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3485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4-01-29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박영신 박사) 5
추천사 2(김형국 박사) 8
추천사 3(로날드 J. 사이더 박사) 11
역자 서문 13
서문: 시민 사회 논쟁 19
제1장 시민 사회는 위험에 처했는가? 33
1. 시민의 참여 38
2. 종교의 쇠퇴? 43
3. 종교의 공공 역할 55
4. 시민 사회와 시장 62
5. 소그룹 67
6. 영구적인 위험 74
제2장 기독교인은 시민다운가? 77
1. 공공 종교의 회귀 78
2. 시민성에 대한 질문 86
3. 문화 전쟁 92
3. 문화 전쟁을 넘어서 99
4. 공적 신뢰 보호하기 123
제3장 다문화주의와 종교 다양성 129
1. 다양성의 증대 130
2. 종교의 역할 137
3. 정체성 정치로서의 종교 141
4. 실용적 보편주의로서의 종교 151
5. 시민 비평으로서의 종교 160
6. 지적 세련됨을 위한 호소 172
부록 173
1. 현시대 가장 탁월한 종교사회학자 우스노우/ 정재영 박사 173
2. 우스노우의 시민 사회 사상/ 이승훈 박사 199
색인 229
책속에서
시민 사회는 또한 공동체보다 더 바람직한 개념이다. 왜냐하면 공동체는 법률을 포함하여 정부의 역할에 아무런 관심도 기울이지 않는데 비하여, 시민 사회는 오직 정부와의 관계에서만이 의미를 갖는 그런 관계적 구성물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공동체란 일종의 획일적인 함의를 갖는 것으로, 공동체 개념에는 거의 동일한 환경에 속한 사람들이 도덕적 미덕과 이타적인 감정을 토대로 대부분 스스로를 제어해나간다는 사실이 전제되어 있다. 반대로 시민 사회는 서로 긴장 관계에 있을 수 있는 다양한 조직들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기독교와 시민 사회의 문제를 제기할 또 하나의 방법이 있다. 사실은 내가 주로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것은 종교에 대한 헌신이 우리의 삶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문제이다. 일생을 세속화 문제에 바쳐온 옥스퍼드의 사회학자 브라이언 윌슨(Bryan Wilson)은 세속화에 대한 가장 좋은 정의는 종교 자체의 쇠퇴가 아니라 삶의 다른 영역들에 대한 종교 영향력의 쇠퇴라고 말했다.49 이것은 중요한 관찰이다. 우리는 종교를 그 영향력으로 판단한다. 성서 자체는 우리에게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마 5:13)라고 가르친다. 소금이 그 맛을 잃는다면 무슨 소용이 있는가? 실제로 이것이 사회과학자들이 연구하는 대부분의 것들과 종교를 구분하는 방식이다. 우리는 사람들의 삶에 대한 영향력을 보려고 오페라의 청중을 연구하지는 않지만, 종교는 그런 식으로 연구한다.
하지만 화해가 전면적인 문화 전쟁보다 더 낫하고 말한다는 것은, 믿음을 가진 사람들이 자신들이 사회 이슈에 대하여 가질 수 있는 깊은 확신을 포기해야만 한다는 것을 뜻하진 않는다. 실제 이러한 확신을 포기하는 것은 공적인 참여로부터 조용하고 신성한 개인 생활로 도피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로서, 그것은 결국 불가피하게 시민 참여를 위축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다. 쟁점은 입장을 철회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 사회에서의 시민성(civility)을 유지하면서 참여하는 것이다. 하나의 긍정적인 모델로, 우리는 학교에서의 기도 문제에 관한 논쟁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던 사람들 사이에서 이루어진 최근의 합의를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후에 이어졌던 몇몇 선언들로 인하여 이 합의의 유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그것은 여전히 검토해볼 만하다. 오랜 논의 끝에, 17개의 종교, 시민, 교육 단체들은, 많은 조직들이 그동안 행해왔던 “개인적인 공격, 욕하기, 조소, 그 밖의 비슷한 술책들”을 하지 않기로 약속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