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3248073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23-08-26
책 소개
목차
서문: 노마디즘으로 보는 이혼 이주여성의 주체성
연구 개요
1부 이혼한 결혼이주여성과 공존사회
1장. 가정해체와 이주여성
1. 결혼이주여성의 이주의 의미
2. 가정해체 이후 이주여성의 삶
3. 결혼이주여성에게 가정해체가 갖는 의미
2장. 이주여성의 주체성과 공존사회
1. 여성의 주체성
2. 이주여성의 주체성
3. 공존사회
2부 이혼한 결혼이주여성의 스토리텔링
3장. 쓰레기 비닐봉투 여섯 개로 정리된 결혼생활
1. 한국에서의 삶에 대한 기대감
2. 나의 존재는 없었던 결혼생활
3. 자립을 위한 소박한 꿈
4. 전사록 요약
4장. 참는 건 이제 그만하고 싶어
1. 행복한 결혼에 대한 기대가 무너지다
2. 참고 참는 건 이제 그만하고 싶다
3. 자립과 현실 사이에서 고민 중
4. 전사록 요약
5장. 두 딸을 온전히 품는 그날까지
1. 상상하지도 못했던 이혼
2. 배신감으로 고통받다
3. 이루고 싶은 꿈
4. 전사록 요약
6장. 한국과 인도네시아를 잇는 초국적 삶
1. 외국인 근로자에서 결혼이민자로
2. 무책임한 남편과 이혼을 결심하다
3. 한국과 인도네시아를 잇는 초국적 삶
4. 전사록 요약
7장. 국적은 한국, 민족은 우즈베키스탄
1. 따뜻함이 가득했던 엄마 민족의 나라
2. ‘나’로 인정받지 못한 결혼생활
3. ‘맨 앞에 서 있는 사람’으로서의 책임감
4. 전사록 요약
3부 리좀사회적 관점으로 보기
8장. 공존사회로 접속하기
1. 재영토화를 위한 종합 방법
2. 이혼한 이주여성의 재영토화 과정
9장. 타자와 더불어 만드는 숲
1. 차이에 대한 수용
2. 생성으로서의 타자-되기
3. 리좀사회를 위한 탈코드화와 재코드화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