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동양문화읽기
· ISBN : 9788934914488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04-04-13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한국어판 저자 서문
서론
1 동양의 도와 서양의 삼단논법
고대 그리스와 중국의 철학, 과학, 그리고 사회 구조
2 동양의 더불어 사는 삶, 서양의 홀로 사는 삶
현대 동양인과 서양인의 자기 개념
3 전체를보는 동양과 부분을 보는 서양
세상을 지각하는 방법의 차이
4 동양의 상황론과 서양의 본성론
동양과 서양의 인식론적 사고
5 동사를 통해 세상을 보는 동양과 명사를 통해 세상을 보는 서양
동양의 관계와 서양의 규칙
6 논리를 중시하는서양과 경험을 중시하는 동양
서양의 논리와 동양의 중용
7 동양과 서양의 사고 방식의 차이, 그 기원은?
경제구조와 사회적 행위
8 동양과 서양, 누가 옳은가?
실생활에 주는 교훈
에필로그 - 동양과 서양의 사고 방식, 충돌할 것인가, 통일될 것인가?
역자 후기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1930년대 미국의 초등학교 교과서에는 '딕과 제인'이라는 이야기가 실려 있었다.
딕이 뛰는 것을 보아라. 딕이 노는 것을 보아라. 딕이 뛰면서 노는 것을 보아라.
한 독립된 개체로서의 개인의 행위를 묘사하고 있는 이 문장들은 서양의 개인주의적인 관점을 잘 드러내고 있다. 반면에 똑같이 한 남자아이의 행동을 묘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초등학교 교과서는 사뭇 다른 내용을 담고 있다.
형이 어린 동생을 돌보고 있구나. 형은 어린 동생을 사랑해. 그리고 동생도 형을 사랑한단다.
이 문장들은 독립된 개인의 개별행위가 아닌 개인과 주변 인물 간의 관계를 부각시키고 있다. 어린이들이 처음 접하는 교과서에 이미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동양 문화가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 본문 52쪽에서
그리스의 에피디우루스(Epidaurus)라는 곳에 가면 약 1만 4,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고대 극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