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28408719
· 쪽수 : 532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목차
제5권
봉사封事
기축봉사 8월 己丑封事 八月|정유봉사 8월 16일 丁酉封事 八月十六日
제6권
소疏
동궁을 보도하라는 명을 사양하는 상소 을유년 11월 辭輔導東宮之命疏 乙酉十一月|지평을 사직하는 상소 을유년 12월 辭持平疏 乙酉十二月|두 번째 상소 병술년 1월 二疏 丙戌正月|익선을 사직하는 상소 정해년 5월 辭翊善疏 丁亥五月|소명에 응해 물러나기를 청하는 상소 기축년 6월 14일 赴召乞退疏 己丑六月十四日|진선을 사직하고 늠전을 사양하는 상소 기축년 6월 18일 辭進善及廩典疏 己丑六月十八日|장령을 사직하는 상소 기축년 6월 23일 辭掌令疏 己丑六月二十三日|두 번째 상소 기축년 6월 24일 二疏 己丑六月二十四日|사은숙배하고 청대하였으나 윤허받지 못하여 대궐에서 귀향을 고하는 상소 기축년 6월 26일 肅謝請對未蒙允許自闕告歸疏 己丑六月二十六日|성 밖으로 돌아와 대죄하는 상소 기축년 6월 26일 還到城外待罪疏 己丑六月二十六日|두 번째 상소 기축년 6월 28일 二疏 己丑六月二十八日|고향에 돌아간 뒤에 사직하는 상소 기축년 7월 還鄕後辭職疏 己丑七月|진선을 사직하는 상소 기축년 9월 25일 辭進善疏 己丑九月二十五日|겨우살이 옷감을 사양하는 상소 기축년 10월 7일 辭禦冬衣資疏 己丑十月七日|사직하고 아울러 소회를 진술하는 상소 기축년 10월 18일 辭職兼陳所懷疏 己丑十月十八日|제례에 참석하지 못한 죄를 인책하는 상소 기축년 10월 20일 未參陪祭引罪疏 己丑十月二十日|퇴직을 구하는 상소 기축년 10월 26일 乞退疏 己丑十月二十六日|경연 출입을 사양하는 상소 기축년 11월 2일 辭出入經筵疏 己丑十一月二日|인혐하고 체직을 청하는 상소 기축년 11월 6일 因嫌請遞疏 己丑十一月六日|사직하고 이어 경계할 것을 진언하는 상소 기축년 12월 辭職仍陳戒疏 己丑十二月|사직하는 상소 경인년 2월 2일 辭職疏 庚寅二月二日|두 번째 상소 경인년 2월 5일 二疏 庚寅二月五日|
제7권
소疏
나라의 연제에 나아가지 못해 대죄하는 상소 경인년 5월 25일 未赴國練待罪疏 庚寅五月二十五日|소명을 사양하고 겸하여 성학을 논하는 상소 경인년 8월 27일 辭召命兼論聖學疏 庚寅八月二十七日|사직하고 이어 이징과 이숙 등의 일을 논하는 상소 임진년 2월 辭職仍論澂潚等事疏 壬辰二月|음식물을 사양하는 상소 임진년 11월 13일 辭食物疏 壬辰十一月十三日|충주 목사를 사직하는 상소 계사년 4월 29일 辭忠州牧使疏 癸巳四月二十九日|두 번째 상소 계사년 5월 14일 二疏 癸巳五月十四日|세 번째 상소 계사년 5월 三疏 癸巳五月|승지를 사직하는 상소 갑오년 4월 辭承旨疏 甲午四月|두 번째 상소 갑오년 4월 30일 二疏 甲午四月三十日|이조 참의를 사직하는 상소 을미년 2월 21일 辭吏曹參議疏 乙未二月二十一日|두 번째 상소 을미년 2월 二疏 乙未二月|상중에 음식물을 사양하는 상소 정유년 1월 26일 喪中辭食物疏 丁酉正月二十六日|
제8권
소차疏箚
찬선을 사직하는 상소 정유년 5월 辭贊善疏 丁酉五月|두 번째 상소 정유년 6월 二疏 丁酉六月|세 번째 상소 三疏|네 번째 상소 정유년 9월 四疏 丁酉九月|다섯 번째 상소 정유년 10월 五疏 丁酉十月|여섯 번째 상소 정유년 12월 六疏 丁酉十二月|일곱 번째 상소 무술년 2월 20일 七疏 戊戌二月二十日|이조 참의를 사직하는 상소 무술년 3월 辭吏曹參議疏 戊戌三月|예조 참판을 사직하는 상소 무술년 4월 辭禮曹參判疏 戊戌四月|두 번째 상소 무술년 5월 二疏 戊戌五月|소명에 응하면서 도중에 사정을 아뢰는 상소 무술년 6월 赴召在道陳情疏 戊戌六月|서울로 들어와 병 때문에 사은하지 못하여 대죄하는 상소 무술년 7월 入京病未謝恩待罪疏 戊戌七月|곡식과 고기를 연이어 보내라는 명을 사양하는 상소 무술년 7월 辭繼粟繼肉之命疏 戊戌七月|아뢴 말이 진실을 잃어 대죄하는 상소 무술년 9월 11일 以奏語失實待罪疏 戊戌九月十一日|이조 판서를 사직하는 상소 무술년 9월 18일 辭吏曹判書疏 戊戌九月十八日|두 번째 상소 무술년 9월 二疏 戊戌九月|세 번째 상소 무술년 9월 21일 三疏 戊戌九月二十一日|네 번째 상소 무술년 9월 24일 四疏 戊戌九月二十四日|다섯 번째 상소 무술년 9월 26일 五疏 戊戌九月二十六日|여섯 번째 상소 무술년 9월 29일 六疏 戊戌九月二十九日|사은한 뒤에 사정을 아뢰고 체직을 구하는 상소 무술년 10월 5일 謝恩後陳情乞遞疏 戊戌十月五日|인책하고 체직을 청하는 상소 무술년 10월 12일 引咎請遞疏 戊戌十月十二日|사직하는 상소 무술년 10월 14일 辭職疏 戊戌十月十四日|담비 털가죽 모자를 사양하는 차자 무술년 10월 16일 辭貂帽箚 戊戌十月十六日|우레가 치는 변고에 경계할 것을 아뢰는 차자 무술년 10월 19일 雷變進戒箚 戊戌十月十九日|사직하는 차자 무술년 10월 21일 辭職箚 戊戌十月二十一日|인책하고 사직하는 차자 무술년 11월 引咎辭職箚 戊戌十一月|일을 논하는 차자 무술년 12월 10일 論事箚 戊戌十二月十日|담비 털가죽 옷을 사양하는 차자 무술년 12월 辭貂裘箚 戊戌十二月|인책하는 차자 引咎箚|대정 뒤에 면직을 구하는 차자 무술년 12월 大政後乞免箚 戊戌十二月|두 번째 차자 二箚|사직하고 겸하여 일을 논하는 차자 기해년 2월 辭職兼論事箚 己亥二月|총관을 사직하는 차자 기해년 3월 辭摠管箚 己亥三月|사정을 아뢰고 숙부모의 산소에 성묘하게 해 주기를 청하는 상소 기해년 3월 11일 陳情乞省叔父母墳疏 己亥三月十一日|사헌부의 계사로 인하여 인책하는 상소 기해년 4월 因憲府啓引咎疏 己亥四月|대간의 상소로 인하여 사직하는 차자 기해년 4월 因臺疏辭職箚 己亥四月|
제9권
소차疏箚
영릉의 지문을 지어 올리는 일을 사양하는 상소 기해년 5월 16일 辭寧陵誌文撰進疏 己亥五月十六日|두 번째 상소 기해년 5월 18일 二疏 己亥五月十八日|홍여하의 상소 뒤에 면직을 구하는 상소 기해년 6월 洪汝河疏後乞免疏 己亥六月|두 번째 상소 기해년 6월 5일 二疏 己亥六月五日|세 번째 상소 기해년 6월 7일 三疏 己亥六月七日|네 번째 상소 기해년 6월 8일 四疏 己亥六月八日|다섯 번째 상소 기해년 6월 10일 五疏 己亥六月十日|판의금부사를 사직하는 차자 기해년 6월 辭判義禁箚 己亥六月|두 번째 차자 기해년 6월 20일 二箚 己亥六月二十日|이조 판서를 사직하는 차자 기해년 6월 22일 辭吏曹判書箚 己亥六月二十二日|두 번째 차자 기해년 6월 23일 二箚 己亥六月二十三日|세 번째 차자 기해년 6월 24일 三箚 己亥六月二十四日|네 번째 차자 기해년 6월 25일 四箚 己亥六月二十五日|편한 대로 병을 조리하도록 허락해 주기를 청하고, 이어 판의금부사를 사직하는 차자 기해년 6월 乞許隨便調病仍辭判義禁箚 己亥六月|판의금부사를 사직하고 겸하여 산릉의 일에 대해 진달하는 차자 기해년 7월 2일 辭判義禁兼陳山陵事箚 己亥七月二日|산릉의 일로 죄를 자처하고 좌참찬 및 겸임을 해직하기를 청하는 상소 기해년 以山陵事引罪乞解左參贊及兼帶疏 己亥|두 번째 상소 기해년 7월 6일 二疏 己亥七月六日|세 번째 상소 기해년 7월 7일 三疏 己亥七月七日|네 번째 상소 기해년 7월 9일 四疏 己亥七月九日|다섯 번째 상소 기해년 7월 11일 五疏 己亥七月十一日|여섯 번째 상소 기해년 7월 12일 六疏 己亥七月十二日|일곱 번째 상소 기해년 7월 13일 七疏 己亥七月十三日|여덟 번째 상소 기해년 7월 八疏 己亥七月|아홉 번째 상소 기해년 7월 九疏 己亥七月|안악과 신천 백성의 원통한 상황을 아뢰고 면직을 청하는 상소 기해년 7월 陳安信民人冤狀乞免疏 己亥七月|상소에서 실수로 한 말 때문에 인책하고, 이어 겸임을 사직하는 상소 기해년 8월 疏語差失引咎仍辭兼帶疏 己亥八月|병세를 아뢰고 체차해 주기를 청하는 상소 기해년 8월 陳病乞遞疏 己亥八月|앞서 청한 것을 다시 아뢰는 상소 기해년 8월 復申前請疏 己亥八月|편의에 따르기를 청하는 차자 기해년 8월 請從權箚 己亥八月|권도를 따르기를 다시 청하고, 이어 판의금부사를 사직하는 차자 기해년 8월 更請從權仍辭判義禁箚 己亥八月|다시 판의금부사를 사직하는 차자 기해년 8월 又辭判義禁箚 己亥八月|돌아가기를 청하고, 이어 지문 짓는 것을 사양하는 상소 기해년 8월 乞歸仍辭撰誌疏 己亥八月|유후성의 일을 논하는 차자 기해년 8월 論柳後聖事箚 己亥八月|지문을 봉진하는 차자 기해년 9월 誌文封進箚 己亥九月|총관을 사직하는 차자 기해년 10월 辭摠管箚 己亥十月|두 번째 차자 기해년 10월 二箚 己亥十月|해직을 청하는 상소 기해년 11월 乞解職名疏 己亥十一月|두 번째 상소 기해년 11월 二疏 己亥十一月|물러나기를 청하는 상소 기해년 12월 乞退疏 己亥十二月|죄를 인책하고 물러나기를 청하는 상소 기해년 12월 引罪乞退疏 己亥十二月|성 밖으로 나가서 물러나기를 청하는 상소 기해년 12월 出城外乞退疏 己亥十二月|남쪽으로 돌아갈 때 사정을 아뢰고 사직하며, 이어 상을 주는 은전을 도로 거두기를 청하는 상소 기해년 12월 12일 南歸時陳情辭職仍請收還賞典疏 己亥十二月十二日|중도에 면직을 청하는 상소 기해년 12월 中路乞免疏 己亥十二月|
제10권
소疏
고향에 돌아온 뒤에 사직하고, 이어 대신이 경연에서 아뢴 것이 사실이 아님을 변론하는 상소 경자년 1월 還鄕後辭職仍辨大臣筵奏失實疏 庚子正月|사직하고 이어 음식물을 사양하는 상소 경자년 2월 辭職仍辭食物疏 庚子二月|병 때문에 부름에 달려가지 못해 대죄하는 상소 경자년 2월 病未赴召待罪疏 庚子二月|우찬성을 사직하는 상소 경자년 4월 辭右贊成疏 庚子四月|윤선도의 상소 뒤에 대죄하는 상소 경자년 4월 尹善道疏後待罪疏 庚子四月|사직하고 이어 경계할 것을 진달하는 상소 경자년 7월 10일 辭職仍陳戒疏 庚子七月十日|병조 판서를 사직하는 상소 경자년 8월 10일 辭兵曹判書疏 庚子八月十日|두 번째 상소 경자년 9월 二疏 庚子九月|이조 판서를 사직하는 상소 경자년 10월 22일 辭吏曹判書疏 庚子十月二十二日|사직하고 이어 성학의 요체를 진달하는 상소 경자년 11월 24일 辭職仍陳聖學之要疏 庚子十一月二十四日|조묘에 대해 의론하는 상소 신축년 5월 議祧廟疏 辛丑五月|음식물을 사양하는 상소 신축년 3월 辭食物疏 辛丑三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