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개설 서양법제사

개설 서양법제사

가츠다 아리츠네 (지은이), 문준영, 성중모, 조지만 (옮긴이)
민속원
5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2,000원 -0% 0원
2,600원
49,400원 >
46,8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4,680원
42,1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개설 서양법제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개설 서양법제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88928514168
· 쪽수 : 545쪽
· 출판일 : 2020-03-20

목차

역자서문

프롤로그 - 유럽법의 시간과 공간

제1부 유럽 고대의 법과 사회

제1장 로마 시민법의 세계
제2장 고전기 로마의 법조와 법학
제3장 고대 게르만의 법과 사회

제2부 유럽 중세의 법과 사회(1)-프랑크왕국 시대

제4장 부족법전과 유스티니아누스 법전
제5장 프랑크왕국의 법과 국제

제2부 유럽 중세의 법과 사회(2)-봉건사회

제6장 봉건사회-‘신분’의 성립과 전개
제7장 중세법의 이념과 현실
제8장 유럽법시스템으로의 전환

제2부 유럽 중세의 법과 사회(3)-근세의 태동

제9장 볼로냐대학과 로마법의 르네상스
제10장 중세로마법학과 조례이론
제11장 카논법-교황권과 법의 합리화-


제3부 유럽 근세의 법과 사회(1)-로마법의 계수

제12장 학식법조와 로마법 계수
제13장 제실법원과 종파대립
제14장 규문소송과 마녀재판
제15장 로마법의 상대화-인문주의법학과 콘링-

제3부 유럽 근세의 법과 사회(2)-근대의 태동

제16장 신분제의회와 절대주의 국가
제17장 판덱텐의 현대적 관용
제18장 자연법론의 진전
제19장 계몽주의와 법전편찬

제4부 유럽 근·현대의 법과 사회

제20장 역사법학파
제21장 판덱텐법학과 사법실증주의
제22장 근대 공법학의 탄생
제23장 근대법시스템의 완성
제24장 근대법시스템의 동요-바이마르에서 나치즘으로-

에필로그 - 19세기 유럽법의 계수에서 20세기 미국법의 수용으로

보론|우리나라 독자를 위한 에필로그: 한국법사에서 전통법과 근대법의 시대_문준영
일본어판 후기
용어해설
참고문헌
연표
색인

저자소개

가츠다 아리츠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조지만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및 동대학원을 졸업(법학박사)했다. 현재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작으로 『조선시대의 형사법』(2007), 『조선후기 수교자료집성1-3』 (공역, 2009-2010, 2012), 『역주 대전사송유취―잊혀진 법학자 신번』(공역, 2012), <개설 서양법제사>(공역, 2020)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大典會通》 刑典 규정의 成立沿革」, 「대한제국기 전율체계의 변화―고등재판소 및 평리원 상소판결선고서를 중심으로」, 「《大明律》 保辜限期에 관한 硏究―조선시대의 적용례를 중심으로」, 「구한말 이자에 관한 연구―법전규정과 민사판결문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이죄(二罪) 이상의 범죄와 처벌」 등이 있다.
펼치기
문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법학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저서로는 『법원과 검찰의 탄생: 사법의 역사로 읽은 대한민국』(역사비평사, 2000) 등이 있다. 논문으로 「요코타 고로(橫田五郞)와 1920년대 조선총독부 사법부의 변화」(『법사학연구』 66, 2023), 「사형 판결 없는 살옥죄인의 처리와 징벌: 19세기 살옥사건 심리·처결의 경향과 특징」(『한국문화』 98, 2022), 「계복(啓覆)에서 심리(審理)로: 조선시대 사형사건 재판제도의 전개와 변화」(『법과사회』 69, 2022), 「4·19 혁명과 법률가집단의 정치: 대법원장·대법관선거제 도입과 변호사회의 동향을 중심으로」(『법사학연구』 62, 2020), 「조선 후기 민사재판에서 短訟의 의미와 재판격식의 변화상」(『법사학연구』 60,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성중모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정암학당 연구원. 서울대학교와 독일 뮌스터(Munster) 대학교 및 본(Bonn) 대학교에서 민법과 로마법을 연구했으며, 『민법상 첨부에 따르는 손해보상청구권의 학설사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지은 책으로 『나는 시민이다』(공저)가 있고, 옮긴 책으로 키케로의 『설득의 정치』(공역)와 『토피카』, 테오도르 몸젠의 『몸젠의 로마사 1~6』(공역), 『개설 서양법제사』(공역)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