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름다운 우리 문화재

아름다운 우리 문화재

관조, 안장헌, 김대벽, 한석홍 (사진)
열화당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름다운 우리 문화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름다운 우리 문화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사진 > 사진집
· ISBN : 9788930105675
· 쪽수 : 186쪽
· 출판일 : 2001-11-01

목차

문화재 작품 기록의 네 기둥, 그 빛나는 성취 / 강우방

한국인의 영혼을 담아 온 그릇, 전통가옥 / 김대벽
단청과 벽화로 충만하게 장엄된 우리 사찰의 아름다움 / 관조
시공을 초월한 한국미의 세계, 그 만남의 순간들 / 한석홍
돌에 담긴 민족혼을 찾아서 / 안장헌

작가 약력

저자소개

관조 (사진)    정보 더보기
1943년 3월 19일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태어났다. 1960년 1월 15일 부산 범어사에서 지효 스님을 은사로 동산 스님을 계사로 사미계를 수지하였다. 이후 1961년 4월 15일 범어사 금어선원에서 하안거를 시작으로 9안거를 성만하고, 1965년 7월 15일 합천 해인사에서 자운 스님을 계사로 구족계를 수지하였다. 1966년 해인사 승가대학 대교과를 졸업하고, 1971년 해인사 승가대학 제7대 강주로 취임해 후학을 양성했다. 1976년 부산 범어사 총무국장 소임 이후 일체의 공직을 맡지 않았다. 1978년부터 범어사에 주석하며 사진을 수행의 방편으로 삼아 30여 년간 전국 산사의 아름다움을 사진에 담는 운수납자의 길을 걸어왔다. 관조 스님 사진의 묘미는 필터나 조명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단순함과 담백함에 있다. 1980년 『승가1』을 시작으로 『열반』, 『자연』, 『생, 멸, 그리고 윤회』, 『님의 풍경』 등 20여 권의 사진집을 출간하였다. 그중 『사찰 꽃살문』은 2005년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서 한국의 아름다운 책 100선에 선정되었다. '아시안게임 경축사진전'(1986년), '한국일보 올림픽 문화행사 초청전시'(1988년) 등 10여 차례의 전시회를 가졌다. '관조 스님 사찰 꽃살문 사진전'(2003년)은 국립청주박물관 전시를 시작으로 광주, 제주, 춘천, 부산, 서울 등 '국립박물관 순회 전시'를 했으며 로스앤젤레스(1982년), 토론토(1991년), 시카고(1994년) 등 해외전시 외 다수의 개인전을 열었다. 그리고 부산미전 금상(1978년), 동아미전 미술상(1979년), 현대사진 문화상(1988년)을 수상하였다. '관조(觀照)'라는 법호대로 사진을 수행이자 포교의 방편으로 삼아온 사진작가 관조당 성국 스님은 지난 2006년 11월 20일 세수 64세, 법랍 47세로 범어사에서 원적에 들었다. 스님이 남긴 사진 필름은 20여만 점에 이른다.
펼치기
안장헌 (사진)    정보 더보기
1947년 충남 당진에서 태어나, 고려대 농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월간 「영상」 편집장을 거쳐 <한국미술오천년>(현암사)의 기획 및 편집을 담당했다. 신구대 사진과와 서울교육대학에서 사진학 강의를 했으며, 대한사진예술가협회 회장과 한국사진작가협회 이사 등을 역임했다. 1973년부터 우리 문화유산을 사진으로 담는 작업을 계속해 오면서 <한국미술전집>(1973-75), <한국의 미>(1983-87), <국보>(1983-85), <문화재 대관>(1986), <세계미술대전집>(한국편, 1999, 일본) 등에 사진을 제공했다. 개인전으로 '서라벌, 빛 그리고 향기전'(1996)을 가졌고, 그룹전으로 '대한사협전'(1968), 두 차례에 걸친 서울시립미술관 초대전(1997, 1998) 등 100여 회에 걸쳐 300여 점을 출품했으며, 해외 초대전으로 'Image of Korean Cultural Heritage'(유네스코 세가르홀), 'Buddhist Images of Korea'(함부르크) 등에 출품했다. 1977년 백오사진상 작품상을, 1999년 <서원>으로 간행물윤리위원회 저작상을 수상한 바 있다. 사진집으로 <석불>(1982), <석굴암>(1989), <선의 세계>(1992), <영겁의 미소>(1993), <서원>(1998)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 <사진으로 배우는 사진촬영교실>(1995)이 있다.
펼치기
김대벽 (사진)    정보 더보기
1929년 함경북도 행영에서 태어났다. 목사를 꿈꾸며 한신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나 학비 마련을 위해 우연히 접한 사진의 매력에 빠져 사진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구황실재산사무총국, 학원사, 삼화인쇄 등에서 사진가로 일했다. 40년이 훌쩍 넘는 시간 동안 예술적으로 포장된 사진보다는 사실 속에 깃들인 정신적인 면, 내면적인 면을 탐구하는 사진을 추구하며 우리 문화재를 사진에 담아 왔다. ‘사진작가’보다는 ‘사진가’라는 호칭으로 불리기를 좋아했으며 우리 문화유산 사진의 독보적인 대가로 손꼽힌다. <문화재대관>,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한옥>,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단청>, <경복궁>, <석굴암>, <아름다운 우리 문화재> 등의 책에 사진을 수록했다. 지난 2006년 9월, 향년 78세를 일기로 작고했다. 그의 묘비에는 ‘본향(本鄕)을 찾아서’라는 묘비명이 새겨져 있다.
펼치기
한석홍 (사진)    정보 더보기
1940년 제주 서귀포 출생으로 서라벌예대 사진과를 졸업했다. 1976년 '한석홍 사진연구소'를 설립, 활동하면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박물관 전문인력 양성교육 문화재 사진강의와 용인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에서 문화재 사진 강의를 하고 있다. 1970년부터 주로 박물관에서 문화재 사진작업을 해 오면서, 국내 출판물로 <한국미술 특별전 도록>(1971), <국립중앙박물관 도록>(1978), <국보>(권 1-6, 1983), <중앙아시아 미술>(1986), <유길준과 개화의 꿈>(1994), <대고려국보전>(1995), <조선시대 선비의 묵향>(1996), <백제>(1999) 등과, 해외 출판물로 <한국미술오천년전 도록>(1976, 일본), <18세기 한국미술전 도록>(1994, 미국), (1998, 미국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한국관 도록), (1999, 독일), <세계미술대전집>(한국편, 1999, 일본), <조선왕조의 미>(2001, 일본) 등에 사진을 제공했다. 개인전으로 「전통미술의 세계」(1988), 오스트리아 비엔나 국립민속박물관 초대 개인전(1989)을 가졌고, 「한국광고사진가협회전」(1979-2000)에 21회, 「한국가톨릭사진가협회전」(1981-98)에 7회에 걸쳐 출품했으며, 사진영상의 해 기념 「한국사진작가 1000인전」(1998)에 참여한 바 있다. 2000년 '44회 한국 인터넷 대상'에서 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