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89988359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06-11-01
책 소개
목차
제1부 성찰과 전망 : 인문학의 패러다임 전환
1장 문화학과 문화콘텐츠 능력
2장 자료의 힘과 역사적 상상력 : 역사학과 문화콘텐츠
3장 문화콘텐츠와 인문정보학
4장 문화가 테크놀로지를 만났을 때
제2부 가능성 : 인문학에서 문화콘텐츠로
5장 고신의 노둣돌, 민속학에서 문화콘텐츠로
6장 성과 속의 접점 찾기 : 종교학과 문화콘텐츠학
7장 함평나비축제로 읽는 생태학적 문화콘텐츠
8장 무대의 두 얼굴 : 연극과 문화콘텐츠
9장 한국 여가문화 콘텐츠의 재발견
제3부 분석과 방법 : 인문학에게 길을 묻다
10장 문화콘텐츠의 인문학적 분석과 비판
11장 문화콘텐츠와 인문학적 분석 도구 : 텍스트학과 서사구조
12장 스토리텔링장치를 통한 광고콘텐츠 분석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경쟁력은 문제 자체를 명료히 분석하고 정의하는 능력, 문제 해결의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조직하는 능력, 이 아이디어를 타인에게 명확히 전달함으로써 해당 집단의 합의를 얻어내는 능력에 달려 있다. 이제 대학 바깥의 사회는 대학으로부터 '지식'의 교육이 아니라 '능력'의 교육을 요구한다.
이 능력은 바로 '문화콘텐츠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곧 인문학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한 분석 능력, 논리적 사고 능력, 통합적 판단 능력, 창의력, 문제해결력, 발표력, 표현력 등이다. 이제 문화콘텐츠는 문화원형을 지닌 가시적인 물질문화적 생산물뿐만 아니라, 이를 발굴하고 생산하며 유통시키고 향유하는 전반적인 문화적 과정에서 가장 필요한 개념으로 등장하였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