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30081344
· 쪽수 : 305쪽
· 출판일 : 2006-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한국 의원외교의 연구동향
1. 의원외교의 필요성
2. 한국 의원외교의 연구동기와 목적
3. 의원외교의 연구방법
제2장 의원외교의 의미와 유형
1. 국익외교로서의 의원외교
2. 의원외교의 성공조건과 기능
3. 의원외교의 유형
4. 주요국가들의 의원외교
제3장 한국 의원외교의 변천과정과 활동내용
1. 한국 의원외교의 발전과정
2. 한국 의원외교의 지원체계와 활동사항
3. 한국 의원외교의 주요 성공사례
제4장 한국 의원외교에 대한 실증적 평가
1. 한국 의원외교의 조사.분석대상
2. 한국 의원외교활동의 수행과정
3. 의원외교 참여자들에 대한 평가
4. 한국 의원외교의 실증적 특성
제5장 한국 의원외교의 문제점과 과제
1. 한국 의원외교의 특성
2. 한국 의원외교의 발전방안
참고문헌
부 록
1. 의원외교활동 예산현황
2. 의원외교활동 집행액 내역
3. 역대 국회의원 선거당선자 선수별 통계
4. 위원회 시찰단 활동실적(14~16대 국회)
5. 의회관계 국제회의 참석현황:국제의회연맹(IPU)
6. 국회의원의외교활동등에관한규정
7. Statutes of the Inter-parliamentary Union(IPU)
8. Rules of the APPU General Assembly
9. Charter of the Asian-Pacific Parliamentarians' Union(APPU)
10. APPF Rules of Procedure
11. 본 설문서
저자약력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재 우리나라의 정부외교는 대체로 다국적 외교를 추진하고, 또한 정부만이 아니라 민간부문까지 다원화시켜야 하며, 미국과 일본 중심의 외교에서 벗어나 유럽연합(EU)과 중국 그리고 제3세계국가 등으로 외교의 대상을 다변화시킬 필요성이 있다. 그와 동시에 한국-미국-중국 또는 한국-미국-일본 등의 쌍무적 외교활동, 예컨대 안보에 있어서는 미국을 끌어들이고, 경제에 있어서는 중국과 일본을 끌어들이는 이른바 다자방식의 외교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이러한 정부외교와 함께 의원외교는 국가외교의 한 축을 이루는 중요한 국익외교로서, 상대국 의회와의 단순한 친선도모라는 차원을 넘어 국익 증진을 위한 실질적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 본문 208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