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6790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7-07-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저자 서문
9판 서문
한국 독자들을 위한 서문
역자서문
제1장 들어가는 말 12
제2장 토라 / 오경 18
1. 창세기 20
2. 출애굽기 24
3. 레위기 29
4. 민수기 30
5. 신명기 32
제3장 전기 예언서 / 신명기계 역사서 35
1. 여호수아 37
2. 사사기 39
3. 룻기 42
4. 사무엘서 42
5. 열왕기 47
제4장 역대기계 문헌 53
1. 역대기 54
2. 에스라와 느헤미야 55
3. 에스더 57
제5장 크투빔 / 성문서 60
1. 욥기 62
2. 시편
3. 잠언 68
4. 전도서 / 코헬렛 69
5. 아가 70
제6장 느비임 / 예언서 72
1. 이사야(서) 74
2. 예레미야 81
3. 애가 85
4. 에스겔 86
5. 다니엘 89
6. 열두 소예언서 91
1) 호세아 92
2) 요엘 94
3) 아모스 94
4) 오바댜 96
5) 요나 97
6) 미가 97
7) 나훔 98
8) 하박국 99
9) 스바냐 99
10) 학개 100
11) 스가랴 101
12) 말라기 102
제7장 구약 외경 104
1. 토빗기 107
2. 유딧기 108
3. 에스더서의 추가 본문 109
4. 마카비 1, 2서 110
5. 지혜서 / 솔로몬의 지혜서 113
6. 예수 시락서 / 집회서 114
7. 바룩서 115
8. 예레미야의 편지 116
9. 다니엘서 추가 본문들 117
10. 므낫세의 기도 118
제8장 구약성경의 주제들 119
1. 이스라엘과 주변 국가들 121
2. 구약성경의 형성과 성장 123
3. 오경의 형성 126
4. 창조 128
5. 언약 131
6. 십계명(Dekalog) 132
7. 이스라엘의 출애굽과 “땅 차지” 134
8. 희생제사와 절기들 137
9. 사사시대와 왕정의 시작 140
10.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 시대 142
11. 예루살렘 성전 145
12. 요시야의 종교개혁, 신명기, 그리고 유일신 경배사상 149
13. 바벨론 포로기 151
14. 포로기 이후 이스라엘 역사 154
15. 시편의 장르 157
16. 지혜 159
17. 신정론(神正論) 161
18. 예언자의 제의비판과 사회비판 162
19. 구약성경의 메시아 본문 164
20. 묵시문학 166
21. 구약성경의 인간관 168
22. 구약성경의 여성 171
23. 구약성경의 천사 174
24. 쿰란과 구약성경 177
25. 하나님의 이름 179
26. 전망: 성경신학 182
27. 신학적 문제로서 성경 번역 184
역자 부록. 구약 성경 한글 번역 188
제9장 연대표와 용어 해설 194
1. 이스라엘 역사 연대표와 문헌사 개요 195
2. 용어 해설 197
제10장 책별 개관 209
책속에서
본 성경개관에서는 성경의 독서를 위한 도움과 길잡이 구실을 하려 한다. 성경을 읽을 때 이해를 수월하게 해 줄 수 있는 맥락에 초점을 맞추려 한다는 말이다. 그리고 구약성경 개별 책들의 신학적·역사적 입문을 제공하여 개연적인 형성의 배경을 조명하려 한다. 이를 위해서 “성경개관” 과목에서 예상되는 수준의 내용들이 소개된다. 곧 성경 개별 책들의 짜임새를 구분하고 내용의 흐름을 소개하며, 중요한 개별 본문은 좀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덧붙여서 외경의 문헌들도 소개할 것인데, 이들 없이는 구약성경에서 신약성경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종교개혁 시대부터 개신교회에서는 헬라어와 라틴어로는 전승되었지만, 히브리어 원문이 없는 책들을 외경(apokryph, 숨겨진)으로 일컬었다. 가톨릭교회와는 달리 이 책들은 개신교회의 정경에 들지 못했다. 마르틴 루터는 이 책들을 “성경과 동등하게 여길 수는 없지만, 읽기에 유용하고 유익한 책”이라고 일컬었으며, 구약성경과 신약성경 사이에 독자적인 부분으로 분류하였다. 이 때문에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이들은 루터 역본의 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오늘날에는 이 외경을 포함하는 판본과 그렇지 않은 판본이 공존한다.
인신제사는 사람들의 맏이를 희생제사로 드리는 것으로 구약성경에서 더러 언급되기는 하지만(왕하 3:27), 종종 몰록 신과 연관되어 나온다. 페니키아 지역에서는 그러한 인신제사가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스라엘에서는 입증되지 않는다. 구약성경에서 벌써 대체 행위의 징후가 보인다. (창 22장, 또는 출 3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