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35660155
· 쪽수 : 956쪽
· 출판일 : 2021-08-31
책 소개
목차
그들의 보물이 내겐 애물이 된 셰익스피어
들어가는 말
제1부 셰익스피어 신화의 재해석
제1장 셰익스피어의 정전성과 정전화
1 정전의 중심, 셰익스피어
2 형식주의 미학과 보수주의
3 형식주의 셰익스피어의 맹점
제2장 셰익스피어의 역사성과 정치성
1 셰익스피어의 독창성
2 셰익스피어의 보편성
3 셰익스피어의 중립성
4 셰익스피어의 양가성
제3장 앵글로색슨 민족의 셰익스피어
1 ‘만들어진 전통’ 셰익스피어
2 ‘자연의 시인’ 셰익스피어
3 ‘만인의 천재’ 셰익스피어
4 ‘셰익스피어 산업’의 발전
5 ‘진짜 셰익스피어’의 신기루
6 셰익스피어의 ‘세계화’
제4장 유럽 르네상스의 역사적 신화
1 ‘부흥’과 ‘발견’의 시대
2 가상의 제국 잉글랜드
3 ‘화이트 르네상스’의 신화
제5장 르네상스와 식민주의의 정합성
1 셰익스피어와 탈식민주의의 궁합
2 인종·제국 담론의 역사성
3 르네상스 잉글랜드의 인종주의
4 르네상스 잉글랜드의 제국주의
제2부 셰익스피어가 진단한 근대성의 징후
제1장 르네상스 인간의 자화상 『햄릿』
1 전환기의 혼돈과 불안
2 의심하고 질문하는 인간
3 복수의 주체로 등장하는 인간
4 땅에서 멀어지는 인간
5 명멸하는 중세의 유령
제2장 전환기 역사의 비망록 『리어왕』
1 상충하는 두 가지 세계관
2 사랑과 결혼의 물질성
3 광기 속에서 되찾는 이성
4 정신과 육체의 역설적 관계
5 근대성의 여명
제3장 실체와 재현의 모호한 경계선
1 전환기의 언어와 역사
2 실체의 부재, 허상의 편재
3 진실과 허구의 다름 혹은 같음
4 기표와 기의의 (불)일치
5 변장과 연극의 기호학
제4장 가부장제 사회의 모순과 불안
1 ‘셰익스피어의 누이들’
2 ‘드센’ 여성을 ‘다루는’ 방식
3 순결·정조 이데올로기의 틈새
4 ‘가족 로맨스’의 씁쓸한 뒷맛
5 사랑과 결혼의 근대적 풍속도
6 왜 사랑은 ‘미친 짓’인가
제5장 해학에 담긴 민중의 정치의식
1 역사의 창조자와 구경꾼
2 이름 없는 자들의 쓴소리
3 누구를 위한 전쟁인가
4 바보의 지혜와 가르침
5 ‘밑바닥 인생들’의 꿈
제3부 셰익스피어가 창조한 잉글랜드와 로마
제1장 민족국가 잉글랜드와 그 ‘변방’
1 셰익스피어 사극과 민족주의 담론
2 민족국가의 젠더화와 잉글랜드 남성성
3 민중 문화의 주변성과 전복성
4 잉글랜드, 민족국가에서 제국으로
5 로맨스, 야만적 폭력의 완충장치
제2장 로마 제국의 이데올로기적 토대
1 위대한 제국의 모델, 로마
2 ‘로마다움’의 미덕, 불변성
3 르네상스와 불변성의 재해석
4 불변성과 남성성 담론
제3장 ‘고귀한 로마인’의 연극적 수행성
1 ‘부동의 북극성’ 줄리어스 시저
2 ‘우리의 로마 배우’ 브루터스
3 ‘명망 있는 여자’ 포샤
4 ‘진짜 대장부’는 누구인가
5 ‘교활한 책략가’ 안토니
제4장 로마 남성성의 과잉 혹은 상실
1 로마 비극과 남성성의 파노라마
2 여성에게 전이된 남성성
3 ‘전쟁 기계’ 코리얼레이너스
4 로마의 변천과 ‘로마다움’의 변주
5 ‘녹아내리는 용사’ 안토니
6 해체된 남성성, 분열된 주체
7 셰익스피어에게 남성성이란
제5장 제국의 ‘변방’ 브리튼의 재발굴
1 브리튼의 야만성 혹은 상고성
2 로마 제국의 식민지 브리튼
3 로마 제국의 계승자 잉글랜드
제4부 셰익스피어의 인종적 타자와 식민담론
제1장 샤일록: 문화적 차이와 차별의 수사학
1 낭만 희극과 오리엔탈리즘
2 셰익스피어 시대의 유대인 담론
3 유대인과 기독교인의 유사성
4 셰익스피어는 반유대주의자인가
5 인종주의와 결탁한 여성 주체성
6 기독교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7 개종이 수반하는 혼종화의 불안
8 포섭과 배제의 이중 전략
제2장 애런: ‘문명’과 ‘야만’의 이분법
1 초기습작의 정전성 논쟁
2 ‘야만인’을 닮아가는 로마인들
3 로마의 이데올로기적 지형도
4 ‘더럽혀진’ 딸과 도시의 정화
5 백인 왕비와 흑인 노예의 ‘잡혼’
6 ‘야만스러운 무어인’이 필요한 이유
제3장 오셀로: ‘고귀한 야만인’의 자기소외
1 백인 무대에 등장한 흑인 영웅
2 ‘고귀한 무어인’의 모순된 정체성
3 문명사회에 침투한 ‘야만인’
4 지배 이데올로기의 내면화
5 인종적 타자의 자기발견
6 ‘우리나라’의 대변자 이아고
7 성적 타자의 저항과 (비)주체성
8 새로운 식민주체의 탄생
제4장 클리오파트라: 진화하는 오리엔탈리즘
1 ‘동양 요부’ 신화의 재구성
2 ‘여성화된 동양’의 야만성
3 ‘변화무쌍한’ 나일강의 악어
4 시들지 않는 집시의 관능미
5 ‘동양 폭군’의 변덕과 무능
6 이집트 여왕의 마지막 변신
7 로마/이집트의 불분명한 경계선
8 오리엔탈리즘의 궁극적 승리
제5장 캘리반: 억압의 틈새와 저항의 양가성
1 행복한 결말의 유보
2 포섭되지 않는 불협화음
3 전원 세계의 식민지 상황
4 ‘잡혼’과 ‘프로스페로 콤플렉스’
5 식민지 유토피아의 명암
6 억압과 저항의 변증법
제5부 정전의 조건과 제국의 전략
제1장 왜 셰익스피어였는가
제2장 근대성과 식민성의 상호연관성
제3장 관용의 정치학과 양가성의 미학
제4장 프로스페로의 책, 캘리반의 시각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