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사회학(STS)
· ISBN : 9788934943372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2-12-26
책 소개
목차
추천의 말
서문
감사의 말
1. 과학에서 가치란 무엇인가?
2.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3.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4. 무엇을 달성하고자 하는가?
5. 불확실할 때는 어떻게 하는가?
6. 가치에 대해 어떻게 이야기해야 하는가?
7. 가치에 어떻게 참여할 수 있을까?
8. 결론: 가치의 태피스트리
토론 질문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어떤 학자들은 ‘가치 배제의 이상(value-free ideal)’을 추진해왔다. 이 관점에서는 과학적 추론의 중심적인 측면, 즉 어떤 방법론 또는 표준을 채택할지 결정할 때 가치가 배제되어야 한다고 본다. 예를 들어 20세기의 유명한 사회학자 로버트 머튼은 과학의 중심 규범 중 하나가 ‘사심 없음(disinterestedness)’이라고 제안했다. 이에 따르면 과학자는 개인적·정서적·재정적 고려에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서로 다른 정치적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모두 과학의 정치화를 우려하듯이, 가치가 과학을 훼손할 가능성은 오늘날 중요한 문제다. 기후변화를 부정하는 경향은 대부분 보수적인 견해에서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큰 정부’에 정치적으로 반대하는 사람들은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 문제의 존재에 의문을 제기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정부 주도의 해결책이 필요해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유사하게, 진화론에 대한 반대는 보수적인 종교적 가치에서 나오는 경우가 매우 많다. 그리고 가치가 과학을 오염시킬 가능성은 정치적 우파에 국한되지 않는다. 백신과 유전자 변형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증거를 외면하는 태도는 개인적·사회적·이념적 가치가 서로 다른 여러 집단에서 나오고 있다.
첫째, 과학자들은 가능한 한 데이터·방법·모형·가정을 투명하게 다루어서 그들의 연구가 특정한 가치에 의해 지지되거나 영향을 받는 방식을 다른 사람들이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둘째, 과학자와 정책 입안자는 사회적·윤리적 우선순위를 대표하는 주요 가치를 포함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명확하고 널리 인정된 윤리적 원칙을 이용할 수 있으면, 과학에 영향을 주는 가치의 지침으로 사용해야 한다. 윤리적 원칙이 잘 정착되어 있지 않으면, 과학은 사회적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고 여겨지는 가치의 영향을 최대한 많이 받아야 한다. 셋째, 과학자·시민·정책 입안자들은 과학자를 비롯해 다른 이해관계자들이 적절한 형태로 참여하도록 장려해야 한다. 참여는 과학의 가치에 대한 사려 깊은 검토를 촉진함으로써 투명성과 대표성이라는 다른 두 조건 모두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