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러일전쟁 1

러일전쟁 1

(기원과 개전)

와다 하루키 (지은이), 이웅현 (옮긴이)
한길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러일전쟁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러일전쟁 1 (기원과 개전)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러시아사
· ISBN : 9788935664801
· 쪽수 : 684쪽
· 출판일 : 2019-09-23

책 소개

일본의 역사학자이자 ‘행동하는 일본의 양심’이라 불리는 와다 하루키의 『러일전쟁: 기원과 개전』 1, 2는 러일전쟁에 대한 일본과 러시아 그리고 한국의 자료를 전면적으로 조사한 최초의 책으로 전쟁사학의 결정판이다.

목차

러일전쟁 1
기원과 개전러일전쟁


17 • 러일전쟁 주요 인물들
35 • 한국과 북한의 독자들에게 | 와다 하루키
39 • 와다 하루키 전쟁사학(戰爭史學)의 위용 | 이웅현

제1장 러일전쟁은 왜 일어났는가?
53 • 시바 료타로(司馬遼太郎)의 견해
61 • 『고무라 외교사』(小村外交史)와 『기밀 일러전사』(機密日露戦史)
63 • 비테의 『회고록』을 둘러싼 상황
69 • 전쟁 체험기의 산(山)
71 • 러시아군 공식 전사와 시만스키 조서(調書)
74 • 일본의 공식 전사와 비밀 전사
76 • 러시아 혁명 후의 연구
83 • 구미와 한국에서의 연구
86 • 일본의 연구
91 • 나의 러일전쟁 연구 역정(歷程)

제2장 근대 초기의 일본과 러시아
105 • 막말유신(幕末維新) 전야의 일본과 러시아
109 • 메이지유신과 러시아
111 • 사할린 문제
115 • 조선에 대한 일본의 관심과 러시아
119 • 러시아 황제 암살과 조선의 군란
123 • 일본의 러시아경계론
127 • 러시아에 대한 고종의 기대
136 • 일본 정부의 격렬한 반응
140 • 고종의 대러 접근 제2막
149 • 메이지 초기의 일본과 러시아
150 • 일본 제국헌법 제정과 러시아
153 • 비테의 등장과 시베리아철도 구상
155 • 러시아 황태자의 세계일주 여행
156 • 제국의회 개회일의 불상사
162 • 러시아 황태자의 일본 도착
166 • 오쓰사건(大津事件)
173 • 시베리아철도 착공
181 • 노불동맹(露佛同盟)의 성립

제3장 청일전쟁과 전후 일본・조선・러시아 관계
195 • 주재 무관 보가크와 동학농민운동
197 • 일본의 조선 출병 결정
201 • 일본 정부의 기본 방침
202 • 전쟁을 회피하기 위해 움직이는 러시아
205 • 일본군의 서울 점령
207 • 러시아 정부의 제안에 대한 반응
209 • 러시아, 일본 정부의 회답을 받다
211 • 조선 정부에 대한 일본의 요구
214 • 7월 23일 사변—조선전쟁의 개시
219 • 러시아인의 관찰
222 • 조선전쟁에서 청일전쟁으로
227 • 일본의 조선 취급 방침
231 • 개전과 러시아
233 • 보가크의 첫 인상과 평양 대회전(大會戰)
237 • 보가크의 일본군 종군 관찰
240 • 이노우에 공사의 개혁 지도
244 • 러시아 황제의 죽음과 신 황제 니콜라이
246 • 새로운 외무장관
248 • 전쟁의 종장을 둘러싼 움직임
250 • 전투의 종결
252 • 전쟁 종결의 조건
256 • 강화 교섭과 러시아
260 • 간섭을 위한 장관 협의
265 • 러시아 해군, 즈푸에 집결하다
267 • 삼국간섭
272 • 조선 정부와 이노우에 공사
275 • 주둔군 문제와 조선 정부의 위기
279 • 베베르와 히트로보의 견해
282 • 미우라(三浦) 공사의 등장
285 • 이노우에 공사의 귀임
287 • 미우라 공사 도착
291 • 민비 살해
293 • 살해의 목격자들
295 • 대원군과 신정부의 성립
296 • 러시아 공사의 추궁
298 • 일본 국내의 반응
300 • 고무라 조사단의 사건 처리
305 • 랴오둥반도 반환조약의 조인과 러・청 접근
307 • 11월 28일 사건
309 • 일본과 러시아의 군비증강 계획
311 • 러시아 군부의 청일전쟁 연구
314 • 러시아 지식인과 청일전쟁

제4장 러시아의 뤼순 점령과 조차(1896-99)
337 • 고종의 아관파천
341 • 일본이 받은 충격
343 • 페테르부르크와 도쿄에서의 교섭
346 • 야마가타의 러시아 방문 구상
350 • 고무라-베베르 각서 조인
353 • 러・청 비밀동맹조약과 동청철도협정
357 • 러시아의 야마가타 아리토모
360 • 대관식과 그 후의 교섭
364 • 야마가타-로바노프 협정 조인
367 • 조선 사절의 교섭
368 • 러시아인 군사교관과 재정고문의 파견 문제
370 • 해군상의 경질, 외상의 죽음
372 • 보스포루스 해협 점령 문제
376 • 고종의 환궁
377 • 무라비요프 외상의 등장
378 • 러시아 군사교관의 활동
380 • 새로운 주일 공사 로젠 발령
382 • 군사교관의 증파와 베베르의 이한(離韓)
385 • 명성황후(明成皇后)의 국장(國葬)
386 • 러시아인 재정고문의 파견
387 • 독일의 자오저우만(膠州灣) 점령과 러시아
394 • 러시아 분함대(分艦隊), 뤼순으로
396 • 러시아 함대의 뤼순 입항
399 • 비테의 기회
400 • 쿠로파트킨 육군상의 등장
404 • 러・일 신협정을 요구하는 움직임
407 • 한국에서 반러시아 운동이 일어나다
409 • 로젠 의견서
411 • 러시아, 랴오둥반도를 조차하다
415 • 한국 정세의 급변
417 • 니시-로젠 의정서
421 • 요동치는 한국
425 • 주한 공사의 교대
426 • 헤이그 평화회의
434 • 마산 문제
439 • 관둥주(關東州)의 시작
443 • 주일 육해군 무관들
448 • 조선 임업이권으로 몰려드는 사람들
453 • 조선 북부로의 조사대 파견
454 • 베조브라조프의 동아시아회사
459 • 무라비요프의 20세기 외교방침
461 • 쿠로파트킨의 대(大)상주보고
463 • 1900년 해군대학 춘계 도상(圖上)훈련

제5장 의화단(義和團)사건과 러청(露淸)전쟁
485 • 의화단사건
491 • 톈진 전투
492 • 러청전쟁의 개시
495 • 블라고베셴스크의 전투와 학살
502 • 쿠로파트킨과 람스도르프
505 • 러청전쟁은 계속되다
506 • 잉커우 제압과 베이징 점령
508 • 러시아 정부의 결단
510 • 러청전쟁의 마지막 국면
512 • 의화단사건과 조선, 일본
515 • 조선을 보는 러시아의 눈
519 • 한일공수(攻守)동맹
522 • 한국중립국안의 등장
525 • 국민동맹회와 여섯 교수의 건의서
527 • 계속되는 한국 대표의 노력
531 • 러시아 정부의 방침과 고무라 공사
535 • 러청밀약 체결
539 • 황제, 티푸스를 앓다
540 • 영독협정의 조인
541 • 러청밀약의 파문
543 • 이즈볼스키의 한국중립화 구상 추진
553 • 러청교섭
558 • 반러시아론 고조
561 • 러시아 정부, 러청협정 체결을 단념하다
563 • 계속되는 전쟁의 공포
568 • 가쓰라 내각의 성립
569 • 참모총장 사하로프의 모반(謀反)
577 • 황녀의 탄생과 닥터 필리프
579 • 베조브라조프의 그림자
581 • 위기가 표면화하는 제국
583 • 일본의 러시아관
588 • 구리노 러시아주재 공사의 인사 문제
592 • 영일동맹 교섭
596 • 페테르부르크의 이토 히로부미
600 • 영일동맹의 체결을 위하여
604 • 람스도르프의 회답 만들기
607 • 영일동맹조약의 조인
608 • 러불선언
610 • 러시아, 만주철군협정을 체결하다
612 • 이즈볼스키 최후의 한국중립화안
615 • 구리노의 러・일 협상안
619 • 로젠과 파블로프의 의견
626 • 한국중립화안에 대한 일본의 반응
628 • 비테의 극동 시찰
633 • 베조브라조프의 극동 파견

653 • 찾아보기

저자소개

와다 하루키 (엮은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 명예교수. 1938년 오사카 출생. 도쿄대학 문학부 졸업. 도쿄대학 사회과학연구소 교수, 소장 등 역임. 현재 도쿄대학 명예교수. 전공은 소련·러시아사, 한국 현대사. 한국에서 출간된 주요 공·저서로는 《역사가의 탄생》, 《한일 역사문제의 핵심을 어떻게 풀 것인가?》,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북한 현대사》, 《한일 100년사》, 《위안부 합의 이후 한일 관계》, 《한국과 일본의 역사 인식》, 《러일전쟁 1·2》 등 다수가 있다. 일본에서는 《‘평화국가’의 탄생》, 《어떤 전후 정신의 형성 1938-1965》, 《러시아혁명》, 《스탈린 비판 1953~1956년》, 《니콜라이 러셀》,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북방 영토 문제를 생각한다》, 《한국전쟁전사》, 《러일전쟁 기원과 개전》, 《아시아여성기금과 위안부 문제》, 《조선유사를 원하는가》, 《북미전쟁을 막자》, 《아베 총리는 납치문제를 풀 수 없다》 등을 출간했다.
펼치기
이웅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도쿄대학교에서 러시아(소련)외교정책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지정학연구원 원장이다. 저서로는 『소련의 아프간 전쟁』(2001), 『중앙아시아의 문명과 반문명』(편저, 2007), 『동아시아 철도네트워크의 역사와 정치경제학 II』(편저, 2008), 『새로운 동북아 질서와 한반도의 미래』(공저, 2019)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일본인은 왜 사과를 잘 하는가?』(1991), 『평화와 전쟁』(1999), 『새로운 중세: 21세기의 세계시스템』(2000), 『러시아의 자본주의혁명』(공역, 2010)이 있다. 그 밖에 「아프가니스탄 반군의 계보」(2013), 「일본 문부과학성 교과서조사관의 계보」(2014), 「파키스탄의 격동과 파란: 동맹의 패러독스」(2015), 「1950년대 일본의 교과서 국정화 시도」(2016), 「전후 일본 보수인맥의 태동: ‘역코스’기를 중심으로」(2017)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