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70135694
· 쪽수 : 367쪽
· 출판일 : 2006-06-05
책 소개
목차
머리글 - 다시, 사이드를 기억하며
1장 사이드 삶과 세계
에드워드 사이드의 삶과 비평 /김성곤
탈식민 휴머니스트, 에드워드 사이드를 위하여 /김상률
자리에서 벗어난 자의 운명―<에드워드 사이드 자서전> 읽기 /성은애
2장 사이드의 문화 비평과 오리엔탈리즘
세속성인가 실천성인가―에드워드 사이드 비평의 딜레마 /윤지관
담론이 감옥 또는 트로이의 목마―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설준규
마르크스의 식민주의 역사과과 사이드의 '동양론' 비판 - 식민 이데올로기와 식민지 지식인 /고부응
오리엔탈리즘, '포스트' 식민주의, '타자'의 문화윤리학 /정정호
3장 사이드 타자의 정치
오리엔탈리즘, 시오니즘, 테러리즘―사이드의 <팔레스타인 문제> /이경원
사이드와 페미니즘의 정치 /태혜숙
사이드 이후의 탈식민주의 동향―전유의 부메랑 /이석구
세속의 지성과 망명자의 시선―에드워드 사이드의 사유와 정치론 /오길영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흔히 서구 비평계에서는 사이드를 탈식민주의 이론의 '시작'으로 평가하지만, 사이드는 한 번도 자신을 탈식민주의 이론가로 규정한 적 없다. 오히려 그는 세간의 그러한 평가가 불편하다고 토로한 바 있다. 그것은 아마도 탈식민주의가 서구의 제도권 아카데미즘으로 편입되면서 텍스트 분석과 이론적 유희에 치중한 나머지 본연의 정치적 실천성을 상실한 데 대한 불만 때문일 것이다.
사이드가 바바를 비롯한 여타 탈식민주의 이론가들과 구분되는 지점도 바로 여기다. 사이드의 담론적 실천은 항상 현실 정치에의 개입을 전제한다. 사이드가 생각하는 탈식민주의의 궁극적 목적은 서구 정전 읽기나 되받아 쓰기를 넘어서는, 정신과 물질의 탈식민화다. <오리엔탈리즘>이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의 무장 투쟁보다 장기적인 파급 효과가 더 큰 업적이라고 평가받는 이유도 사이드 특유의 정치적 실천성에 있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