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88928517084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2-03-05
책 소개
목차
I. 서론
1. 연구 동향과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II. 국내외 정세와 위기의식
1. 국내 정세와 숙종의 왕권 강화
1) 숙종 초, 예송논쟁(禮訟論爭) 처리와 경신환국(庚申換局)
2) 경신환국 이후, 왕실 추숭 사업과 두 차례의 환국
3) 숙종 30년 이후, 노 · 소론의 갈등과 왕권의 재확립
2. 청 정세와 숙종의 위기의식
1) 전기(1673~1683), 삼번(三藩)의 난(亂)에 대한 위기의식
2) 중기(1684~1697), 청(淸)과 러시아 · 몽골간의 전쟁에 대한 위기의식
3) 후기(1700~1720), 황당선(荒唐船)과 청 해적에 대한 불안감
III. 개성부(開城府) 군사력의 강화와 민심 위무(慰撫)
1. 대흥산성(大興山城)의 축성과 군영(軍營) 정비
1) 대흥산성의 축성
2) 개성 유수(開城留守) 중심의 군문(軍門) 일원화
3) 속오수미(束伍收米) 타파와 독진화(獨鎭化)
2. 개성 행차와 민심 위무
1) 후릉(厚陵) · 제릉(齊陵)으로의 행차
2) 개성에서의 행사와 조치
3) 위무를 통한 소통의 정치
IV. 강화도(江華島) 방어시설의 정비와 숙종 어진(御眞)의 봉안(奉安)
1. 수비체제 및 방어시설의 강화
1) 수군방어체제의 개편과 진보(墩臺) 축조
2) 교통로 보강과 강화 외성(外城) · 문수산성(文殊山城)의 축성
3) 강화 내성(內城) 축성과 수비체제 강화
2. 숙종 어진의 강화도 봉안과 그 의미
1) 진전(眞殿) 제도의 수복과 어진 제작
2) 어진 봉안 의례의 정비
3) 어진을 통한 이미지 정치
V. 남한산성(南漢山城) 방어시설의 재정비와 유공자 포상
1. 남한산성 군사력의 재정비
1) 군병 확보와 군비(軍備) 강화
2) 봉암(蜂巖) · 한봉성(汗峯城)의 구축과 무기 보강
3) 봉암 · 신남성(新南城)의 구축과 묘사봉안소(廟社奉安所) 영건
2. 남한산성 행차와 병자호란(丙子胡亂) 유공자 포상
1) 영릉(寧陵)과 남한산성 행차
2) 병자호란에 대한 감회와 조치
3) 유공자 포상을 통한 기억의 정치
VI. 북한산성(北漢山城)의 축성과 수도권 방어체제의 확립
1. 북한산성의 축성
1) 북한산성의 축성 논의
2) 북한산성 축성과 도성 연결
2. 북한산성 행차와 사수 의지
1) 북한산성 행차의 결정
2) 북한산성 사수의 의지
3. 수도권 방어체제 확립의 의미
VII.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