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84945555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6-04-13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최재건|베커(A. Becker)와 연희전문학교
1. 머리말
2. 베커의 선교준비와 내한
3. 평양 숭실학교 활동
4. 연희전문학교 활동
5. 맺음말
이현희|1920년대 이관용의 사상 형성과 교육.언론 활동
1. 머리말
2. 철학론의 형성:‘의지(意志)’의 발견과 칸트에 대한 이해
3. 사회 인식의 발현과 근대 문명사조의 이해
4. 세계사의 인식:소련기행과 중국혁명 경험
5. 맺음말
최재건|로즈(H. Rhodes) 선교사의 선교활동과 연희에서의 교육사역
1. 머리말
2. 생애와 선교활동
3. 저술 활동
4. 맺음말
황금중|피셔(J. Fisher)의 민주주의 교육철학과 선교교육관-1920년대 한국의 근대교육과 선교교육의 평가 및 전망-
1. 머리말
2. 선교사 피셔의 교육철학적 문제의식:민주주의의 원리에 입각한
조선 선교교육의 검토와 재구성
3. 교육의 목적론, 그리고 조선 선교교육 목적의 비판적 재구성:듀
이의 민주주의 교육철학의 관점으로
4. 일제시기 선교교육의 구체상과 민주주의적 지향
5. 피셔의 저작 분석에서 남겨진 현재적 차원의 논점들
6. 맺음말
김도형|환산 이윤재의 민족운동과 역사연구
1. 머리말:연희전문학교와 이윤재
2. 민족주의 학문 수학
3. 흥사단 운동과 실력양성론
4. 민족주의 학술 운동과 역사서술
5. 나머지 말
정용서|연희전문 수물과 출신 미국유학생 장세운과 잡지 <우라키>
1. 머리말
2. 연희전문 수물과와 장세운
3. 미국 유학과 <우라키> 발간 참여
4. 맺음말
|특별기고|동아시아 ‘대학’의 역사와 활용
김태웅|일제하 관립전문학교(官立專門學校)의 운영 기조와 위상 변화-제1차.제2차 조선교육령 시기 ‘서울대학교 전신학교(前身學校)’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제1차 교육령 시기(1911~1921) 관립학교 운영 기조와 위상의 설정
3. 제2차 교육령 시기(1922~1937) ‘일선공학(日鮮共學)’ 방침의 전면화와
관립전문학교 위상의 강화
4. 맺음말
왕위안주(王元周)|베이징 대학의 학술사적 위치와 ‘교사(校史)’ 박물관의 역할
1. 베이징 대학의 건립과 발전
2. 베이징 대학의 학과발전과 학술 공헌
3. 베이징 대학의 학교사(學校史) 형성, 기념과 학술연구
4. 맺음말
오가와라 히로유키(小川原宏幸)|일본에서의 대학사 편찬사업의 과제-도시샤 대학(同志社大學)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변해가는 대학사 편찬사업의 위상
3. 도시샤 대학의 대학사 편찬사업과 교육
4. 맺음말을 대신하여:도시샤 대학의 대학사 편찬사업의 전개를 위하여
찾아보기
필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