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36413316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2-11-12
책 소개
목차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21세기에 다시 쓴 간행사
책머리에|대만 가는 길·최원식
제1부 기본시각
제1장 우리에게 대만이란 무엇인가: 다시 보는 한국-대만관계·백영서
1. 내가 ‘발견’한 대만
2. 한국인의 역사경험 속의 대만: 매개된 만남과 직접 대면하기
3. 대만인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물음들
4. 한국-대만관계의 미래를 그리며
제2장 대만 지식인의 문화정체성·천 팡밍
1. 대만 전후세대의 심리역정
2. 대만 지식인의 민주화 노정
3. 대만 문화정체성의 확립
제2부 대만 정체성의 시각
제1장 대만의 족군관계와 2·28사건·허 이린
1. 서론
2. 대만 족군을 이해하는 세개의 키워드
3. 교차하는 두개의 문화권: 남도문화와 한족문화
4. 식민지 개발의 3대 구역: 서부평원, 동부종곡, 중앙산지
5. 2·28사건: 성적갈등의 형성과 국가정체성 인식의 차이
6. 4대 족군의 분류: 원주민, 민난인, 하카인, 신주민
7. 결론
제2장 민주화와 본토화의 이중주·양태근
1. 대만 미래 자결원칙과 민주화해의 기대
2. 대만의식의 확산과 본토화
3. 본토화와 민주화의 이중주: 진보적 본토와 민주의 미래
4. 대만 민주사회의 미래
제3장 양안관계, 제3의 모델은 없는가: ‘양안 경제협력기본협정’과 역사적 전망·문명기
1. 서론
2. ECFA의 주요 내용과 배경
3. ECFA의 정치학: 대만의 경우
4. 경제교류의 내재적 동력과 대만경제의 선택지
5. 역사적으로 본 양안 경제관계
6. 결론: 양안관계의 초보적 전망
제3부 비교의 시각
제1장 대만 ‘향토문학’의 동아시아적 맥락·백지운
1. 실종된 원작, 은폐된 거울
2. 동아시아가 만난 향토문학
3. 향토문학을 읽는 ‘다른’ 시선
4. 다시 마주서는 거울
제2장 대만의 ‘신영화’와 한국·강태웅
1. 들어가며
2. ‘신영화’ 이전의 대만영화
3. ‘신영화’와 대만사회
4. ‘신영화’의 전개와 한국
5. ‘신영화’ 이후의 대만영화
제3장 대만의 민주화과정과 사회운동의 변화: 한국과의 비교적 관점·박윤철
1. 들어가는 말
2. 민주화 초기 대만 국가 및 사회적 조건의 구조적 특징
3. 민주화 이전 대만 국가체제의 구조와 지배방식
4. 국민당 독재체제의 와해와 정치·사회적 변화
5. 사회운동의 변화
6. 대만 민주화의 미래 전망
제4장 대만의 경제발전모델: 한국과의 비교·장영희
1. 머리글
2. 한국과 대만의 산업화 모델: 유사성과 차이성의 변증법
3. 대만 발전모델의 경제이념적 전환: 민생주의에서 점진적 경제자유화로
4. 중국이라는 위협와 기회, 그리고 협력모델
5. 중소기업과 대안적 발전모델의 모색
6. 맺음말
제4부 교류의 시각
제1장 식민지조선의 대만 인식: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기사를 중심으로·손준식
1. 기사 통계로 본 대만 인식
2. 기사에 나타난 대만 인식
제2장 식민지시기 대만과 조선 교류의 한 단면: 최승희의 대만공연·장 원쉰
1. 1936년 7월 최승희의 대만공연
2. 대만문학에 투영된 최승희
3. 결론을 대신하여
제3장 신채호를 통해 본 조선과 대만 무정부주의자들의 교류·추 스제
1. 서언
2. 1920년대 대만 무정부주의운동 개략
3. 신채호와 대만 무정부주의자 판 번량의 교유(1923~24)
4. 신채호와 대만 무정부주의자 린 빙원의 초지역합작(1928)
5. 린 빙원의 항일 발자취
6. 맺음말
제4장 대만의 한류현상과 이를 통해 본 대만사회·최말순
1. 머리말
2. 대만의 한류현상 개황
3. 한류현상으로 본 대만사회의 성격
4. 대만 한류의 전망과 문제점
제5장 대만의 일간지가 본 한국: 2005~9년 『自由時報』를 중심으로·쩡 톈푸
1. 머리말
2. 『쯔유스바오』의 한국 보도와 논평 내용
3. 『쯔유스바오』 한국담론의 시각
4. 맺음말
제6장 경험으로 본 한국-대만의 지적 교류와 연대·천 광싱
필자 소개
부록: 전후 한국-대만교류사 연표
찾아보기




















