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숙종의 대청인식과 수도권 방어정책

숙종의 대청인식과 수도권 방어정책

(肅宗의 對淸認識과 首都圈 防禦政策)

김우진 (지은이)
민속원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1,350원
25,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숙종의 대청인식과 수도권 방어정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숙종의 대청인식과 수도권 방어정책 (肅宗의 對淸認識과 首都圈 防禦政策)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88928517084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2-03-05

책 소개

조선시대사학회 연구총서 20권. 숙종대 완성된 수도권방어정책을 청 정세와 연동시켜 숙종의 입장에서 재조명한 연구. 청 정세를 기준으로 시기를 구분하고, 각 시기별로 국왕 숙종의 대외 인식, 수도권 인근의 성곽 축성, 국왕의 행차와 행사 등을 연계하여 해명하였다.

목차

I. 서론

1. 연구 동향과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II. 국내외 정세와 위기의식

1. 국내 정세와 숙종의 왕권 강화
 1) 숙종 초, 예송논쟁(禮訟論爭) 처리와 경신환국(庚申換局)
 2) 경신환국 이후, 왕실 추숭 사업과 두 차례의 환국
 3) 숙종 30년 이후, 노 · 소론의 갈등과 왕권의 재확립

2. 청 정세와 숙종의 위기의식
 1) 전기(1673~1683), 삼번(三藩)의 난(亂)에 대한 위기의식
 2) 중기(1684~1697), 청(淸)과 러시아 · 몽골간의 전쟁에 대한 위기의식
 3) 후기(1700~1720), 황당선(荒唐船)과 청 해적에 대한 불안감


III. 개성부(開城府) 군사력의 강화와 민심 위무(慰撫)

1. 대흥산성(大興山城)의 축성과 군영(軍營) 정비
 1) 대흥산성의 축성
 2) 개성 유수(開城留守) 중심의 군문(軍門) 일원화
 3) 속오수미(束伍收米) 타파와 독진화(獨鎭化)

2. 개성 행차와 민심 위무
 1) 후릉(厚陵) · 제릉(齊陵)으로의 행차
 2) 개성에서의 행사와 조치
 3) 위무를 통한 소통의 정치


IV. 강화도(江華島) 방어시설의 정비와 숙종 어진(御眞)의 봉안(奉安)

1. 수비체제 및 방어시설의 강화
 1) 수군방어체제의 개편과 진보(墩臺) 축조
 2) 교통로 보강과 강화 외성(外城) · 문수산성(文殊山城)의 축성
 3) 강화 내성(內城) 축성과 수비체제 강화

2. 숙종 어진의 강화도 봉안과 그 의미
 1) 진전(眞殿) 제도의 수복과 어진 제작
 2) 어진 봉안 의례의 정비
 3) 어진을 통한 이미지 정치


V. 남한산성(南漢山城) 방어시설의 재정비와 유공자 포상
1. 남한산성 군사력의 재정비
 1) 군병 확보와 군비(軍備) 강화
 2) 봉암(蜂巖) · 한봉성(汗峯城)의 구축과 무기 보강
 3) 봉암 · 신남성(新南城)의 구축과 묘사봉안소(廟社奉安所) 영건

2. 남한산성 행차와 병자호란(丙子胡亂) 유공자 포상
 1) 영릉(寧陵)과 남한산성 행차
 2) 병자호란에 대한 감회와 조치
 3) 유공자 포상을 통한 기억의 정치


VI. 북한산성(北漢山城)의 축성과 수도권 방어체제의 확립
1. 북한산성의 축성
 1) 북한산성의 축성 논의
 2) 북한산성 축성과 도성 연결

2. 북한산성 행차와 사수 의지
 1) 북한산성 행차의 결정
 2) 북한산성 사수의 의지

3. 수도권 방어체제 확립의 의미


VII. 결론

저자소개

김우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왕실문헌연구실 정연구원 「1703년 강희제(康熙帝)의 어필(御筆)을 둘러싼 조선의 정치적 파장과 숙종의 대응」(『한국 실학연구』40, 2020), 「숙종대 몽고·러시아에 대한 지식·정보 분석」(『인문학연구』 37, 2018),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의 대명(對明) 외교활동」(『조선시대사학보』 61, 2012), 『숙종의 대청인식과 수도권 방어정책』(민속원, 2022) 등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