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프랑스문학론
· ISBN : 9788932043494
· 쪽수 : 564쪽
· 출판일 : 2025-01-23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앙드레 브르통과 초현실주의
제1장 브르통과 초현실주의 혁명의 의미
제2장 브르통과 다다
제3장 『나자』와 초현실주의적 글쓰기의 전략
제4장 『열애』와 자동기술의 시 그리고 객관적 우연
제5장 자동기술과 초현실주의적 이미지
제6장 「자유로운 결합」과 초현실주의 이미지의 사용법
제2부 초현실주의 시와 소설의 다양성
제7장 엘뤼아르와 초현실주의 시의 변모
제8장 엘뤼아르의 「자유」와 초현실주의 시절의 자유
제9장 아라공의 『파리의 농부』, 현실성과 초현실주의
제10장 데스노스의 『자유 또는 사랑!』과 도시의 환상성
제11장 레몽 루셀의 『아프리카의 인상』, 글쓰기와 신화
제12장 쥘리앵 그라크의 『아르골성에서』와 새로운 초현실주의 소설
제3부 초현실주의의 안과 밖
제13장 살바도르 달리, 르네 마그리트, 자크 에롤드와 초현실주의
제14장 호안 미로와 초현실주의
제15장 자코메티와 브르통
제16장 바타유의 위반의 시학과 프레베르의 초현실주의
제17장 브르통과 바타유의 논쟁과 쟁점
제18장 사드와 초현실주의
제19장 에메 세제르의 『귀향 수첩』과 앙드레 브르통
제20장 사르트르의 초현실주의 비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가시적인 세계 속에서 가시적인 것만을 중시하는 사람들 틈에 살면서 비가시적인 것을 보는 능력의 소유자이면서, 거리낌 없이 거의 절망적인 몸짓으로 자유를 실현한 나자는 부르주아 사회가 용납할 수 없는 정신이상자라는 진단을 받는다. 그녀를 정신병동에 가두는 이유는 그녀의 건강을 위해서가 아니라 부르주아 사회의 안정을 위해서이고, 그 사회의 울타리 안에서 세속적인 행복을 누리는 시민들을 위해서이다. 브르통은 사드와 니체와 보들레르를 가둔 사회를 공격하면서, 그 사회체제와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정신과 의사들을 비판한다. (제1장 「앙드레 브르통과 초현실주의」)
초현실주의 선언문」에서도 자동기술과 초현실주의적 이미지의 논의가 연속적으로 혹은 병행하여 전개되었듯이, 말의 힘을 믿고 말을 중요시하고 말을 해방함으로써 결국 인간과 세계의 변화를 추구하려는 의도는 자동기술과 초현실주의적 이미지의 목적과도 분리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두 주제의 상호 관련성을 인정하고 그것들 사이의 공통된 초현실주의 시학의 핵심을 찾아보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제5장 「자동기술과 초현실주의적 이미지」)
1924년은 초현실주의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해이다. 그해에 초현실주의 그룹이 공식적으로 결성되고,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선언문」이 작성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초현실주의 그룹이 결성된 이후, 첫번째 공동 작업으로 그 당시 원로 문인이었던 아나톨 프랑스가 타계하자 그의 삶과 문학을 격렬히 비난하고 성토하는 팸플릿 「시체」를 만들고, 초현실주의의 공식적인 잡지인 『초현실주의 혁명』의 창간호가 간행된 것도 이 무렵이었다. 엘뤼아르는 「시체」와 『초현실주의 혁명』 창간호에 모두 중요한 필자로 참가한다. (제7장 「엘뤼아르와 초현실주의 시의 변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