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24207
· 쪽수 : 824쪽
· 출판일 : 2022-05-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스캇 맥나이트 박사(Northern Seminary 신약학 교수, 『예수 왕의 복음』의 저자)
테렌스 E. 프레타임 박사(Luther Seminary 은퇴 교수)
윌리암 H. 반즈 박사(University of Minnesota 교수)
월터 브루그만 박사(Columbia eological Seminary 교수)
마일즈 베른츠 박사(Hardin-Simonns University 교수)
데이비드 피취 박사(Nothern Seminary 교수, Faithful Presense 저자)
펄 로즈 에디 박사(Bethel University 교수)
마크 타이센 네이션 박사(Bonhoeffer the Assassin? 공동 저자)
마이클 J. 고만 박사 (Saint Mary’s Seminary and University 교수)
약어표 12
저자서문 23
역자서문 29
서론: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라는 ‘마법의 눈’ 38
제1부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의 중심성 57
제1장 야곱의 믿음: ‘이상하고’도 ‘생경한’ 하나님 묘사와 씨름하기 58
제2장 하나님의 참된 얼굴: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하나님 계시의 절대성 98
제3장 구약에서 예수를 찾기: 초기 교회의 그리스도-중심적 해석학 171
제4장 십자가 형태의 중심 1: 하나님의 지고한 계시로서의 십자가 230
제5장 십자가 형태의 중심 2: 복음의 핵심적인 주제인 십자가 270
제6장 십자가의 중심성이라는 요지는 변호될 수 있는가? 제기된 문제들의 대답 339
제2부 신적 폭력의 문제 399
제7장 성경의 어두운 면: 성경의 ‘공포의 본문들’에 대한 면밀한 관찰 400
제8장 여호와의 폭력과 씨름하기 1: 일축 해결책 467
제9장 여호와의 폭력과 씨름하기 2: 합성 해결책 523
제3부 십자가-형태의 해석학 569
제10장 하나님께 합당한 의미: 재해석 해결책 570
제11장 십자가 렌즈를 통해서: 폭력적인 하나님 묘사 속에서 십자가에 죽으신 그리스도를 발견하기 626
제12장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해석하기: 십자가 형태의 해석학과 신학적 성경 해석 688
부록 I 잘못 주창되는 복음서의 반-유대적인 태도 737
부록 II 예수와 폭력 749
부록 III 바울 서신에서 폭력 772
부록 IV 요한계시록의 폭력 782
책속에서
왜냐하면, 보다 뒤에서 내가 주장하겠지만(제1권 제4-5장), 신약 메시지의 핵심에 따르면 우리는 원수를 죽임으로써가 아니라 원수들에 대한 사랑 때문에 스스로 죽음으로써 악을 이기시는 하나님을 섬기기 때문이다. 그리고 바로 이 하나님은 자신의 백성이 똑같이 행하기를 원하신다. 더욱이 똑같은 신약성경에 따르면, 이런 계시는 ‘싸우는 신’에 대한 구약 묘사에 의해서 억압되지 말아야 할 뿐만 아니라 절대 수정되지 말았어야 한다고 나는 주장할 것이다(제1권 제2-3장). 그러나 폭력이 신학적으로 변호될 수 있는가 없는가를 떠나서, 불행한 것은 크리스천들이 성경에 호소해서 폭력적인 전쟁을 정당화시키는 행위를 절대 어렵지 않게 행했다는 점이다.
또한 내가 우리가 이상에서 다뤄 왔던 것들에서 분명하다고 믿는 것은 “구약은 … 모두 예수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골즈워디가 지적하듯이 “어떤 식으로든지 그리스도를 전조하지 않는 그 어떤 차원의 구약 메시지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골즈워디가 또 지적하듯이 이것은, 우리가 구약을 읽을 때 반드시 물어야 하는 핵심적인 질문은 “이 성경 구절이 어떻게 … 그리스도를 증거하고 있는가”라는 점을 의미한다. 본 저서를 통해서 씨름하고자 하는 도전은 바로 이 질문 즉 폭력을 명하시고 폭력에 개입하시되 때때로 소름 끼친다고 밖에는 묘사될 수 없는 정도의 폭력적인 하나님 묘사에 관한 질문이다.
이어지는 세 장에서 걸쳐서 나는 이 질문에 대해서 “예”라는 답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또한 나는 수많은 다양한 방식으로 신약은 십자가 상의 예수의 죽음을 예수에 관한 모든 것의 총체적 요약이요 절정이라는 점을 주장할 것이다. 이런 연유에서 예수의 인성과 사역을 하나로 묶는 공통분모는 자기-희생적이며 타자적인 하나님의 아가페-사랑이며, 이 사랑은 예수께서 원수들에 대한 사랑에 기인한 그리고 원수들 손에 의해 이루어진 십자가 상에서 자신의 목숨을 자원하여 내어 주셨을 때 지고한 형태로 드러났다고 나는 주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