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8619
· 쪽수 : 433쪽
· 출판일 : 2018-09-30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감사의 글
역자 서문
제1부 영의 외침
제1장 인생이란 무엇이며, 나는 왜 사는가?
제2장 인간의 영과 하나님의 영과의 상관관계
제3장 인간 발달에 대한 재고: 헬렌의 사례
제2부 거부의 승리
제4장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유아기: 자아의 출현
제5장 신학적 관점에서 본 유아기: 무와 대면한 영
제3부 영의 투쟁
제6장 걸음마기: 순응 그리고 인간 자유의 근원
제7장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이동: 성, 죽음, 그리고 예배의 기원
제8장 학령기 아동: 일 그리고 성취의 모호성
제4부 영의 해방
제9장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청소년기: 청소년 정체성의 다섯 가지 축
제10장 신학적 관점에서 본 청소년기: 하나님 앞에 나아가기
제11장 성인전기: 사랑에 몰두하여 정체성을 위협함
제12장 중년기: 자아의 전환과 영혼의 변모
제13장 65세 이상: 꿈을 꾸고 하나님과 대화함
결론
색인
책속에서
인간 발달에서 성공적인 적응은 자아가 복잡한 환경에 대해 점차 지능적으로 되어감에 따라 환경과 자아 위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존의 자아 기능 (이 경우에는 지능)의 증대되는 능력에 수준이나 단계들이 있음이 분명하다. 즉 지능의 적응적 수준들은 생애 최초 16-17년 동안 광범위한 복잡성을 효율적으로 객관화하고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증가된다.
사회체계에서 청소년들이 자신들을 위한 준비된 공간이 없다는 사실을 인식할 때, 이것은 점점 더 어려운 문제가 된다. 결과적으로 많은 극단적 행동들이 나타나게 되고 대부분의 청소년들에게 그것이 표준적인 규범이 된다. 청소년들은 겉으로 보기에는 공간과 관련되지 않는 것 같은 시끄러운 소음, 특이한 색의 머리 염색, 피어싱, 과시 혹은 폭식, 몸에 맞지 않게 너무 크거나 작은 옷을 입는 것 등의 자기들만의 공간을 만든다.
침체는 부정(denial)과 직업적 강박현상의 심화를 통해 일어난다. 발달론적으로 일의 축적이 효과적으로 해결되지 않은 것이다. 이것은 보통 우울, 강박, 강화된 이분적 사고, 일과 사랑에 대해 편집증 같은 증세를 동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