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에세이
· ISBN : 9788932919881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9-10-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무엇을 보고 무엇을 생각하며 시민의 도시를 걸을까
제1장 대서울이란 무엇인가
대서울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입장들
〈경인(京仁) 메갈로폴리스〉의 탄생과 수도길
〈경인〉이라는 지명의 분포
부평 평야
서해 바다를 통해 이어지는 대서울
한강을 통해 이어지는 대서울과 평민의 신앙 〈부군당〉
제2장 도시 문헌학과 도시 화석
문헌학자처럼 대서울 걷기
도시 문헌학
도시 화석
머릿돌
튀어나온 철근
마을 비석, 기념비, 추모비
가게 간판
제3장 갈등 도시, 대서울을 걷다
경인 메갈로폴리스의 축
1 봉천동・신림동: 남서울과 대서울의 도시
2 상도동: 잠시 존재하는 풍경들
3 흑석・노량진・대방・신길: 경인 메갈로폴리스의 동남부
4 영등포: 철도와 부군당
5 서울・부천・광명・시흥・안양의 경계에서: 대서울 서남부의 공업・군사 벨트
6 파주와 고양: 무게 중심의 이동
7 고양에서 가좌까지: 핫 플레이스 너머의 대서울
8 구파발 사거리에서 독립문역 사거리까지 :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의주로
대서울의 한가운데
9 해방촌: 비교 도시사와 삼문화 광장이라는 관점에서
10 종로 5・6가: 겨울, 피맛길에서
11 을지로: 서울 100년의 시층(時層)
부록 을지로의 풍경들
12 이태원, 보광동, 한남동: 신앙의 길
대서울의 과거・현재・미래
13 약수에서 길음까지: 집단 주택의 박물관
14 길음에서 창동까지: 묘지・철거민・공장・고층 아파트 단지
15 의정부: 변화하는 정체성
16 남양주: 천부교・원진 레이온・마석, 그리고 다산 신도시
17 강남 답사 전략: 농촌 강남, 영동 개발, 군사 도시
18 성남: 광주 대단지, 분당, 판교 세 도시 이야기
19 용인: 확장 강남의 남쪽 끝
20 의왕・군포・안양・과천・사당・방배・이수 : 대서울의 과거, 현재, 미래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누군가가 시민들에게 보이기 싫은 것은 지우고 보여 주고 싶은 것은 잘 정리해 놓은 모범적이고 청결한 답사 코스를 벗어나서 무작정 대서울을 걷다 보면, 이 도시의 구석구석에서 지난 백 수십 년간 시민들이 갈등하며 살아가고 또 죽어 간 이야기들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조선 시대 국왕ㆍ양반의 공간, 독립운동ㆍ친일 인사와 관련된 공간, 건축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빌딩들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이들 공간이 중요하지 않다는 게 아닙니다. 특정한 이들 공간들에 대해 수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하고 책을 쓰는 동안, 대서울의 거의 전부를 차지하는 나머지 공간은 재개발ㆍ재건축되어 사라지고 있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었습니다.
불교ㆍ유교ㆍ기독교만이 대서울의 종교가 아닙니다. 대서울 곳곳에서 널리 확인되는 부군당ㆍ도당 신앙, 제갈량과 관우 신앙, 녹번 고개 산골(山骨) 판매소의 토지신 신앙, 그리고, 대서울은 아니지만 경상남도 창원시의 가포 마을 신사도 현대 한국 시민의 당당한 신앙 형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