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건강/환경
· ISBN : 9788928620142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3-07-17
책 소개
목차
Introduction _ 잠은 평생 건강의 바탕이다
Part 1. 너무나 달콤한 잠, 그러나…
Chapter 1. 평화로운 밤은 저절로 찾아오지 않는다
통 자려고 하지 않는 아이들 _ 고충 사례들
밤새 분유를 17번 타다
모든 것은 여기서 시작됐다 _ 아이들과의 첫 경험
소아과에서 놀라운 사실을 듣다
작은 수고로 큰 효과를 얻다
잠이 없는 아이들, 스트레스 받는 부모들
저절로 잘 자게 될 때까지 무작정 기다려야 할까?
Chapter 2. 아이의 잠 세계는 심오하다
안 자는 아이 VS. 잠꾸러기 _ 얼마나 자야 정상인가?
아이에게 밤의 길이는 얼마나 될까?
언제 얼마만큼 자는 게 좋을까?
수면 문제가 질환인 경우는 거의 없다
잠과 꿈 _ 아이가 자는 동안에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
숙면하는 깊은 잠과 꿈을 꾸는 얕은 잠
아기와 성인의 잠은 양상이 다르다
아기 수면의 패턴 _ 잠들고 깨고 다시 잠들고
‘절대 안 잘 거야?’ 유형의 아기들
밤에 여러 번 자다 깨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밤새 깨지 않고 자는 아이들은 어떻게 하는 걸까?
누군가 도와줘야만 잠드는 아이들
혼자서 하도록, 도움은 극히 절제해서
Part 2. 처음부터 잘 자는 아이로 키우기
Chapter 3. 내 아이 잠 습관 교육, 언제부터 시작해야 할까?
어떤 육아정보보다 중요한 잠 관련 정보 _ 지금 시작하라
안전하게 재우는 것이 우선이다
영아돌연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6가지 수칙
규칙적인 수면 시간, 혼자 잠드는 습관 _ 첫 단추가 중요하다
노는 시간, 자는 시간을 명확히 하라
아기 안에 있는 생체 리듬 찾아주기
잠들지 않은 상태에서 아기 침대에 눕혀라
밤중 수유를 되도록 줄이거나 없애간다
조심스럽지만 단호하게 아기의 일과에 관여하라
내 아이에게 맞는 고유의 잠자리 의식을 만들어라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우는 아기 _ 울음을 멈추고 평화롭게 잠들기
‘우는 아이’를 달래는 효과적인 방법
잦은 울음은 수면 질환의 원인이 되는 위험 요소다
자리에 누일 때, 아기가 울면 어떻게 할까?
Chapter 4. 유년기의 잠 습관은 인성 형성에 매우 중요하다
잠은 내일을 위한 준비이자 휴식 _ 아이에게 잠을 인식시키기
사랑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하되, 규칙 안에서
혼자 잠자리로 가기 전의 일상, 저녁 의식
일과와 잠을 뒤섞지 마라 _ 잠드는 습관 완성하기
혼자 재우기 VS. 부모와 같이 자기
정해진 시간이면 자러 간다는 것을 몸에 배게 하라
규칙을 세팅하는 데는 희생이 동반된다
일정 연령부터는 낮잠도 서서히 끊어라
Part 3. 부적절한 수면 습관 바로잡기
Chapter 05 수면에도 질이 있다 _ 좋은 수면과 나쁜 수면
아이의 생체 시계를 건강하게 _ 자는 시간대가 중요하다
아침잠이 너무 없는 아이 _ “애가 꼭 노인네 같아요”
너무 늦게 자는 아이 _ “파티족처럼 계속 놀고 싶어 해요”
낮밤이 바뀐 아이 _ 예민하고 특별해서 그런 게 아니다
낮밤이 바뀐 아이 1 _ 밤중에 깨서 몇 시간 동안 보채기
낮밤이 바뀐 아이 2 _ 잤다가 금방 깬 다음 안 자는 아이
3세가 넘은 아이의 잠투정 _ 삐딱해질 테다!
Chapter 6. 밤새 깨지 않고 푹 자는 법 배우기
타협하지 마라 _ 밤마다 깨서 부모를 괴롭히는 건 결코 정상이 아니다
부적절한 잠들기 습관 1 _ 고무젖꼭지
부적절한 잠들기 습관 2 _ 품에 안겨서 잠들기
부적절한 잠들기 습관 3 _ 신체 접촉
부적절한 잠들기 습관 4 _ 젖 혹은 젖병
부적절한 잠들기 습관 5 _ 기상천외한 보조 수단들
늦은 때는 없다 _ 잠드는 법을 배우는 취침 플랜
울리기 혹은 방치 _ 잠드는 습관 교정의 왕도?
잠자는 법 배우기 취침 플랜 _ 낮잠 편
아이마다 배우는 속도가 조금씩 다르다
잘 안 되면 돌아가라 _ 막다른 상황의 플랜 B
수면기록표로 성공 여부를 점검하자
아이에게 수면 교육을 시킬 때,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
잠자지 않고 울다가 토하는 아이
뉘어도 뉘여도 자꾸만 일어나는 오뚝이 인형
취침 플랜을 실행하는 동안 닥치는 크고 작은 장벽들
밤중 수유 딜레마 _ 언제까지 얼마나 먹여야 하나?
밤중 수유는 언제부터 끊어야 하는가?
매일 밤 벌어지는 엄마 젖 쟁탈전
무단침입자 _ 자기 방, 자기 침대에서 자려 하지 않는 아이들
자기 침대로 돌려보내기 _ 일관되게 반복하라
아이의 자유행동에도 한계선을 그어라 _ 타임아웃 전략
규율도 세우고 아이의 불안감도 잠재우기 _ 문 닫기-문 열기 방법
부모 스스로가 찾아낸 창의적인 해결책들
현실이 괴롭지만, 바꾸고 싶지는 않다고 말하는 이유
혼자서 잠들고 밤새 푹 자는 취침 플랜에 대한 FAQ
취침 플랜 FAQ 1 _ 플랜을 실천하기에 적합한 때는 언제인가?
취침 플랜 FAQ 2 _ 심리적 부담에 대한 두려움
취침 플랜 FAQ 3 _ 실행 과정에서 실패했다고 판단될 때
취침 플랜 FAQ 4 _ 시기에 따라 먹이고 재우는 기준
Part 4. 특수 원인에 의한 수면 장애에 대한 대응법
Chapter 7. 밤이 무서운 아이 _ 몽유병, 야경증, 악몽
몽유병과 야경증 _ 숙면에서 불완전하게 깬 상태
자다 말고 유령처럼 어슬렁거리는 아이 _ 몽유병
숙면에서 반쯤 깨어 격렬하게 발작하는 아이 _ 야경증
밤은 신비의 세계이자 공포의 대상이기도 하다 _ 두려움과 악몽
밤을 무서워하는 아이를 위한 대처 방법
아이가 악몽을 꿨을 때, 어떻게 해줘야 할까?
Chapter 8. 그 밖에 아이의 잠과 관련된 특별한 고민에 대하여
잠들 때 위안을 주는 반복행동 _ 머리 부딪치기와 몸 흔들기
코를 골다 숨을 멈추고 낮에도 피곤해한다 _ 수면무호흡증
막연히 추측하지 말고 정확히 대처하라 _ 통증으로 인한 불면
모든 아이에게는 배울 능력이 있다 _ 정신 장애 아동의 잠 교육
아이의 수면 문제에 약물이 끼어들 자리는 없다
부록 1 설문지 _ 내 아이의 수면 상태를 진단해보자
부록 2 아동 성장에 따른 평균 시간
부록 3 생후 6개월 이상 아동의 수면 양상
부록 4 혼자 자기를 무서워하는 내 아이를 위한 이야기 한 편 _ 잘 자라, 아기 생쥐야
부록 5 수면기록표 예시 _ 베라의 수면기록표 추이
부록 6 내 아이의 수면기록표
리뷰
책속에서
아이가 태어나고 첫 몇 개월, 과연 부모는 자신들의 분신이 생겼다는 사실에 마냥 즐겁고 기쁘기만 할까? 슬프게도 그렇지 않다. 거의 대다수의 부모는 힘겹다고, 스트레스와 피곤함으로 하루하루 전투를 벌이는 심정이라고 고백한다. 그리고 이 전투의 귀결은 결국 ‘아기가 잘 자느냐’에 달려 있다.
보통의 건강한 아기는 적어도 생후 6개월부터는 저녁에 잠들어 아침까지 깨지 않고 잘 수 있다. 만약 6개월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밤중에 잘 깨는 아기가 있다면, 그 역시 지금부터라도 잘 자는 법을 배울 수 있다. 그것도 매우 짧은 기간에 말이다. 많은 부모에게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아이를 위해 부모가 헌신하고 희생하는 일은 그 자체로 매우 고귀한 행위이며, 부모 자신에게도 큰 기쁨이다. 거의 모든 엄마 아빠들은 헌신적이며 기꺼이 희생할 태세가 되어 있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그렇게 하기란 쉽지 않다. 자기 삶도 챙겨야 한다. 비단 부모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가족 전체를 위해서라도 그렇게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