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32915470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2-10-30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서장
제1장 러일 전쟁과 조선 식민지화의 전개
제2장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 병합 구상과 제3차 한일 협약 체제
제3장 이토 히로부미의 병합 구상 좌절과 조선 사회의 동향
제4장 병합론의 상극
제5장 한국 병합
종장
후기
찾아보기
옮긴이의 말
책속에서
이 책의 과제는 1904년 러일 전쟁으로부터 1910년 한국 병합에 이르기까지, 이 시기에 이루어진 일본의 조선 식민지화 과정을 일본 정치가들 사이에 존재했던 식민지 통치 형태에 대한 복수의 구상, 그리고 그것에 의해 규정되었던 한국 병합과 편입 구상의 대립 · 병합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하는 것이다.
_서장
한국에서 일본의 식민지 정책 연구를 진행할 때 빠트려서는 안 되는 것은 식민지인 조선 사회로부터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역으로 분석해 보는 시각이다. 조선에서 일본의 식민지 지배 체제를 고찰함에 있어서 일본의 지배가 재지 사회에 어떠한 모순 관계를 초래하였는지를 밝힘과 동시에 그와 같은 지배가 조선의 종래 정치 · 사회 구조에 어떻게 규정되고 있었는가를 해명해야 한다.
_서장
의화단 사건을 계기로 한 러시아군의 만주 주둔은 종래 일본의 대륙 정책상 과제였던 한국 문제에 만주 문제를 접합시키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만한 문제를 최종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일으킨 것이 러일 전쟁이었다. 전쟁 초에 한국을 군사적으로 제압한 일본은 개전 전부터 체결 교섭을 밀어붙이는 내용이 담긴 「한일 의정서」체결을 강요했다. 이 조약은 한국의 보호국화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한국 종속화를 기도한 것이었다. 그리고 전선이 만주로 이동하자 일본은 구체적인 대한 경영 구상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한일 의정서」가 <대한 경영의 윤곽>을 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_제1장 러일 전쟁과 조선 식민지화의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