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60536111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1-09-1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혐오는 자신의 피를 빨아먹으며 자란다 | 김용학
혐오의 끝은 어디인가? | 김혜숙
공감, 인류를 위한 새로운 구심점 | 이상묵
공감이 칼이 될 때 | 장대익
인간 혐오회로의 뇌 속을 해부하다 | 정재승
혐오에 저항하는 반 발자국의 전진 | 정혜신, 이명수
*들어가며 | 김희영
I. 우리 안에 숨은 혐오라는 괴물
01 혐오의 기원: 생존과 공감의 파편 | 최인철
02 혐오현상의 이해와 과제 | 홍성수
03 혐오의 온상지가 된 인터넷 | 김민정
04 온라인 혐오 번식의 원리 | 이은주
II. 가슴 아픈 역사가 전해주는 메시지
05 홀로코스트: 혐오와 차별의 종착역 | 최호근
06 이슬람포비아를 통해 본 혐오의 역사 | 이희수
07 차별과 학살에서 치유와 회복으로: 아프리카의 인종주의와 민족 갈등 사례 | 한건수
08 비극의 역사에서 배우는 기억과 성찰의 중요성: 그리스도교 박해, 십자군 전쟁, 페스트, 마녀사냥을 중심으로 | 박승찬
09 독일 반유대주의의 지성사: 인종주의와 반공주의 | 전진성
III. 한 걸음 더 톺아보는 혐오
토론_비뚤어진 공감이 만드는 혐오사회
토크 콘서트 1부_우리 안의 혐오: 중세 유럽 마녀사냥부터 놀이가 된 온라인 혐오까지
토크 콘서트 2부_혐오에 맞서라: 최근 혐오 이슈, 그리고 혐오에 맞서는 용기에 대하여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보통 우리는 ‘혐오’를 인간의 본성의 관점으로 설명하려는 노력을 많이들 합니다. 인간성이 아주 안 좋은 일부의 사람들이 하는 행위 정도로 이해를 하는 거죠. 이런 본성에 근거한 접근도 일정 부분 설명력이 있지만, 저는 우리의 생존이나 행복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고 여겨진 부분들이 잘못 작동이 되어 생긴 파편이 혐오일 수 있다는 주장을 펴려고 합니다. 이런 관점으로 혐오를 접근해보면 혐오에 대해 새롭게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1장 ‘혐오의 기원: 생존과 공감의 파편’에서
그렇다면 특정 집단을 차별하고 배제하는 분위기가 이렇게 만연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가장 큰 배경은 사회 경제적 요인입니다. 1997년에 경제 위기로 한국 사회에는 저성장 시대가 도래해 청년 실업이 늘고 개인의 지위가 취약해집니다. 이렇게 사회 경제적으로 어려울 때 사람들은 허탈감, 시기심, 불만, 분노, 우울감, 불안 등과 같은 상태에 빠지기 쉽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런 불안한 상태에서 특정 집단을 희생양으로 삼아 문제의 책임을 전가하는 경향이 생깁니다. 경제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재난, 전쟁, 감염병 등 공동체가 어려움에 빠졌을 때 혐오가 확산되는 이유입니다.
2장 ‘혐오현상의 이해와 과제’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