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본삼국지 3

본삼국지 3

(중국 12 판본 아우른 세계 최고 원본, 최종 원색 완성판, 천하 셋으로 나누다)

나관중 (지은이), 모종강 (엮은이), 예슝 (그림), 리동혁 (옮긴이), 저우원예 (지도)
금토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본삼국지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본삼국지 3 (중국 12 판본 아우른 세계 최고 원본, 최종 원색 완성판, 천하 셋으로 나누다)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역사소설 > 외국 역사소설
· ISBN : 9791190064057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19-12-02

책 소개

<삼국연의>를 바탕으로 삼아 그 책의 오류를 바로잡으면서, 현재 남아있는 고대 판본들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명나라 때의 판본 10종과 청나라 때의 판본 2종을 합쳐 고대 판본 12종을 아울러 완벽하게 재현해낸 세계 최고의 원본이다.

목차

59. 알몸으로 마초와 싸우는 허저
60. 장송은 유비에게 서천 바치고
61. 조운은 다시 어린 주인 구하다
62. 노장 황충의 시들지 않는 기백
63. 어린 봉황 낙봉 언덕에 떨어져
64. 충신이 어찌 두 주인을 섬기랴
65. 유비, 드디어 익주에 자리 잡다
66. 관우, 칼 한 자루 들고 모임에
[單刀赴會단도부회]
67. 조조 침공에 무너진 오랜 천국
68. 나막신 도사 좌자는 조조 조롱
69. 대보름 밤에 일어선 다섯 충신
70. 장비는 술타령으로 장합 이겨
71. 손님이 도리어 주인 노릇 한다
[反客爲主반객위주]
72. 먹자니 귀찮고 버리자니 아깝고
[鷄肋계륵]
73. 촉의 유비도 한중왕에 오르고
74. 관우는 강물로 우금 사로잡아
75. 화타는 뼈 갉아 관우 팔 치료
76. 옥은 부서져도 빛깔 변치 않아
77. 미염공 죽자 적토마 굶어 죽어
78. 신의(神醫) 죽이고 간웅도 떠나
79. 콩깍지를 태워 콩을 삶는구나
80. 천하는 덕 있는 자에게 돌아가
81. 장비도 부하 칼에 목숨 잃어
82. 큰 것 버리고 작은 것을 찾다
[棄大就小기대취소]
83. 촉 황제 이긴 오의 젊은 선비
84. 강가에서 살기 뻗치는 팔진도
85. 유비는 제갈량에게 고아 부탁
86. 오의 기름 가마 뛰어든 촉 사자
87. 뒷 근심 없애려 남만 땅 정벌
88. 마음 얻으려고 몸을 살려주다

저자소개

나관중 (원작)    정보 더보기
중국 원나라 말기, 명나라 초기의 연의 작가로서 중국 4재 기서 중 하나인 ≪삼국지연의≫를 썼다. 이름은 본(本)이고, 자가 관중이다. 호는 호해산인(湖海散人). 지금의 산시성에 속하는 태원(太原) 출신으로 과거에 거듭 낙방하고 아버지를 따라 소금 장사를 했으나 장사엔 뜻이 없고 집 근처의 찻집에 드나들며 한량으로 살았다. 당시 찻집에서 매일같이 공연하던 삼국희곡(三國戲曲)을 즐겨 듣고 달달 외우는 수준까지 이르렀는데, 이것이 ≪삼국지연의≫ 집필의 밑거름이 되었다. 정사 ≪삼국지≫와 민간 설화 등을 재료로 자신의 창작력을 더해 동아시아 최고의 고전 걸작이라고 할 수 있는 ≪삼국지연의≫를 썼다. ≪수호전≫의 편저에도 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 ≪수당지전≫, ≪잔당 오대지 연의≫, ≪송 태조 용호 풍운회≫, ≪평요전≫ 등의 희곡과 통속 소설이 전한다.
펼치기
모종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청나라 시대의 소설가 또는 문예 비평가로서 자는 서시(序始), 호는 자암(子庵)이다. 지금의 장쑤성에 속하는 장주(長洲) 출신으로 아버지 모윤과 함께, 전하는 문학 작품들에 대한 문예 비평, 주석 달기 및 본문 편집과 재창작에 힘을 쏟았다. 그중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를 새롭게 전체 120장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해 편집 출판함으로써 후세에 이름을 남겼다. ≪삼국지연의≫의 여러 판본 중 촉한 정통론을 완성했다고 평가받는 모종강본은 4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영향력이 압도적이다.
펼치기
리동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재중동포 작가, 중국 고전 연구가, 옌벤작가협회 회원. 1967년 중국 조선족 자치구 지린성 옌지시 출생. 아버지는 시인이자 언론인이며 어머니는 잡지 편집인. 옌벤에서 학업을 마치고 베이징으로 가서 중국 고전 연구에 전념해 중국 역사와 고대철학, 종교와 민간신앙, 고대 군사와 무술 연구로 학계의 인정을 받았다. 특히 <삼국지>와 <수호지> 연구에 큰 성과가 있어 중국의 <삼국지>와 <수호지> 출판에 여러 차례 참여했다. 각종 미디어에 작품과 칼럼 연재. 중국의 <삼국지> 전문가들과 협력관계를 맺고 연구를 계속하면서 많은 도움과 조언을 받아 <본삼국지>를 완성했다.
펼치기
예슝 (그림)    정보 더보기
중국 미술가협회 회원, 상하이 미술가협회 연환화(만화) 예술위원회 주임, 상하이 문사관(文史館) 서화연구원, 상하이 민주동맹서화원 집행원장. 전국연환화상(3회), 국가도서상, 빙심(冰心)아동문학상 등 수상 경력이 화려하다. <수호전 108명의 장군(水滸一百零八將)> <삼국연의 인물화전(三國演義人物畫傳)> <홍루몽 인물화보(紅樓夢人物畫譜) <서유기 인물신괴화전(西遊記人物神怪畫傳)>등을 꼽을 수 있다. 한국에서도 189점이 실린 <본삼국지>가 출판되었다. 1988년 상하이미술관은 ‘예슝 중국화전’을 개최해 상하이미술관협회, 상하이미술관, 상하이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십육포(十六鋪)> <정판교소상(鄭板橋小像)> <죽림칠현(竹林七賢)> 등을 전시하였다.
펼치기
저우원예 ()    정보 더보기
컴퓨터 프로그래머. 베이징수도사범대학교 디지털 캠프 주임교수. <삼국지> 지리 연구가. 1945년 윈난성 쿤밍시 출생. 칭화대학교 자동통제학부 졸업. 중국 고전의 디지털화를 진행하며 한국과 일본에서도 논문 다수 발표.
펼치기

책속에서

여기서 이야기하건대, 천하는 나누어진 지 오래면 반드시 합쳐지고, 합쳐서 오래 지나면 반드시 나누어진다.[天下천하 分久必合분구필합 合久必分합구필분].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