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송자대전 3

송자대전 3

송시열 (지은이), 김정기, 정문채, 박미경 (옮긴이)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200원
19,800원 >
20,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송자대전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송자대전 3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28408719
· 쪽수 : 532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 우암 송시열의 문집으로, 우리나라의 개인 문집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의 책이다. 송시열은 조광조, 이이, 김장생, 김집으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의 학통을 계승한 조선 주자학의 대학자이다.

목차

제5권

봉사封事
기축봉사 8월 己丑封事 八月|정유봉사 8월 16일 丁酉封事 八月十六日

제6권

소疏
동궁을 보도하라는 명을 사양하는 상소 을유년 11월 辭輔導東宮之命疏 乙酉十一月|지평을 사직하는 상소 을유년 12월 辭持平疏 乙酉十二月|두 번째 상소 병술년 1월 二疏 丙戌正月|익선을 사직하는 상소 정해년 5월 辭翊善疏 丁亥五月|소명에 응해 물러나기를 청하는 상소 기축년 6월 14일 赴召乞退疏 己丑六月十四日|진선을 사직하고 늠전을 사양하는 상소 기축년 6월 18일 辭進善及廩典疏 己丑六月十八日|장령을 사직하는 상소 기축년 6월 23일 辭掌令疏 己丑六月二十三日|두 번째 상소 기축년 6월 24일 二疏 己丑六月二十四日|사은숙배하고 청대하였으나 윤허받지 못하여 대궐에서 귀향을 고하는 상소 기축년 6월 26일 肅謝請對未蒙允許自闕告歸疏 己丑六月二十六日|성 밖으로 돌아와 대죄하는 상소 기축년 6월 26일 還到城外待罪疏 己丑六月二十六日|두 번째 상소 기축년 6월 28일 二疏 己丑六月二十八日|고향에 돌아간 뒤에 사직하는 상소 기축년 7월 還鄕後辭職疏 己丑七月|진선을 사직하는 상소 기축년 9월 25일 辭進善疏 己丑九月二十五日|겨우살이 옷감을 사양하는 상소 기축년 10월 7일 辭禦冬衣資疏 己丑十月七日|사직하고 아울러 소회를 진술하는 상소 기축년 10월 18일 辭職兼陳所懷疏 己丑十月十八日|제례에 참석하지 못한 죄를 인책하는 상소 기축년 10월 20일 未參陪祭引罪疏 己丑十月二十日|퇴직을 구하는 상소 기축년 10월 26일 乞退疏 己丑十月二十六日|경연 출입을 사양하는 상소 기축년 11월 2일 辭出入經筵疏 己丑十一月二日|인혐하고 체직을 청하는 상소 기축년 11월 6일 因嫌請遞疏 己丑十一月六日|사직하고 이어 경계할 것을 진언하는 상소 기축년 12월 辭職仍陳戒疏 己丑十二月|사직하는 상소 경인년 2월 2일 辭職疏 庚寅二月二日|두 번째 상소 경인년 2월 5일 二疏 庚寅二月五日|

제7권

소疏
나라의 연제에 나아가지 못해 대죄하는 상소 경인년 5월 25일 未赴國練待罪疏 庚寅五月二十五日|소명을 사양하고 겸하여 성학을 논하는 상소 경인년 8월 27일 辭召命兼論聖學疏 庚寅八月二十七日|사직하고 이어 이징과 이숙 등의 일을 논하는 상소 임진년 2월 辭職仍論澂潚等事疏 壬辰二月|음식물을 사양하는 상소 임진년 11월 13일 辭食物疏 壬辰十一月十三日|충주 목사를 사직하는 상소 계사년 4월 29일 辭忠州牧使疏 癸巳四月二十九日|두 번째 상소 계사년 5월 14일 二疏 癸巳五月十四日|세 번째 상소 계사년 5월 三疏 癸巳五月|승지를 사직하는 상소 갑오년 4월 辭承旨疏 甲午四月|두 번째 상소 갑오년 4월 30일 二疏 甲午四月三十日|이조 참의를 사직하는 상소 을미년 2월 21일 辭吏曹參議疏 乙未二月二十一日|두 번째 상소 을미년 2월 二疏 乙未二月|상중에 음식물을 사양하는 상소 정유년 1월 26일 喪中辭食物疏 丁酉正月二十六日|

제8권

소차疏箚
찬선을 사직하는 상소 정유년 5월 辭贊善疏 丁酉五月|두 번째 상소 정유년 6월 二疏 丁酉六月|세 번째 상소 三疏|네 번째 상소 정유년 9월 四疏 丁酉九月|다섯 번째 상소 정유년 10월 五疏 丁酉十月|여섯 번째 상소 정유년 12월 六疏 丁酉十二月|일곱 번째 상소 무술년 2월 20일 七疏 戊戌二月二十日|이조 참의를 사직하는 상소 무술년 3월 辭吏曹參議疏 戊戌三月|예조 참판을 사직하는 상소 무술년 4월 辭禮曹參判疏 戊戌四月|두 번째 상소 무술년 5월 二疏 戊戌五月|소명에 응하면서 도중에 사정을 아뢰는 상소 무술년 6월 赴召在道陳情疏 戊戌六月|서울로 들어와 병 때문에 사은하지 못하여 대죄하는 상소 무술년 7월 入京病未謝恩待罪疏 戊戌七月|곡식과 고기를 연이어 보내라는 명을 사양하는 상소 무술년 7월 辭繼粟繼肉之命疏 戊戌七月|아뢴 말이 진실을 잃어 대죄하는 상소 무술년 9월 11일 以奏語失實待罪疏 戊戌九月十一日|이조 판서를 사직하는 상소 무술년 9월 18일 辭吏曹判書疏 戊戌九月十八日|두 번째 상소 무술년 9월 二疏 戊戌九月|세 번째 상소 무술년 9월 21일 三疏 戊戌九月二十一日|네 번째 상소 무술년 9월 24일 四疏 戊戌九月二十四日|다섯 번째 상소 무술년 9월 26일 五疏 戊戌九月二十六日|여섯 번째 상소 무술년 9월 29일 六疏 戊戌九月二十九日|사은한 뒤에 사정을 아뢰고 체직을 구하는 상소 무술년 10월 5일 謝恩後陳情乞遞疏 戊戌十月五日|인책하고 체직을 청하는 상소 무술년 10월 12일 引咎請遞疏 戊戌十月十二日|사직하는 상소 무술년 10월 14일 辭職疏 戊戌十月十四日|담비 털가죽 모자를 사양하는 차자 무술년 10월 16일 辭貂帽箚 戊戌十月十六日|우레가 치는 변고에 경계할 것을 아뢰는 차자 무술년 10월 19일 雷變進戒箚 戊戌十月十九日|사직하는 차자 무술년 10월 21일 辭職箚 戊戌十月二十一日|인책하고 사직하는 차자 무술년 11월 引咎辭職箚 戊戌十一月|일을 논하는 차자 무술년 12월 10일 論事箚 戊戌十二月十日|담비 털가죽 옷을 사양하는 차자 무술년 12월 辭貂裘箚 戊戌十二月|인책하는 차자 引咎箚|대정 뒤에 면직을 구하는 차자 무술년 12월 大政後乞免箚 戊戌十二月|두 번째 차자 二箚|사직하고 겸하여 일을 논하는 차자 기해년 2월 辭職兼論事箚 己亥二月|총관을 사직하는 차자 기해년 3월 辭摠管箚 己亥三月|사정을 아뢰고 숙부모의 산소에 성묘하게 해 주기를 청하는 상소 기해년 3월 11일 陳情乞省叔父母墳疏 己亥三月十一日|사헌부의 계사로 인하여 인책하는 상소 기해년 4월 因憲府啓引咎疏 己亥四月|대간의 상소로 인하여 사직하는 차자 기해년 4월 因臺疏辭職箚 己亥四月|

제9권

소차疏箚
영릉의 지문을 지어 올리는 일을 사양하는 상소 기해년 5월 16일 辭寧陵誌文撰進疏 己亥五月十六日|두 번째 상소 기해년 5월 18일 二疏 己亥五月十八日|홍여하의 상소 뒤에 면직을 구하는 상소 기해년 6월 洪汝河疏後乞免疏 己亥六月|두 번째 상소 기해년 6월 5일 二疏 己亥六月五日|세 번째 상소 기해년 6월 7일 三疏 己亥六月七日|네 번째 상소 기해년 6월 8일 四疏 己亥六月八日|다섯 번째 상소 기해년 6월 10일 五疏 己亥六月十日|판의금부사를 사직하는 차자 기해년 6월 辭判義禁箚 己亥六月|두 번째 차자 기해년 6월 20일 二箚 己亥六月二十日|이조 판서를 사직하는 차자 기해년 6월 22일 辭吏曹判書箚 己亥六月二十二日|두 번째 차자 기해년 6월 23일 二箚 己亥六月二十三日|세 번째 차자 기해년 6월 24일 三箚 己亥六月二十四日|네 번째 차자 기해년 6월 25일 四箚 己亥六月二十五日|편한 대로 병을 조리하도록 허락해 주기를 청하고, 이어 판의금부사를 사직하는 차자 기해년 6월 乞許隨便調病仍辭判義禁箚 己亥六月|판의금부사를 사직하고 겸하여 산릉의 일에 대해 진달하는 차자 기해년 7월 2일 辭判義禁兼陳山陵事箚 己亥七月二日|산릉의 일로 죄를 자처하고 좌참찬 및 겸임을 해직하기를 청하는 상소 기해년 以山陵事引罪乞解左參贊及兼帶疏 己亥|두 번째 상소 기해년 7월 6일 二疏 己亥七月六日|세 번째 상소 기해년 7월 7일 三疏 己亥七月七日|네 번째 상소 기해년 7월 9일 四疏 己亥七月九日|다섯 번째 상소 기해년 7월 11일 五疏 己亥七月十一日|여섯 번째 상소 기해년 7월 12일 六疏 己亥七月十二日|일곱 번째 상소 기해년 7월 13일 七疏 己亥七月十三日|여덟 번째 상소 기해년 7월 八疏 己亥七月|아홉 번째 상소 기해년 7월 九疏 己亥七月|안악과 신천 백성의 원통한 상황을 아뢰고 면직을 청하는 상소 기해년 7월 陳安信民人冤狀乞免疏 己亥七月|상소에서 실수로 한 말 때문에 인책하고, 이어 겸임을 사직하는 상소 기해년 8월 疏語差失引咎仍辭兼帶疏 己亥八月|병세를 아뢰고 체차해 주기를 청하는 상소 기해년 8월 陳病乞遞疏 己亥八月|앞서 청한 것을 다시 아뢰는 상소 기해년 8월 復申前請疏 己亥八月|편의에 따르기를 청하는 차자 기해년 8월 請從權箚 己亥八月|권도를 따르기를 다시 청하고, 이어 판의금부사를 사직하는 차자 기해년 8월 更請從權仍辭判義禁箚 己亥八月|다시 판의금부사를 사직하는 차자 기해년 8월 又辭判義禁箚 己亥八月|돌아가기를 청하고, 이어 지문 짓는 것을 사양하는 상소 기해년 8월 乞歸仍辭撰誌疏 己亥八月|유후성의 일을 논하는 차자 기해년 8월 論柳後聖事箚 己亥八月|지문을 봉진하는 차자 기해년 9월 誌文封進箚 己亥九月|총관을 사직하는 차자 기해년 10월 辭摠管箚 己亥十月|두 번째 차자 기해년 10월 二箚 己亥十月|해직을 청하는 상소 기해년 11월 乞解職名疏 己亥十一月|두 번째 상소 기해년 11월 二疏 己亥十一月|물러나기를 청하는 상소 기해년 12월 乞退疏 己亥十二月|죄를 인책하고 물러나기를 청하는 상소 기해년 12월 引罪乞退疏 己亥十二月|성 밖으로 나가서 물러나기를 청하는 상소 기해년 12월 出城外乞退疏 己亥十二月|남쪽으로 돌아갈 때 사정을 아뢰고 사직하며, 이어 상을 주는 은전을 도로 거두기를 청하는 상소 기해년 12월 12일 南歸時陳情辭職仍請收還賞典疏 己亥十二月十二日|중도에 면직을 청하는 상소 기해년 12월 中路乞免疏 己亥十二月|

제10권

소疏
고향에 돌아온 뒤에 사직하고, 이어 대신이 경연에서 아뢴 것이 사실이 아님을 변론하는 상소 경자년 1월 還鄕後辭職仍辨大臣筵奏失實疏 庚子正月|사직하고 이어 음식물을 사양하는 상소 경자년 2월 辭職仍辭食物疏 庚子二月|병 때문에 부름에 달려가지 못해 대죄하는 상소 경자년 2월 病未赴召待罪疏 庚子二月|우찬성을 사직하는 상소 경자년 4월 辭右贊成疏 庚子四月|윤선도의 상소 뒤에 대죄하는 상소 경자년 4월 尹善道疏後待罪疏 庚子四月|사직하고 이어 경계할 것을 진달하는 상소 경자년 7월 10일 辭職仍陳戒疏 庚子七月十日|병조 판서를 사직하는 상소 경자년 8월 10일 辭兵曹判書疏 庚子八月十日|두 번째 상소 경자년 9월 二疏 庚子九月|이조 판서를 사직하는 상소 경자년 10월 22일 辭吏曹判書疏 庚子十月二十二日|사직하고 이어 성학의 요체를 진달하는 상소 경자년 11월 24일 辭職仍陳聖學之要疏 庚子十一月二十四日|조묘에 대해 의론하는 상소 신축년 5월 議祧廟疏 辛丑五月|음식물을 사양하는 상소 신축년 3월 辭食物疏 辛丑三月

저자소개

송시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607(선조40)~1689(숙종15).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菴)·우재(尤齋)·파옹(巴翁)·화양동주(華陽洞主) 등이며, 시호는 문정(文正), 본관은 은진(恩津)이다. 부친은 송갑조(宋甲祚)이고, 모친은 선산 곽씨(善山郭氏)이다.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과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을 사사하여 기호학파의 종장(宗匠)이자 노론의 영수로 활동하면서 조선 후기 학문과 정치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효종의 즉위 이후 청나라에 대한 복수설치(復讎雪恥)를 역설한 《기축봉사(己丑封事)》를 올려 북벌론을 제시하였고, 학문적으로는 주자성리학을 정통으로 삼아 남인 학자인 윤휴(尹鑴)와 대립하였다. 이후 남인, 소론과 갈등이 깊어지다가 효종의 천릉(遷陵), 왕실 복제를 둘러싼 예송(禮訟)으로 논핵을 받아 삭탈관직되고 덕원(德源), 장기(長鬐), 거제도(巨濟島)에서 유배 생활을 하였다. 1689년 원자 책봉 문제로 제주(濟州)에 유배되었다가 서울로 압송되던 중 정읍(井邑)에서 사사(賜死)되었다. 1756년(영조32) 문묘(文廟)에 배향되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송자대전》,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 《정서분류(程書分類)》, 《주자어류소분(朱子語類小分)》, 《논맹혹문정의통고(論孟或問精義通考)》 등이 있다.
펼치기
정문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4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 연수과정을 졸업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실 번역위원이다.
펼치기
김정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부설 태동고전연구소와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문헌번역실 번역위원이며, 한국국학진흥원 영남선현문집번역 객원연구원이다.
펼치기
박미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5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대학원에서 〈《동파서전(東坡書傳)》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국학진흥원 번역연수과정을 졸업하였고, 한국국학진흥원 및 한국고전번역원에서 번역을 하고 있다. 번역서로 《창계집》, 《유연당집》(이상 공역), 《무송헌집》, 《성재집》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