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27048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3-12-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5
역자 서문 10
주요 주석 목록 16
약어표 19
◆ 제1부 에스겔
제1장 에스겔서 개론····································································21
제2장 이 책의 구조····································································26
1. 에스겔서의 문학적 특징과 그 외 다른 특징들 28
제3장 에스겔이라는 인물····························································36
1. 에스겔의 성격 43
2. 에스겔의 심리 45
제4장 에스겔서 비평 연구사(1900-1950)··································47
1. 에스겔서에 관한 극단적인 비평적 연구(1900-1960년경) 50
제5장 에스겔서 비평 연구사(1950년대부터 현재까지)····················64
제6장 날짜 정보들·······································································91
제7장 에스겔의 신학·································································106
1. 역사적 문맥에서 에스겔의 신학 107
2. 역사, 심판과 희망 113
3. 남은 자, 심판과 희망 118
4. ‘개인의 책임’ 121
5. 죄와 보상: 심판과 희망 124
제8장 에스겔서와 다른 예언 전승들········································ 133
1. 예레미야에 의지하는 현상 138
2. 호세아에 의지하는 현상 140
3. 에스겔과 후대 예언 141
제9장 마지막 환상(에스겔 40-48장)········································· 143
1. 에스겔 40-48장 내용 개요 144
제10장 에스겔서의 메시아 사상················································ 151
결론 156
제11장 에스겔서의 나씨(nāśiʾ)··················································· 157
제12장 곡과 마곡: 에스겔 38-39장······································· 163
◆ 제2부 호세아
서문 178
약어표 180
제1장 호세아와 그의 시대························································· 182
제2장 호세아의 가르침과 그 발전과정 개요···························· 193
1. 호세아의 동시대인들 비판 195
2. 호세아서에 나타난 심판과 희망 201
3. 주제의 전개 206
제3장 호세아 시대의 종교적 상황············································ 217
1. 고고학적 증거 221
2. 대중 종교와 왕궁의 종교 230
제4장 호세아와 이스라엘 사회·················································237
1. 제도로 기능하는 예언 241
2. 호세아와 왕정 체제 250
제5장 호세아와 그의 종교적 배경(Geistige Heimat)···············257
1. 호세아와 제의적 전통 261
2. 시편 80편과 81편 비교 265
제6장 호세아의 결혼································································ 274
1. 루돌프의 편집-비평적 접근 275
2. 루돌프의 이론에 대한 비판 285
3. 새로운 가능성? 287
제7장 문학비평과 호세아서······················································ 296
1. 자료비평 297
2. 양식비평 301
3. 전승비평 306
4. 편집비평 308
5. 호세아서의 시 316
6. 호세아는 왜 시문으로 창작했는가? 322
책속에서
에스겔의 묘사가 특별한 이유는 다른 예언자들이 간단하고 짧게, 또는 기껏해야 인상주의적 방법으로 묘사하는 것을 훨씬 더 길게, 더 장황하게, 그리고 자세한 세목까지 묘사하려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에스겔의 환상 중에서 가장 길고 가장 자세한 묘사는 40-48장에 나오는 재건된 성전의 환상이다.
그러나 에스겔서에 포함된 자료들 중 일부는 초기 예언의 형태와 전혀 관계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당히 다른 전통, 즉 종교법 전통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많은 문단 속에서 침멀리는 ‘제사장 자료의 결의론 양식’이 관련되었다고 본다. 에스겔은 아마도 초기 예언으로부터(매우 초기의 전승을 채용) 전통적인 양식과 표현과 주제를 가져와서, 이 예언 전통에 제사장 자료의 양식과 주제와 표현방법을 가미하는 작업방식을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지점까지 양 떼와 목자라는 그림은 꽤 일관적으로 발전되고 있지만, 17-19절에서 새로운 변화가 생긴다. 갑자기 목자들이 시야에서 사라지고 양 떼의 지도자들, 즉 지도적 역할을 하는 양과 염소들이 비판을 받는다. 이것은 앞에 나온 구절들의 문맥과 일치하지 않으며 이스라엘의 양 떼에 관한 그림이 조금 다르게 대안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20-22절은 이런 부패한 지도자들에게 임할 심판을 선포하고 양 떼가 그들로부터 구원을 받게 된다고 약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