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러시아사
· ISBN : 9788935664818
· 쪽수 : 596쪽
· 출판일 : 2019-09-23
책 소개
목차
제6장 새로운 노선의 등장
701 • 새해의 첫 나날들
704 • 제2차 해군대학 도상(圖上) 훈련
711 • 신임 해군상과 신임 군령부장
715 • 만주철군의 기한이 임박하다
719 • 극동의 베조브라조프
721 • 베조브라조프와 보가크
724 • 극동정책의 신 구상
726 • 경비대 파견 문제
729 • 페테르부르크의 보가크 호출과 중앙의 반응
732 • 4월 8일(3월 26일) 협의회
737 • 무린암(無隣庵) 회의
742 • 러청교섭 결렬
744 • 러시아를 향한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지다
748 • 일본 참모본부의 개전론
752 • 쿠로파트킨의 출발과 보가크 의견서
756 • 베조브라조프의 상주보고와 황제의 지시
761 • 5월 20일(7일) 협의회
767 • 5월 협의회 이후
772 • 베조브라조프, 극동으로 출발하다
774 • 일본의 의주(義州) 개방 요구
777 • 쿠로파트킨 육군상의 일본 방문
780 • 조선의 반응
782 • 참모본부와 일곱 박사
789 • 일본의 쿠로파트킨
794 • 일본, 대러 방침을 결정하다
800 • 니콜라이와 아바자의 새로운 방침
802 • 쿠로파트킨, 일본을 떠나다
805 • 뤼순(旅順) 회의
819 • 일본의 반응
822 • 일본에서 고조되는 개전론
826 • 차르의 사로프 수도원 방문
828 • 베조브라조프와 쿠로파트킨의 논쟁
838 • 극동태수제 도입
제7장 러일교섭
855 • 교섭 개시
858 • 일본의 제1차 제안
860 • 러시아의 사정
864 • 세 장관의 경질 위기
868 • 쿠로파트킨, 황제를 수행하다
869 • 러청교섭의 중단
871 • 러시아의 회답 준비
878 • 베조브라조프의 움직임
880 • 한국 정부, 중립을 추구하다
885 • 주일 무관의 경고
889 • 러시아의 제1차 회답
892 • 가을의 위기
898 • 러・일 해군력 비교
900 • 러시아 정부의 대응
905 • 일본의 제2차 서한
912 • 『도쿄아사히신문』, 교섭 결렬을 촉구하다
914 • 알렉세예프의 펑톈(奉天) 점령
915 • 일본과 러시아 군인들의 의견
919 • 극동특별위원회 설치와 임업회사 문제
926 • 얻어맞는 수병들, 사살되는 동물들
929 • 러시아 측의 제2차 서한
935 • 개전을 촉구하는 일본 여론
940 • 공상소설 『러일전쟁 하네카와 로쿠로』
945 • 일본의 제3차 서한
951 • 일본군의 조선출병에 관한 정보
955 • 러시아의 12월 특별협의회
964 • 일본, 대러 작전계획을 결정하다
968 • 한국에 대한 방침
971 • 일본과 러시아의 상호 인식
976 • 주재 무관의 경고 전보
977 • 러시아의 제3차 서한
제8장 전야
999 • 뤼순의 긴장
1003 • 황제와 육군상은 망설이다
1006 • 가는 해, 오는 해
1007 • 이탈리아 군함의 매입
1008 • 구리노 공사와 베조브라조프
1016 • 베조브라조프의 러일동맹안
1027 • 일본 정부, 개전을 포함한 최종회답을 결정하다
1031 • 주재 무관들의 보고와 증원함대
1034 • 대한제국의 중립선언
1038 • 러시아 정부 내의 검토
1044 • 중재 조정의 요청
1046 • 일본 한국을 죄다
1050 • 마지막 장관협의
1055 • 일본의 개전 준비
1057 • 협의회가 끝난 뒤, 람스도르프
1065 • 일본, 각의에서 국교 단절을 결정하다
1071 • 러시아 외상 최후의 몸짓
1076 • 낭패한 알렉세예프
1079 • 일본의 단교 통보
1080 • 일본군 전투행동을 개시하다
1081 • “러시아는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
제9장 개전
1095 • 1904(메이지37)년 2월 6일(1월 24일) 토요일
1103 • 2월 7일(1월 25일) 일요일
1112 • 2월 8일(1월 26일) 월요일
1128 • 2월 9일(1월 27일) 화요일
1136 • 2월 10일(1월 28일) 수요일
1143 • 2월 11일(1월 29일) 목요일
1146 • 2월 12일(1월 30일) 금요일
1148 • 2월 13일(1월 31일) 토요일
1150 • 2월 14일(1일) 일요일
1153 • 2월 15일(2일) 월요일
1154 • 2월 16일(3일) 화요일
1155 • 2월 17일(4일) 수요일
1156 • 2월 18일(5일) 목요일
1156 • 2월 19일(6일) 금요일
1157 • 2월 20일(7일) 토요일
1159 • 2월 21일(8일) 일요일
1159 • 2월 22일(9일) 월요일
1162 • 2월 23일(10일) 화요일
1164 • 2월 24일(11일) 수요일
1167 • 2월 25일(12일) 목요일
1168 • 2월 26일(13일) 금요일
1169 • 2월 27일(14일) 토요일
1169 • 2월 28일(15일) 일요일
1172 • 2월 29일(16일) 월요일
1175 • 3월 1일(2월 17일) 화요일
1176 • 3월 2일(2월 18일) 수요일
제10장 러일전쟁은 이렇게 일어났다
1188 • 일본이 노린 것
1190 • 조선과 러시아
1192 • 청일전쟁의 개시와 그 파문
1195 • 러시아의 만주 진출
1197 • 가쓰라-고무라 내각의 성립
1198 • 러일교섭
1200 • 러시아의 새로운 노선
1202 • 최후의 순간
1203 • 국민의 정신은 전쟁에 동원되었다
1206 • 전쟁의 확대
1207 • 전쟁이 끝난 뒤
1215 • 맺는말
1217 • 옮긴이의 말
1225 • 참고문헌
1253 • 찾아보기
책속에서
러일전쟁은 조선전쟁으로 시작되었다. 일본군은 전시 중립을 선언한 대한제국의 영내에 침입해 진해만, 부산, 마산, 인천, 서울, 평양을 점령하고, 대한제국 황제에게 사실상의 보호국화를 강요하는 의정서에 조인하게 했다. 인천과 뤼순에서 러시아 함선에 대한 공격이 동시에 시작되었는데, 이 공격은 무엇보다도 대한제국 황제에게 러시아의 보호는 없을 것이라는 의미의 결정타를 날려 황제를 체념시키는 역할을 했다. 조선 장악이 끝나자 전쟁은 압록강을 넘어 만주에서 본격적인 러일전쟁으로 진화해 간다. 일본은 선전포고에서 “한국의 보호”를 위해서 러시아와 싸운다고 선언했지만, 사실은 일본이 조선을 자국의 지배하에 두고 보호국으로 삼고 나서, 러시아에게 그것을 인정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전쟁을 추진했던 것이다. 러시아는 일본 해군의 기습공격을 받고 항의의 선전포고를 발한 모양새였으므로 완전히 수동적인 자세였다. 러시아가 전쟁을 원하지 않았던 것은 확실하다.
러일전쟁의 뿌리에는 조선에 대한 일본의 야망이 있었다. 메이지유신을 성취한 일본인들은 문명개화, 부국강병에 앞서 영토의 확장을 꿈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조선을 일본이 획득해야 할 목표로 인식하게 되었다. 동시에 러시아와의 대항을 의식하면서, 러시아의 침략이 닥쳐왔기 때문에 일본이 적극적으로 조선에 개입해 조선을 지키고 일본 자신도 지켜야 하는 안전보장 상의 필요를 처음부터 강조했다.
러시아의 조선 침략이란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았기 때문에 더더욱 그것을 반복해서 논의함으로써, 이웃나라를 지배하려는 야망을 지닌 일본에 정당화의 대의명분이 생길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러시아는 패배했다고 생각하지 않았고, 개전 전의 러일교섭 시의주장을 되풀이할 작정이었다. 그러나 역시 그것은 통하지 않았다. 8월 9일부터 포츠머스에서 열린 강화회의의 서두에 고무라는 12개 항목의 강화조건을 선언했다. 그 제1항은 “러시아국은 일본국이 한국의 정사(政事)상, 군사상 및 경제상의 우월한 이익을 지니는 것을 승인하고, 일본국이 한국에서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지도, 보호 및 감리의 조치를 취함에 있어서 이를 방해하거나 또는 이에 간섭하지 않겠다고 약속할 것”이었다. 12일 비테는 각 항목에 관한 회답서를 제출했다. 그 제1항의 한국 처분의 자유에 관해서 “하등 이의가 없다”면서 일본이 한국에서 “우월한 이익”을 지니는 것을 인정하고, 일본이 취하는 “지도, 보호 및 감리의 조치를 방해하거나 또는 이에 간섭하지 않을 것을 약속할 각오다”라고 기술했다. 그러나 훈령에 따라서 “전술한 일본국의 조치 및 실행을 위해서 한국 황제의 주권을 침해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라 주장했고, 또한 “한국에 인접하는 러시아국 영토의 안전을 침박할 만한 조치”를 취해서는 안 된다는 유보를 달았다.
이에 대해서 오후에 격렬한 설전이 전개되었다. 고무라는, 러시아가 “일본이 한국에서 충분히 자유행동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승인하는 것이 긴요하다”면서 “한국 황제의 주권 운운하는 자구(字句)는 삭제하는 데 동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테가 말하는 것처럼 “한국의 주권을 전적으로 그대로 계속 보유하게 한다는 주지에는 단연코 동의할 수가 없다…… 도대체 한국의 주권이란 것은 이미 그리고 오늘날에도 완전한 것이 아니다. 일본은 이미 동 국가와 협약을 체결해 동 국가 주권의 일부는 일본에게 위임되었고, 한국은 외교상 일본의 승낙이 없이는 타국과 조약을 체결할 수 없는 지위에 있다”며 극히 노골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