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쉬나 번역·주해서 1~6 + 미쉬나 길라잡이 세트 - 전7권

미쉬나 번역·주해서 1~6 + 미쉬나 길라잡이 세트 - 전7권

권성달, 김성언, 윤성덕, 이영길, 전재영, 최영철 (옮긴이), 최중화
한길사
3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2,500원 -5% 0원
10,500원
322,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쉬나 번역·주해서 1~6 + 미쉬나 길라잡이 세트 - 전7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쉬나 번역·주해서 1~6 + 미쉬나 길라잡이 세트 - 전7권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세계의 종교 > 기타 종교
· ISBN : 9788935678785
· 쪽수 : 5248쪽
· 출판일 : 2024-07-22

책 소개

『미쉬나』는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던 랍비들의 가르침을 모은 책이다. 이 가르침은 『히브리 성서』 앞부분에 나오는 다섯 권의 책, 즉 유대인들이 ‘토라’라고 부르는 오경(五經)의 계명을 명확히 밝히고 보완하고 주제에 따라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목차

미쉬나 ❶ 제라임(농경)

유대 전통문헌 『미쉬나』 번역・주해서를 펴내며|최창모
랍비 유대교 전통의 출발점이 된 고전 『미쉬나』|윤성덕

하나님의 복 주심과 한 해의 농사짓기|권성달

1 브라홋(기도・축복)
2 페아(모퉁이)
3 드마이(의심 소산물)
4 킬아임(혼합 금지)
5 슈비잇(제7년 안식년)
6 트루못(봉헌물)
7 마아쎄롯(첫째 십일조)
8 마아쎄르 쉐니(둘째 십일조)
9 할라(가루반죽 제물)
10 오를라(식용금지 열매)
11 빅쿠림(첫 열매)

옮긴이의 말|이스라엘에서의 고난을 지나 『미쉬나』의 산을 넘다

미쉬나 ❷ 모에드(절기)

여러 절기법과 관련된 세부 규칙들|김성언

1 샤밧(안식일)
2 에루빈(혼합)
3 페싸힘(유월절)
4 쉐칼림(쉐켈)
5 요마(그날)
6 쑤카(초막)
7 베짜(계란)
8 로쉬 하샤나(신년)
9 타아닛(금식)
10 메길라(두루마리)
11 모에드 카탄(소절기)
12 하기가(축제)

옮긴이의 말|랍비들의 생각과 주장을 이해하기까지

미쉬나 ❸ 나쉼(여성들)

억압과 보호의 시각이 공존하는 여성 관련법|이영길

1 예바못(역연혼법)
2 케투봇(혼인계약서)
3 네다림(서원)
4 나지르(나실인)
5 쏘타(간음)
6 기틴(이혼증서)
7 키두쉰(약혼)

옮긴이의 말|늦깎이 공부의 괴로움과 즐거움을 안겨준 『미쉬나』

미쉬나 ❹ 네지킨(손해)

유대 공동체의 정의를 실현하는 초석|최영철

1 바바 캄마(첫째 문)
2 바바 메찌아(중간 문)
3 바바 바트라(마지막 문)
4 산헤드린(공의회)
5 마콧(태형)
6 쉬부옷(맹세)
7 에두욧(증언)
8 아봇(선조들)
9 아보다 자라(이방 제의)
10 호라욧(판결)

옮긴이의 말|이 일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미쉬나 ❺ 코다쉼(거룩한 것들)

성전과 제의 중심의 이상적 세계관|전재영

1 제바힘(제사들)
2 메나홋(소제들)
3 훌린(속된 것들)
4 브코롯(초태생들)
5 아라킨(가치・몸값)
6 트무라(제물의 교환)
7 크리톳(끊어짐)
8 메일라(배임・배반)
9 타미드(상번제)
10 미돗(규격)
11 키님(새들)

옮긴이의 말|유대학 불모지에서 첫발을 떼다

미쉬나 ❻ 토호롯(정결한 것들)

‘정결함’과 ‘부정함’으로 세상 이해하기|윤성덕

1 켈림(그릇・도구)
2 오홀롯(덮기 부정)
3 네가임(피부병)
4 파라(붉은 암소)
5 토호롯(정결한 음식)
6 미크바옷(정결례장)
7 닛다(월경)
8 마크쉬린(음료수)
9 자빔(유출병자)
10 테불 욤(낮에 씻은 사람)
11 야다임(손)
12 우크찜(열매・줄기)

옮긴이의 말|그날 나는 새로운 언어를 만났다

미쉬나 길라잡이

미쉬나의 세계로 독자들을 초대하며
미쉬나는 탈무드의 뿌리다|최중화

1 미쉬나, 이것만은 꼭 알자
2 미쉬나는 어떤 책인가
3 미쉬나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4 미쉬나 판본들은 어떤 것이 있는가
5 랍비 유대교의 시작을 알리다
6 랍비들의 시대와 역사를 재구성하다
7 미쉬나의 문학장르는 무엇인가
8 미쉬나 히브리어는 어떤 언어인가
9 미쉬나의 해석은 계속되고 있다
10 미쉬나와 성경은 어떤 관계인가

부록
미쉬나에 나오는 주요 화폐와 도량형 환산표
성경과 미쉬나 찾아보기
미쉬나 주제・용어 찾아보기

저자소개

최영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이스라엘 히브리대학교에서 정치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장신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를 지냈고, 한국중동학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중동학 연구와 발전에 힘썼다. 지금은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초빙교수로 재직하면서 중동의 사회와 문화 관련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공)저서로 『유대교와 이슬람, 금기에서 법으로』 『현대 중동국가의 정치체계 형성과 국제관계』 등이 있고, 역서로는 『핵심 탈무드』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 「탈무드 본문 주해: 바벨론 탈무드 바바 바트라 7b-8b」 「중동 무슬림 국가의 형법과 종교 자유권」 「하마스의 제도권 진입 과정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권성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한 뒤 이스라엘 예루살렘대학교에서 성서언어 연구로 석사과정을 마치고, 히브리대학교에서 성서학과 히브리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위 과정에서 수메르어, 아카드어, 우가릿어, 시리아어, 아람어, 아랍어, 칠십인역 헬라어, 아람어 타르굼 등의 과목을 이수하며 성서 시대의 고대 언어들을 폭넓게 공부했다. 현재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학과 구약학 교수이며 성경과이스라엘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교양과목으로 히브리어도 가르친다. 주요 저서로 『생생한 성경 히브리어 울판』 『성경 아람어』 『바이블 투어』를 비롯해 이스라엘의 유발 탈(Youval Tal)출판사에서 펴낸 박사논문 HYH(=to be) Sentences in Biblical Hebrew: Syntactic, Pragmatic and Semantic Studies by means of Statistical Analysis(성서 히브리어의 HYH[=to be] 문장: 통계적 방법을 통한 통사론, 화용론, 의미론적 연구)가 있다. 역서로는 『성서 속의 식물들』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출애굽기 3:14의 번역에 대한 언어학적 고찰: ‘에흐예’(ahyh)를 중심으로」 「성서 아람어의 어순에 관한 연구」 「‘to be’에 상응하는 우리말과 여러 언어에서의 비교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윤성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기독교문화연구소 연구교수 히브류 유니온 컬리지, 히브리 성서와 고대근동학(박사) 히브리 대학교, 유대민족사학(석사) 연세대학교, 신학과(학사) 연세대학교 신과대학과와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히브리유니언칼리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구약성서, 이스라엘 역사, 랍비 유대교 등의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고대근동학회 학회지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주요 (공)저서로 『예레미야 애가』 『법으로 보는 이슬람과 중동』 『평화교육』이 있다. 고대 슈메르의 문학작품을 소개하는 『슈메르 사람들의 이야기』가 출간될 예정이며, 쐐기문자로 기록된 문학작품에 관한 책을 집필 중이다. (공)역서로는 『고대 근동과 이스라엘 정치』 『고대근동문학선집』 『구약 성경문학 탐구』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 「유대교 정결법이 상상하는 공간」 「미쉬나 본문에 나타난 사마리아인에 대한 태도」 「고대 서아시아 지혜문학의 분류법」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교 유대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명지대학교, 한남대학교, 한신대학교에서 성서와 기독교 관련 과목을 가르쳤다. 지금은 장로회신학대학교 특임교수와 연세대학교 객원교수로 있으며, 구약성서와 이스라엘 관련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해외에서 출간될 Polemical and Intertextual Reading of the Scroll of Esther(논쟁과 상호텍스트성으로 읽는 에스더)를 집필 중이며, 역서로 『스탠리 마틴 의료선교사 편지 1916-1941』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 「속임수 전략으로 읽는 솔로몬의 재판」 「창세기 속임수 내러티브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에스더와 다윗: 상호본문성 접근」 등이 있다.
펼치기
이영길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히브리학과를 졸업하고 이스라엘 외무성 장학생, 금호문화재단 장학생으로 이스라엘에 유학해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 로스버그 스쿨 유대문명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텔아비브대학교 성서학 박사후보생 시기에 출산과 육아로 공부를 중단했으나, 이후 학업을 재개하여 2023년 영국 셰필드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셰필드대학교 ‘학제간 성서연구센터’(Sheffield Centre for Interdisciplinary Biblical Studies: SCIBS)의 객원 연구원으로 있다. 호산나미디어 객원기자 및 번역가로 활동했으며, 대산문화재단 한국문학번역 연구지원 사업 일환으로 한국단편소설집 『도둑맞은 가난』(Hakibbutz Hameuchad, 2004)을 루스 아라지(Dr. Ruth Arazi)와 히브리어로 공동번역했다. 저서로는 『생식에서 조작까지: 히브리 성서의 출생 서사 속 여성 인물 묘사』(From Fertility to Manipulation, Bloomsbury, 출판 예정)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 「유대 종교법 미쉬나에 나타난 여성의 권익: 혼인법과 이혼법을 중심으로」 「오염과 정화: 삼손 서사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등이 있다.
펼치기
전재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한 뒤 이스라엘 히브리대학교 로스버그 스쿨 성서-고대근동학과에서 석사학위를, 텔아비브대학교 성서-유대문명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위스 로잔대학교의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다수의 성서학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현재 콜레주 드 프랑스의 초빙연구원으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독일의 학술출판사 드 그루이터(De Gruyter)가 새롭게 펴내는 ‘성서학에서의 세계적 관점’(Global Perspectives in Biblical Studies) 시리즈의 공동 편집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홍해에서 가데스까지』(From the Reed Sea to Kadesh, Mohr Siebeck, 2022), 『모세의 소명과 출애굽 이야기』(The Call of Moses and the Exodus Story, Mohr Siebeck, 2013)이 있고, 편저로는 『역대기와 제사장문학』(Chronicles and the Priestly Literature of the Hebrew Bible, De Gruyter, 2021), 『오경을 형성한 사회집단들』(The Social Groups behind the Pentateuch, SBL Press, 2021)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페르시아 시대의 영토적 주장으로서의 정탐꾼 이야기(민수기 13장)」(The Scout Narrative[Numbers 13] as a Territorial Claim in the Persian Period, JBL 139, 2020) 등 『구약성서』의 사회역사적 연구에 관한 수십 편의 논문을 유수의 국제저널에 발표했다.
펼치기
최중화 ()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히브리학과에서 유대학을 공부하고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에서 유대역사로 석사학위를, 영국 옥스포드대학교에서 유대역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부산장신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히브리어, 이스라엘 역사, 구약성경, 성경 난제, 성경해석학 등을 가르친다. 저서로 네덜란드 레이든의 국제학술출판사 브릴(Brill)에서 출판된 Jewish Leadership in Roman Palestine from 70 C.E. to 135 C.E.(2013)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 「이사야 10:34과 유대 대반란의 메시아 사상」 「역사로 읽는 랍비문학, 어떻게 읽을 것인가?: m. Yad. 3:5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