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74356026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2-09-13
책 소개
목차
제 1 부 성경 해석의 방법 _11
Ⅰ 성경 해석의 서론
1. 해석과 성경 해석의 유형들 _13
2. 성경 해석의 세 분야 _25
3. 성경 본문 해석의 성격 _31
Ⅱ 본문 해석의 준비 단계(Interpretive Preparations)
1. 서론 _40
2. 문단 나누기 _41
3. 책의 문단 나누기 _44
4. 책의 개요 만들기 _47
5. 본문 구조에 대한 인식(언어적 접근) _50
6. 본문 구성에 대한 인식(문학적 접근) _59
Ⅲ 성경 본문 해석의 접근 방식들의 개관
1. 서론 _70
2. 언어적 접근 방식 _73
3. 문학적 접근 방식 _76
4. 역사적 접근 방식 _77
5. 신학적 접근 방식 _80
Ⅳ 언어적 접근 방식들
1. 본문 선정 · 본문 확정 · 단어 연구
1) 본문 선정과 확정, 그리고 단어 연구의 정의와 방법 _84
【 부록 1 】 본문 비평에 대한 간략한 개관 _90
2) 본문 선정 · 본문 확정(사역) · 단어 연구의 예증 _110
2. 본문의 구조 파악
1) 본문의 구조 파악 정의와 방법 _164
2) 구조 파악의 예증 _169
Ⅴ 문학적 접근 방식들
1. 본문의 구성 파악
1) 본문의 구성 파악의 정의와 방법 _211
2) 구성 파악의 예증 _216
2. 문학적 문맥 연구(Literary Context)
1) 정의 _254
2) 예증들 _256
3. 책-내(冊內) 본문 연구(Intra-textual Studies)
1) 정의 _274
2) 예증들 _276
Ⅵ 역사적 접근 방식
1. 역사적 문맥 연구(Historical-Context)의 정의 _292
2. 역사적 문맥 연구의 예증 _293
Ⅶ 신학적 접근 방식(책-간 본문 연구)
1. 신학적 접근 방식(책-간 본문 연구)의 정의 _307
2. 책-간 본문 연구의 예증 _309
Ⅷ 본문의 문학적-신학적 주제문 쓰기
1. 서론 _352
2. 주제문 쓰기의 예증 _353
제 2 부 성경 해석의 실제 _361
Ⅰ 마태복음 6:5-15 _363
Ⅱ 마태복음 16:13-20 _384
Ⅲ 누가복음 10:25-37 _425
Ⅳ 고린도전서 3:10-15 _433
V 에베소서 4:1-16 _457
【 부록 2 】 설교를 위한 본문 해석의 실제적 단계 _468
저자소개
책속에서
모든 사람들은 해석하며 살아간다. 그것이 사건, 사람, 문헌이건 간에 모든 것들을 나름대로 이해하고 산다는 뜻이다. 사람 간의 대화가 가능한 것도 서로 간의 이해가 있고, 또한 서로에 대해 나름대로 해석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우리가 듣거나 읽는 것들의 의미를 파악하는 방식은 특정한 해석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그냥 무의식적으로 이해하거나 알아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통상적인 이해는 대부분 직관에 의해 이루어지는 무의식적인 것일 뿐, 특정한 해석의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런 점에서 통상적인 이해는 우리가 학문의 장에서 말하는 의식적인 해석 작업과 구별된다.
학문의 장에서 말하는 해석이란 대상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의식적인 차원으로 변환하고 특정한 해석의 과정을 통해서 대상의 의미를 파악한 뒤에, 이해한 바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모든 과정들을 총칭한다. 이런 점에서 성경 본문을 해석한다는 것은, 직관이 아니라 의식적인 차원에서 특정한 해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본문의 의미를 파악하고 의미를 논리적으로 설명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 책에서는 성경을 해석하는 다양한 관점과 전통을 소개하며, 그 중에서 현장 목회자와 신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해석학적 기본 소양과 방법론을 책을 읽는 것만으로도 순서에 따라 훈련할 수 있도록 구성해 놓았다. 성경을 바르게 해석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좋은 안내서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
_책 중에서
모든 사람들은 해석하며 살아간다. 그것이 사건, 사람, 문헌이건 간에 모든 것들을 나름대로 이해하고 산다는 뜻이다. 사람 간의 대화가 가능한 것도 서로 간의 이해가 있고, 또한 서로에 대해 나름대로 해석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우리가 듣거나 읽는 것들의 의미를 파악하는 방식은 특정한 해석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그냥 무의식적으로 이해하거나 알아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통상적인 이해는 대부분 직관에 의해 이루어지는 무의식적인 것일 뿐, 특정한 해석의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런 점에서 통상적인 이해는 우리가 학문의 장에서 말하는 의식적인 해석 작업과 구별된다.
학문의 장에서 말하는 해석이란 대상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의식적인 차원으로 변환하고 특정한 해석의 과정을 통해서 대상의 의미를 파악한 뒤에, 이해한 바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모든 과정들을 총칭한다. 이런 점에서 성경 본문을 해석한다는 것은, 직관이 아니라 의식적인 차원에서 특정한 해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본문의 의미를 파악하고 의미를 논리적으로 설명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_ 1장/ 성경 해석의 서론
성경의 ‘특정한 단락’인 본문(the text)을 해석하기에 앞서 몇 가지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다. 첫째로 본문이 속한 책에 대한 전체적인 문단 나누기(making paragraphs)와 개요 만들기(making an outline)가 필요하다. 문단 나누기는 본문 해석의 기본 단위가 반드시 단락이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서 먼저 책 전체를 독립된 단락들로 나누는 일이다. 그리고 개요 만들기는 해석자가 문단 나누기를 통해 만들어진 개별적인 단락들이 어떻게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전체(a book as a whole)를 구성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작업이다.
둘째로 해석자가 본문을 바르게 해석하기 위해서 본문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어떠한 구성 형태를 지니고 있는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필요하다. 본문의 구조란 건축에 비유하자면 언어적 차원으로서 건물의 골격(structure)에 관한 것이며 본문의 구성이란 문학적 차원으로서 구조인 골격 안에서 구체적인 구성 요소들이 어떠한 형태로 연결되고 있는가, 즉 건물의 구성 형태(design)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_ 2장/ 본문 해석의 준비 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