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31004762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04-10-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인간 복제 시대의 인간성과 야만성
1부 인간 복제와 슬로터다이크 논쟁
1장 인간 복제, 어디까지 와 있는가
1. 생명 공학의 특징
2. 생명 복제의 전개 과정
3. 인간 복제
4. 인간 복제 옹호론
5. 인간 복제에 대한 비판적 담론
2장 인간 복제와 포스트휴머니즘
1. 인간 농장과 길들이기, 휴머니즘의 종말인가
2. 하이데거의 포스트휴머니즘: 이성적 동물에서 존재의 수호자로
3. 가축화와 인간 사육의 정치
3장 인간 사육인가, 인간 해방인가 - 슬로터다이크 논쟁의 발단과 전개
1. 슬로터다이크와 언론의 공방
2. 투겐트하트: '도덕 유전자는 없다'
3. 슈패만: '인간은 만들어지지 않는다. 태어나 길러질 뿐......'
4. 호네펠더: '중요한 것은 인간 자신의 경계 설정이다'
5. 드워킨: '신 노릇에 대한 잘못된 불안'
6. 슬로터다이크 논쟁 일지
4장 인간 복제 - 담론의 과잉, 철학의 부재
1. 법률적 관점
2. 종교적 관점
3. 윤리적 관점
2부 인간 복제에 관한 철학적 성찰
5장 태어난 인간과 만들어진 인간
1. 생명과 기술 공학의 결합은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2. 인간 복제와 포스트휴머니즘: 몸의 기술화와 인간 본성의 도덕화
3. '생명'의 존엄성과 '인간다운 삶'의 존엄
4. 인류의 자기 도구화와 바이오테크 시대의 생명 윤리
6장 요나스의 목적론적 생명 철학과 인간 복제
1. 자연과 자유의 화해
2. 생명의 본질로서의 자유
3. 생명의 자기 목적성
4. 유전자 기술의 우생학 비판
5. "무지에 대한 권리': 인간 복제 비판
7장 니체의 초인과 복제 인간
1. 유전 공학과 니체 철학
2. 슬로터다이크의 엘마우 강연에 나타난 니체
3. 허무주의의 변형으로서의 유전공학
4. 권력 의지와 탈인간 중심주의
5. 초인과 복제 인간
6. 유전 공학의 운명애적 수용
8장 인간 복제 시대의 가족 - 생식 기술의 사회적 효과
1. 가족과 생식 기술의 변화
2. 재생산의 관점에서 본 가족 제도의 변화
3. 새로운 생식 기술과 가족 제도의 변화
4. 기술적 영향의 명암과 가족 제도의 전망
찾아보기
책속에서
하버마스가 마지막 경계선으로 설정하고 있는 전제 조건은 두말할 나위도 없이 '인간은 자율적으로 행위하는 인격이다'라는 도덕적 인간관이다. 생명 공학은 이처럼 우리가 스스로를 어떻게 이해하고자 하는 본질적 문제와 결합되어 있다. 첫째, 우리는 생명 공학 시대에도 '자신의 삶의 창조적 주체'로서 실존할 수 있는가? 둘째, 우리는 생명 공학 시대에도 서로를 자율적으로 행위하는 인격으로 인정할 수 있는가? 만약 우리가 이러한 인간 이해를 도덕적 전제 조건으로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전제 조건을 침해하는 기술 행위에 동의할 수 없을 것이다. - 본문 131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