘∙285
부채 명 병소서 扇銘 幷小序∙286
시랑 이계수 익운의 운금연에 쓰다 題李侍郞季受益運雲錦硯∙289
송頌
경운궁 송 慶運宮頌∙290
서암 송 병소서 瑞巖頌 幷小序∙292
찬贊
스스로 지은 초상화 찬 自題寫眞贊∙296
성상 15년 신해년에 어진을 그리고, 그 뒤에 나의 초상화를 그려 궐내에 들이라는 명을 받들었다. 초상화 중에 남은 그림을 이듬해인 임자년에 단장하였다 聖上十五年辛亥御眞圖寫後承命摸像內入以其餘本明年壬子粧∙298
백운재 권공 응수 화상 찬 白雲齋權公 應銖 畫像贊∙299
시랑 이익운 계수가 49세 때 그린 초상화에 쓰다 書李侍郞益運季受四十九歲眞∙300
해봉대사 진영 찬 海峯大師影贊∙301
완월당대사 진영 찬 玩月堂大師眞贊∙303
문곡대사 영정 찬 文谷大師影贊∙304
추파대사 영정 찬 병서 秋波大師影贊 幷序∙305
취은대사 영정 찬 翠隱大師影贊∙307
화봉대사 영정 찬 華峯大師影贊∙308
월성당 비은대사 영정 찬 月城堂費隱大師影贊∙309
뇌묵당 처영대사 영정 찬 雷默堂處英大師影贊∙310
반교문頒敎文
정조 진하 때의 반교문 을유년 正朝陳賀頒敎文 乙酉∙311
전箋
영종대왕의 성수가 망팔이며 즉위 41년을 경축하는 왕세손이 올리는 전문 을유년 英宗大王聖壽望八卽位四十一年稱慶王世孫進箋 乙酉∙316
장狀
이천에 부임하여 상부에 올리는 예장 伊川到任禮狀∙319
고을 경계에 다다른 관찰사에게 올리는 예장 觀察使到界禮狀∙322
상량문上樑文
자규루 상량문 子規樓上樑文∙324
화성 팔달산 장대 상량문 華城八達山將臺上樑文∙332
화산 용주사 상량문 花山龍珠寺上樑文∙344
채윤전이 양근에 새로 지은 집 상량문 蔡潤銓楊根新屋上樑文∙355
설說
안화설 案花說∙363
옥로설 玉鷺說∙366
용호도설 龍虎圖說∙369
식성설 食性說∙372
번암집 제59권
잡저雜著
〈어제효창묘비문〉을 반포한 뒤에 부주하다 御製孝昌墓碑文頒示後附奏∙379
궐내 각 전각의 차비문 기둥에 붙인 춘첩자 연구 闕內各殿差備門柱春帖聯句∙381
또 又∙384
또 又∙386
또 又∙389
〈어제대보부모은중경게〉에 화운하여 올리다 賡進御製大報父母恩重經偈∙399
춘휘당에서의 강연이 끝나고 물러 나와 기록한 짧은 글 春暉堂筵退後小識∙402
숭양잡사 崧陽雜辭∙405
죽주에서 감회를 기록하다 竹州記懷∙411
이 상국과 주고받은 대화를 기록하다 書李相國酬酢∙413
약산 오공의 선견지명에 대해 쓰다 書藥山吳公先見∙417
미수 허 선생의 작은 영정에 삼가 기록하다 敬書眉叟許先生小眞∙420
〈노중련전〉을 읽고 讀魯仲連傳∙422
〈악의전〉을 읽고 讀樂毅傳∙425
이태백의 〈원별리〉 뒤에 쓰다 書李太白遠別離後∙428
〈장중승전후서〉의 뒤에 쓰다 書張中丞傳後敍後∙430
종손(從孫) 우곤하에게 써서 보여 주다 書示禹孫崑河∙433
아들 홍원의 혼서 兒子弘遠婚書∙442
서자 홍근의 혼서 庶子弘謹婚書∙444
연초재 오공 상렴 의 시참을 기록하다 書燕超齋吳公 尙濂 詩讖∙446
김중헌의 일을 기록하다 書金重憲事∙448
박생의 일을 기록하다 書朴生事∙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