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5748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16-10-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_김정훈 박사(백석대학교 신약학 교수) / 5
추천사 2 _최갑종 박사(백석대학교 총장, 신약학 교수) / 7
추천사 3 _이한수 박사(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신약학 교수) / 9
추천사 4 _이종도 박사(아프리카 케냐 Bridgeworld College 학장) / 11
저자 서문 / 13
약어표 / 19
서론 / 24
제1부 삶의 정황(Sitz im Leben) / 55
제1장 삶의 정황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기독론 / 56
제2부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 / 87
제2장 승귀 기독론의 문헌적 배경 / 88
제3장 하나님 보좌 우편으로 승귀하신 왕 예수 그리스도(히 1:1-14) / 115
제4장 성육신과 고난을 통하여 얻은 승귀의 영광과 존귀(히 2:5-9) / 168
제3부 대제사장이신 예수 그리스도: 자격, 임명, 직분 / 190
제5장 멜기세덱 전승 / 191
제6장 하늘 성소의 대제사장의 자격과 임명(히 4:14-5:10) / 208
제7장 하늘 성소의 대제사장의 직분(히 6:19-7:28) / 244
제4부 대제사장이신 예수 그리스도: 희생제사, 새 언약의 성취, 승귀 / 290
제8장 하늘 성소의 희생제사: 그 결과로서의 새 언약의 성취(히 8:1-13) / 291
제9장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제사: 구원을 위한 효력의 완전성(히 9:1-28) / 330
제10장 순종의 희생제사: 그 결과로서 승귀하신 왕 예수 그리스도(히 10:1-18) / 382
제5부 실천적 권면 / 432
제11장 고난 후에 승귀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본받는 믿음(히 12:1-3) / 433
결론 / 458
부록: 신약성경에 나타난 시편 110:1의 인용문들 / 475
참고문헌 / 545
저자소개
책속에서
수신자들이 혹독하게 겪은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박해와 더불어 수신자들이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고립되었던 상황은 배교를 더욱 촉진하는 원인이 된다. 당시의 로마에서 ‘회개로부터 신앙으로의 움직임(히 6:1)’은 낮은 사회적 계급으로 새로운 방향을 정하고 전환되는 일이었다. 로마사회는 제의적인 상호작용에 집중되어 있었고 그것은 삶의 모든 측면을 가득 채우고 있었다.58 히브리서 8:1-10:18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대제사장 사역은 구약의 대제사장과 대조를 이루면서 논증되지만, 수신자의 삶의 정황으로부터 살펴보면 히브리서가 기록된 당대의 로마의 주피터 제사장들과도 차별성을 가지고59 대조적으로 논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중재의 메타포’는 히브리서에서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신 그리스도의 대제사장적 중재사역으로 나타난다(히 4:14-16; 7:25; 8:1). 대제사장으로서의 사역을 감당하신 그리스도는 히브리서 8:6에서는 “더 좋은 언약의 중보자”로, 9:15과 12:24에서는 “새 언약의 중보자”로 언급된다. 구약성경의 속죄일의 제의에서 제한적으로 ‘은혜의 보좌’의 서광을 비추어 주었고 대제사장이 대표하는 ‘중재의 메타포’가 적용되었던 것이 히브리서에서는 그리스도의 대제사장 사역의 완성과 승귀로 말미암아 영원한 “은혜의 보좌(히 4:16)”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여러 학자들이 ‘승귀’를 ‘그리스도 사건’에 포함된 여러 단계 중 마지막 단계로 파악하고 있고 ‘그리스도 사건’은 ‘시대의 전환점’을 가져온 결정적 사건이다. 히브리서 1장에서 죄를 정결하게 하는 행동(히 1:3)과 하나님의 보좌 우편에 앉는 것(히 1:3)이 연결되어 서술되는 것은 히브리서 저자의 이러한 사상을 잘 표현해 준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승귀’는 시대의 전환점을 가져온 ‘그리스도 사건’의 마지막 완성 단계가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