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31581706
· 쪽수 : 956쪽
· 출판일 : 2021-03-12
책 소개
목차
1권
머리말
프롤로그
PART1
1 난세에 세 영웅이 뜻을 모으다
2 장비가 부패한 관리를 패다
3 멍청한 하진은 죽고 음흉한 동탁이 들어서다
4 천하가 나를 배반하게 두지 않겠다
5 삼형제가 호뢰관에서 여포를 혼내주다
6 천하에 조공이 없어서는 안 됩니다
7 원소가 공손찬을 이용해 기주를 차지하다
8 초선의 추파에 삼혼칠백(三魂七魄)이 녹아내리다
9 봉의정에서 울려 퍼지는 승전가
10 조조가 부친의 원한을 갚으려 서주를 도륙하다
11 유비가 ‘서주 접수 절대 불가!’를 외치다
12 유비, 맡기 싫은 서주목이 되다
책씻이1 | 조조도 놀랄 연의 속의 ‘악독한’ 조조
소설 밖 나들이1 | 도원결의하며 의형제를 맺은 곳, 탁주
PART2
13 난세의 황제, 초가에서 눈물만 삼키다
14 고주망태 장비가 서주성을 빼앗기다
15 형제는 수족과 같고 처자는 의복과 같다
16 신궁 여포가 화살 한 발로 전쟁을 막다
17 조조가 머리카락을 잘라 군령을 세우다
18 곽가가 원소를 무찌르는 십승십패설을 제안하다
19 비장(飛將) 여포, 하비성에서 최후를 맞다
20 헌제가 혈서로 ‘조조 암살’을 지시하다
21 유비가 조조에게서 벗어나다
22 진림의 격문에 조조의 두통이 사라지다
23 조조 암살 실패, 의대조 사건의 전모가 드러나다
24 유비 삼형제, 조조에게 패하여 뿔뿔이 흩어지다
책씻이2 | 배신자의 전형 여포, 그를 위한 변론
소설 밖 나들이2 | 조조와 유비가 천하 영웅을 논한 곳, 허창 청매정
PART3
25 명장 안량, 관우를 호의로 대하다 맥없이 죽다
26 관우가 두 형수를 모시고 조조를 떠나다
27 여러 장수도 관운장을 배워 이름을 높이도록 하라
28 삼형제 다시 만나고 조운도 충성을 맹세하다
29 조급한 손책은 죽고 진중한 손권이 강동을 물려받다
30 참모를 의심하여 패한 원소, 참모를 믿어 승리한 조조
31 원소는 괴멸하고 유비는 또 방랑 신세가 되다
32 조조가 원소의 참모였던 진림을 등용하다
33 곽가의 유언대로 조조가 원씨 형제를 처치하다
34 흉마 적로, 단계를 뛰어 유비의 목숨을 구하다
35 서서가 노래 불러 유비의 참모가 되다
36 서서를 보내는 유비, 제갈량을 천거하는 서서
책씻이3 | 막강 명문 원소, 자질 부족과 자중지란으로 멸망하다
소설 밖 나들이3 | 원소와 조조가 중원을 놓고 겨룬 관도대전, 정주 관도
PART4
37 삼형제가 천하의 대현(大賢)을 찾아나서다
38 유비와 제갈량, 수어지교(水魚之交)가 되다
39 제갈량이 박망파서 하후돈을 무찌르다
40 유비가 형주를 차지할 수 없다고 버티다
41 조자룡이 장판파에서 아두를 구해내다
42 장비가 호통 쳐 조조군을 물리치다
43 제갈량이 손권을 설득하여 천하삼분에 착수하다
44 주유가 제갈량 제거에 골몰하다
45 조조가 주유의 속임수에 넘어가다
46 제갈량을 죽이고픈 주유, 주유 머리 위에 앉은 제갈량
47 황개는 고육계를 실행하고 방통은 연환계를 펼치다
48 인생이 얼마이뇨? 술 마시며 노래 부르자!
책씻이4 | 좌충우돌·대갈일성, 초기 삼국연의 주인공은 장비였다
소설 밖 나들이4 | 조운과 장비가 천하에 이름을 떨친 곳, 당양 장판파
PART5
49 제갈량의 동남풍 한 방에 조조의 대군이 박살나다
50 관우가 화용도에서 조조를 놓아주다
51 주유는 헛고생만 하고 남군은 유비가 가지다
52 마침내 유비가 형주를 차지하다
53 노장 황충이 유비에게 귀순하다
54 유비가 손부인을 맞이하여 촉오동맹을 견고히 하다
55 거듭 실패하는 주유, 손부인과 형주로 돌아온 유비
56 주유가 가도멸괵(假道滅?)으로 유비를 치려 하다
57 주유를 내놓고 어찌 제갈량을 또 내셨습니까
58 조조가 수염을 자르고 목숨을 구하다
59 조조가 편지 한 통으로 한수와 마초를 이간시키다
60 장송을 내친 조조, 서천 지도를 얻은 유비
책씻이5 | 관우, 평화 시대의 조연에서 연의 시대의 주연으로 등극하다
소설 밖 나들이5 | 조조의 천하통일을 막고 정족지세를 이룬 곳, 적벽
참고문헌
2권
머리말
PART6
61 당신이 죽지 않으니 내가 편히 잘 수가 없소
62 유비가 가맹관에서 야망을 키우다
63 낙봉파서 죽은 방통, 엄안을 항복시킨 장비
64 법정이 유비를 도와 유장을 공격하다
65 유비가 익주를 차지하다
66 관우가 칼 한 자루로 노숙을 만나다
67 조조가 한중을 차지하자 유비가 형주 3군을 돌려주다
68 좌자가 위왕 조조를 농락하다
69 관로의 신묘한 점복에 조조가 감탄하다
70 술로 장합을 무찌른 장비, 천탕산을 빼앗은 노장 황충
71 유비가 조조에게서 한중을 빼앗다
72 먹자니 먹을 것 없고 버리자니 아깝도다
책씻이6 | 유비, 인의(仁義)와 한 황실 부흥을 앞세운 반(反)조조파의 맹주
소설 밖 나들이6 | 유비도 조조도 포기할 수 없는 요충지, 한중
PART7
73 유비가 한중왕에 오르다
74 목숨을 구걸한 우금, 죽음을 선택한 방덕
75 관우는 바둑을 두고 화타는 관우를 수술하다
76 관우 부자가 맥성에서 구원군을 기다리다
77 관우를 죽인 손권, 관우를 장사지낸 조조
78 위왕 조조가 천명을 다하다
79 위왕에 오른 조비, 칠보시(七步詩)로 목숨 구한 조식
80 조비가 황제에 오르자 유비도 황제에 오르다
81 술버릇 못 고친 장비가 비명횡사하다
82 만리 강산을 얻은들 무슨 소용이 있는가
83 유비 말실수에 황충을 잃다
84 육손에 대패한 유비가 백제성으로 도망가다
책씻이7 | 손권, 삼국 쟁투의 캐스팅 보트를 쥐고 있는 조연
소설 밖 나들이7 | 유비가 죽음으로 도원결의를 지킨 곳, 장강삼협과 효정
PART8
85 유비가 제갈량에게 후주를 부탁하다
86 촉과 오가 다시 화친하다
87 남만왕 맹획이 반란을 일으키다
88 제갈량이 노수를 건너 맹획을 사로잡다
89 매번 풀어주는 제갈량, 그때마다 공격하는 맹획
90 제갈량이 칠종칠금 하니 맹획이 진정으로 항복하다
91 눈물로 출사표를 쓴 제갈량, 눈물을 머금고 낙향한 사마의
92 제갈량의 계략을 강유가 간파하다
93 강유가 제갈량의 후계자가 되다
94 복귀한 사마의, 제갈량과 진검승부를 펼치다
95 자만으로 가정을 잃은 마속, 목숨으로 빈 성을 지킨 제갈량
96 제갈량이 울면서 마속을 베다
책씻이8 | 위연을 위한 변론, 거듭 반역의 표상으로 낙인찍힌 장수
소설 밖 나들이8 | 제갈량이 맹획을 칠종칠금 하여 항복시킨 곳, 운남
PART9
97 나라는 기둥을 잃고 나는 한쪽 팔을 잃었다
98 황제에 오른 손권이 촉오동맹을 재확인하다
99 제갈량이 싸우지 않는 사마의를 유인하다
100 제갈량 편지에 죽은 조진, 제갈량 팔괘진에 무너진 사마의
101 장합이 소나기 화살을 맞고 죽다
102 제갈량이 목우와 유마로 위군의 군량을 가로채다
103 일은 사람이 꾸미고 성패는 하늘에 달려있다
104 죽은 공명이 살아있는 중달을 물리치다
105 위연의 외침에 마대의 칼이 번쩍이다
106 조방이 황제에 오르고 조상은 전권을 휘두르다
107 사마의가 조상을 속이고 국권을 장악하다
108 총명함과 교만함이 목숨을 재촉하다
책씻이9 | 국궁진췌(鞠躬盡?)의 대명사 제갈량, 소설 삼국지 최고의 인물
소설 밖 나들이9 | 제갈량의 한과 혼이 서린 곳, 한중 오장원
PART10
109 조방의 밀지가 발각되고 사마씨가 권력을 잡다
110 반란에 실패한 관구검, 눈알이 빠져 죽은 사마사
111 사마소가 찬탈을 노리자 제갈탄이 반기를 들다
112 등애가 지략을 뽐내며 연전연승하다
113 진법으로 등애를 누른 강유, 반간계로 위기를 벗어난 등애
114 종이 황제 조모, 사마소에게 죽음으로 항거하다
115 하후패가 등애에게 죽고 강유는 답중에 주둔하다
116 한중이 무너졌건만 후주는 환락만 일삼다
117 성도를 압박하는 등애, 부랴부랴 제갈첨을 부르는 후주
118 후주는 항복하고 강유는 부활을 노리다
119 이곳에서 희희낙락하여 서촉은 잊었습니다
120 천하는 다시 사마씨의 진나라로 통일되다
책씻이10 | 사마의, 조조와 유비를 능가하는 후흑(厚黑)의 대가
소설 밖 나들이10 | 한 명으로 만 명을 지킬 수 있는 천혜의 요새, 검문관
에필로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