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헤겔
· ISBN : 9788935656684
· 쪽수 : 586쪽
· 출판일 : 2007-07-10
책 소개
목차
간주관성의 범주를 통한 헤겔 체계의 혁신|권대중
한국어판 간행에 부쳐
책머리에
제1판 제1권 서문
1. 예비적 언급
2. 헤겔의 체계이념과 그 역사적 선구자들
2.1. 초월철학자로서의 헤겔, 연구문헌들의 경향
2.2. 헤겔의 초월철학적 선구자들
2.2.1. 칸트 초월철학의 근본사상과 한계
2.2.2. 독일관념론의 기획서인 피히테의 『지식론의 개념에 관하여』와 최고의 메타학문에 대한 이념
2.2.3. 피히테의 주관적 관념론이 지니는 한계와 셸링의 객관적 관념론 구상
2.2.4. 셸링에서 헤겔로
2.3. 헤겔의 체계기획, 그것에 대한 내재적 비판의 가능성
3. 헤겔의 체계구성, 그리고 논리학과 실재철학의 관계
3.1. 『논리학』과 논리적 범주들의 구조
3.1.1. 『논리학』의 의미와 과제
3.1.2. 논리학적 범주
3.2. 실재철학, 그리고 실재철학적 범주들의 구조
3.2.1. 실재철학의 이념
3.2.2. 실재철학과 개별학문들. 우연의 문제
3.2.3. 실재철학적 범주들
3.3 논리학과 실재철학의 상응 문제
3.3.1. 원환적 상응
3.3.2. 직선적 상응
3.3.2.1. 논리학의 출발과 실재철학의 출발
3.3.2.2. 논리학과 실재철학 전체 사이의 직선적 상응관계
3.3.2.3. 논리학의 종결과 실재철학의 종결
3.3.2.4. 간주관성과 논리학: 예비적 성찰
3.4. 헤겔 체계의 구조
3.4.1. 삼분적 체계구조
3.4.2. 사분적 체계구조
3.4.2.1. 체겔에서 보이는 사분적 체계구성
3.4.2.2. 체계의 사분적 구성이 지니는 실질적 장점들, 그리고 헤겔에게서 사분적 구성이 지니는 의미
4. 논리학
4.1 모순과 방법
4.1.1. 모순의 여러 형식
4.1.1.1. 예비적 고찰
4.1.1.2. 헤겔에게서의 모순
4.1.2. 헤겔의 방법
4.1.2.1. 헤겔에게서의 반성적 정초
4.1.2.2. 헤겔에게서 부정적 증명, 그리고 신증명의 의미. 규정적 부정의 방법에 대하여
4.1.2.3. 헤겔 논리학에서 화용론적 모순들: 긍정적 자기연관과 부정적 자기연관
4.2. 헤겔 논리학의 구조
4.2.1. 헤겔이 쓴 여러 판본의 논리학에서 취해진 구성방식
4.2.1.1. 헤겔 『논리학』의 구성
4.2.1.2. 헤겔 논리학 초기 판본들의 구성방식
4.2.2. 개념논리학의 범주들
4.2.2.1. 개념·판단·추론
4.2.2.2. '객관성'과 '생명의 이념'
4.2.2.3. 이론적 이념. 실천적 이념 그리고 절대이념. 포이에시스와 프락시스
4.2.3. 로젠크란츠의 『논리적 이념의 학』
4.2.4. 간주관성과 논리학: 헤겔 『논리학』을 확장해야 하는 필연성에 대한 고려
제4판 후기
참고문헌
부록: 헤겔과 스피노자|이신철 옮김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헤겔의 체계에서 논리학과 실재철학의 관계에 대한 지금까지의 분석을 토대로 확정될 수 있는 것은, 체계의 이 두 부분 사이의 수미일관한 직선적 대응 - 체계내적 근거에서 볼 때 절대적 관념론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어야 하는- 은 성립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수많은 '지엽적' 비일관성은 차치하고라도 우리가 특히 결함으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논리학과 실재철학 사이의 여러 대응관계가 주관정신철학과 더불어 중단되며, 그럼으로써 객관정신철학과 절대정신철학은 더 이상 논리학적으로 정초된 것으로서 고찰될 수 없다는 사실이다.-p240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