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비평론
· ISBN : 9788932023083
· 쪽수 : 303쪽
· 출판일 : 2012-05-30
책 소개
목차
서문
머리말
서론
제1장 클리나맨 혹은 시적 오류
제2장 테세라 혹은 완성과 대조
제3장 케노시스 혹은 반복과 불연속성
중간 장 대조적 비평을 위한 성명
제4장 악마화 혹은 반-숭고
제5장 아스케시스 혹은 정화와 유아론
제6장 아포프라데스 혹은 죽은 자의 귀환
맺음말
옮긴이 해설
출처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셰익스피어는 우리를 발명했고 계속 우리를 구속하고 있다. 우리는 지금 모든 상상문학을 평가절하하고 특히 셰익스피어를 낮추고 깎아내리는, 소위 ‘문화비평’의 시대에 살고 있다. 문학연구의 정치화는 문학연구를 이미 파괴했으며 학문 그 자체를 파괴할 수도 있다. 셰익스피어는 세상이 애초에 그에게 영향을 미친 것보다 훨씬 더 큰 영향을 세계에 미쳤다. 원한학파 비평가들이 공통적으로 가정하는 것은 국가권력이 전부이고 개인 주체성은 아무것도 아니라는 점이다. 그 주체성이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것이라도 말이다. 〔……〕 나는 이런 모든 권력을 팔아먹는 자들에 대한 일종의 해독제를 위해 에머슨에게로 돌아간다. 누가 근대적 삶의 텍스트를 썼는가? 셰익스피어인가, 아니면 엘리자베스와 제임스 1세 시대의 정치제도인가? 우리가 아는 바의 인간을 누가 발명했는가? 셰익스피어인가, 아니면 궁정과 궁정의 대신들인가? 셰익스피어의 텍스트에 누가 더 많은 영향을 미쳤는가? 여왕 폐하의 제1장관이었던 벌리 경인 윌리엄 세실인가, 아니면 크리스토퍼 말로인가? (「서문: 오염의 괴로움」, 17~18쪽)
이 책을 읽는 합당한 독자, 즉 좌파든 우파든 인민위원이나 이념가가 아니라 어느 정도 문학적 감수성을 지닌 자라면 누구든 영향에 대한 불안이 선구자에 대한 것이라기보다는 이야기, 소설, 희곡, 시 혹은 에세이에서 성취되는 불안이라는 점을 알 것이다. 불안은 기질이나 환경에 따라 후대 작가들에 의해 내재화될 수도 내재화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는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강한 시는 성취된 불안이다. ‘불안’은?이미지적·시간적·정신적·심리적?관계들의 모체를 함축하는 은유이며, 이 모든 관계는 궁극적으로 방어적인 성격을 지닌다. (이 책의 핵심 논점이기도 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영향에 대한 불안이 강력한 오독이라는 복잡한 행위, 내가 ‘시적 오류’라고 부르는 창조적 해석에서 나온다는 점이다. 작가들이 불안으로 경험할 수 있는 것 그리고 그들의 작품이 표현하도록 강요받는 것은 시적 오류의 원인이라기보다는 그 결과이다. 강한 오독이 먼저 존재한다. 이를테면 문학작품과 일종의 사랑에 빠지는 심오한 해석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서문: 오염의 괴로움」, 26쪽)
시의 젊은 시민 혹은 아테네가 불렀던 바와 같이 이피브는 이미 반자연적 혹은 반대적 인간이며, 그의 선구자가 그랬던 것처럼 처음부터 시인으로서 불가능한 대상을 추구한다. 이 추구가 필연적으로 시의 왜소화를 포함한다는 것은 정확한 문학사가 반드시 견지해야 할 불가피한 깨달음으로 보인다. 영국 르네상스의 위대한 시인들은 그들의 계몽주의적 후손들이 결코 필적할 수 없으며, 계몽주의 이후 모든 전통, 즉 낭만주의는 모더니스트 그리고 후기 모더니스트 후예들에게서 더 쇠퇴하는 것을 보여준다. 시의 죽음은 어느 독자가 골똘히 생각한다고 재촉되지 않겠지만, 우리 전통에서 시가 죽을 때 그것은 스스로 살해될 것이라고, 즉 자신의 과거의 힘에 의해 살해될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정당하게 보인다. 이 책 전체에 함축된 고뇌는 낭만주의가 그 모든 영광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예시적 비극이었을 것이라는 점, 즉 프로메테우스의 기획이 아니라, 스핑크스가 자신의 뮤즈라는 것을 알지 못했던 눈먼 오이디푸스의 자기실패적 기획이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눈먼 오이디푸스는 신탁을 주는 신이 되는 길을 갔고, 강한 시인들은 선구자들에 대한 맹목을 자기 작품의 수정적인 통찰로 변모시킴으로써 그를 따랐다. 내가 강한 시인의 삶의 주기에서 추적할 여섯 개의 수정 운동은 더 많을 수도 있고, 내가 사용한 이름과 아주 다른 이름을 취할 수도 있다. 나는 이 운동을 여섯 개로 한정했는데 이는 그것들이 최소한이며 어떻게 한 시인이 다른 시인으로부터 이탈하는가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 이름들은 비록 자의적이긴 하지만 서구의 상상적 삶에서 핵심적이었던 다양한 전통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유용하리라고 기대한다. (「서론: 우선권에 대한 명상, 그리고 개요」, 70~7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