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조선 숙종 연간의 재난 극복 노력과 보민(保民) 의식의 정치적 함의」(『백산학보』 122, 2022),
「숙종 연간 조·청 관계의 맥락과 대보단의 시대적 기반」(『한국학』 44, 2021),
「‘조헌상(趙憲像)’의 변화를 통해 본 조선후기 시대정신의 추이」(『역사와현실』 93, 2014),
『희조일사』(공역, 서해문집, 2021), 『조천일기』(공역, 서해문집, 2014) 등
펼치기
김우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왕실문헌연구실 정연구원
「1703년 강희제(康熙帝)의 어필(御筆)을 둘러싼 조선의 정치적 파장과 숙종의 대응」(『한국 실학연구』40, 2020),
「숙종대 몽고·러시아에 대한 지식·정보 분석」(『인문학연구』 37, 2018),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의 대명(對明) 외교활동」(『조선시대사학보』 61, 2012),
『숙종의 대청인식과 수도권 방어정책』(민속원, 2022) 등
펼치기
임영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 연구교수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9세기 前半 연행록의 특성과 朝·淸 문화 교류의 양상』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조선 후기 한문학과 한중 교류사 연구에 관심을 두고 있다.
대표 논저로는 『국역 서행록』, 『조선시대 북방사 자료집』(공역), 『완역 정본 택리지』(공역), 『청 문인 黃爵滋와 조선 문인의 교유』, 「18~19세기 조선 문인들의 북경 인식과 기록 양상」, 「19세기 연행록에 나타난 아편, 아편전쟁」 등이 있다.
펼치기
김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 사학과 조교수
「북한 체제 성립기 역사교과서의 문화 서술 체계: 『조선통사(상)』을 중심으로」(『백산학보』119, 2021),
「조선후기 조선·청 관계와 국왕의 건강 문제」(『의사학』 29-3, 2020),
「이계(耳溪) 홍양호(洪良浩)의 화이관(華夷觀)과 청 인식의 두 층위」(『사림』 69, 2019),
『명나라의 임진전쟁-송응창의 『경략복국요편』 역주』(공역, 사회평론아카데미, 2021~2022),
『국역 경복궁영건일기』(공역, 서울역사편찬원, 2019) 등
펼치기
박장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대학원에서 동아시아를 공부하였고, 이후 동아시아 변경사, 티베트 현대사 분야를 연구하였다. 『고대 동북아시아 교통사(공역)』(주류성출판사, 2020)를 옮겼고, 주요 논문으로 「티베트불교 문화권의 ‘화목한 네 동물’ 설화와 도상의 확산과 활용 양상」(《동북아문화연구》 71,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문상명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대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문학박사)를 받았다. 성신여대·국립한경대 등에서 강의했으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연구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visiting scholar로 활동했다. 현재는 동북아역사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재직중이며, 용인대학교 초빙교수를 겸임하고 있다. 백두산과 간도, 독도, 서울 등을 공간 중심으로 역사지리 관점에서 연구 중이다.
∎주요 논저
『한국지명유래집』(공저, 2019)
『백두산고지도집』(공저, 2016)
『일본은 왜 독도에 집착할까』(공저, 2019)
『백두산변경민의 삶과 인식』(공저, 2022)
∎주요 연구
「Gaihōzu지도에 나타나는 독도 - 미 스탠퍼드 대학 소장 지도를 중심으로」(2017),
「나선정벌 신류 장군의 『북정록 北征錄』에 담긴 허저주(赫哲族)의 삶과 문화」(2018)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竹島の日)’ 제정과 모순」(2019)
「일제시기 압록강 하구 가이호즈(Gaihōzu, 外邦圖)에 나타나는 일본의 조-청 국경 인식」(2019)
「조선후기 연행록과 박지원의 열하노정」(2020)
「20세기 초 지도로 본 간도의 역사적·지역적 범위와 한인 이주지」(2020)
「전통시기 露梁의 장소성과 용산의 성장」(2021)
「조선후기 《天下圖》에 담긴 白頭山 인식」(2021)
「1950∼1970년대 일본국회의원의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발언과 일본 정부의 독도정책 상관성 연구」(2022)
「중국의 ‘백두산공정’과 대응」(2022)
「중국의 '창바이산문화론'과 백두산 전유화(專有化)」(2022)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