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 ISBN : 9788934992882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0-06-01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재판을 내면서
1장 《남명천화상송증도가》는 무엇인가
선가의 수행 지침서, 《영가증도가》
깨달음의 진면목을 설파한 《남명증도가》
현존하는 《남명증도가》 판본
2장 《남명증도가》를 둘러싼 미스터리
최이의 지문 재검토
왜 공인본은 목판본으로 잘못 판명되었나-문화재위원회 회의록을 중심으로
공인본은 삼성본과 동일본이 아니다
3장 공인본 《남명증도가》는 최초의 금속활자본
너덜이
획의 탈락
보사
활자의 움직임
뒤집힌 글자
활자의 높낮이에 의한 농담의 차이
4장 다시 써야 하는 우리나라 인쇄의 역사
불교 경전 신앙과 인쇄술
고려시대 금속활자 인쇄
조선시대 금속활자 인쇄
우리나라의 금속활자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과 연구
부록 1
《영가증도가》와 《남명증도가》의 현존 판본 목록
《남명천화상송증도가》 한글 완역본
영문 초록
일문 초록
찾아보기
부록 2
공인본 《남명천화상송증도가》 영인본
저자소개
책속에서
《증도가》는 영가진각대사의 저술 《영가진각대사증도가》이고, 《남명천화상송증도가》는 《증도가》의 각 구절마다 계송繼頌을 붙인 남명천화상의 저술이다.
공인본은 삼성본과 동일본이 아니고 금속활자본인데, 왜 원로 교수의 연구논문과 문화재위원들은 공인본을 삼성본과 동일한 목판본으로 결론 내린 것일까? 문제의 핵심을 다시 처음부터 살펴본 결과 공인본과 삼성본 권말에 붙은 최이의 지문을 번각본(복각본)의 지문으로 오해한 탓임을 알게 되었다. 1239년 당시 최고 권력자 최이가 쓴 지문은 번각본 간행을 위한 것이 아니라 금속활자 간행을 위한 지문이었다. 이 사실을 밝히는 데는 우리나라 최고의 한문학자 이정섭 선생을 비롯한 여러 학자들의 도움이 컸다. 아마도 최이의 지문에 대한 최초의 검토였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공인본은 삼성본과 동일한 목판본이 아니라는 증거들은 각 장의 좌우 광곽과 글자 등에서 무수하게 확인되고 있는 실정이다.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의 권말에 수록된 최이(?~1249)의 지문은 목판본과 활자본을 구별하는 열쇠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서지적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이 지문은 1931년 경성제국대학(현 서울대학교) 도서관 주최 ‘조선 활자 인쇄 자료전’에 가미오 가즈하루의 소장본인 《남명천화상송증도가》가 전시되면서 처음 소개되었다. 그 후 1954년에 서울대학교와 연희대학교 전시회에 김두종 선생의 소장품이 출품되었는데, 이때 최이의 지문에서 주자(鑄字) 관련 내용이 소개되었다. 김두종 선생은 1960년에 발표한 <고려주자본의 중각본과 남명천화상송증도가>라는 논문에서 최이의 지문을 번각본의 지문으로 판단했다. 이 책은 이미 몇 번에 걸쳐 번각된 심원사 판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